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나주버스터미널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광양시나주시목포시순천시여수시
광양 · 중마 · 섬진강휴게소 · 용지 · 광영 · 진상 · 도촌 · 제철주택단지 · 제철소 · 태인교나주 · 빛가람 · 영산포 · 동강 · 동창 · 다시목포순천 · 곡천 · 주암 · 송광사여수 · 여천
강진군고흥군곡성군구례군담양군
강진 · 마량 · 성전 · 도암고흥 · 과역 · 녹동 · 나로도 · 도화 · 동강 · 점암곡성 · 옥과 · 석곡구례담양 · 금성
무안군보성군신안군영광군영암군
무안 · 남악 · 망운 · 청게 · 해제 · 현경보성 · 벌교지도 · 지도서부영광 · 법성포 · 홍농영암 · 신북 · 학산 삼호
완도군장성군장흥군진도군함평군
완도 · 고금 · 당목 · 원동장성 ·백양사장흥 · 관산 · 대덕 · 회진진도 ·녹진함평 · 문장 · 함사거리


해남군화순군
해남 · 남창 · 산정 · 송호 · 땅끝 · 남리 · 오공 · 우수영 · 월송화순 · 능주 · 동복
시외버스 · 고속버스가 정차하는 경우만 표기
시내버스 · 농어촌버스만 정차하는 곳은 표기하지 않음.
서울 · 인천 · 경기 · 강원 · 대전 · 세종 · 충북 · 충남
광주 · 전북 · 대구 · 부산 · 울산 · 경북 · 경남 · 제주






1. 개요
2. 특징
3. 시외버스
3.1. 영남권
3.2. 호남권
4. 소속 지역 정류소
5. 시내버스
5.1. 경유 노선 목록
6. 주변 정보


1. 개요[편집]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DSC_1914.jpg
전라남도 나주시 나주로 190(중앙동 95-2)에 있는 시외버스 터미널.[1]


2. 특징[편집]


  • 광주에서 출발하여 전라남도 남부 지역으로 향하는 직행버스의 중간 승하차지로 쓰인다.
  • 광주와 가깝다는 점 때문에 터미널 자체 시외 노선망은 매우 빈약하며, 광주전남공동혁신도시 조성으로 서울행 버스마저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로 옮겨가면서 시외 노선은 부산서부광주를 비롯한 여타 전남 남부권 노선만으로 버티고 있는 실정이다. 그래도 부산서부행도 정차하지 않는 영산포터미널보다는 상황이 낫다.
  • 건물이 2개로 나뉘어 있으며, 도로에서 가까운 쪽 건물은 시내버스 타는 곳으로 쓰이고, 도로에서 좀 더 먼 건물이 시외버스 터미널이다. 근데 시외터미널 쪽에 시내/농어촌버스가 서는 일이 종종 있다. 보통은 아래의 사진과 같이 정차한다.
파일:나주버스터미널_정차정보.png


3. 시외버스[편집]


시외버스 노선은 다음과 같다. 나주 종착 노선은 시외버스 나주-부산사상을 제외하고 전부 중간 경유지 역할만 한다.[2]

명색이 나주의 대표 터미널이지만 수도권 방면 노선은 없다. 서울(호남) 방면은 이 곳이 아니라 빛가람시외버스정류소에 중간 정차한다.[3]

3.1. 영남권[편집]


영남권
행선지운행횟수운수회사
서부산(사상)일 4회금호고속
[ 상세정보 펼치기 · 접기 ]
나주발 서부산(사상)행
경유지소요시간운임
나주혁신도시발권불가
광주발권불가
서부산(사상)4:30₩ 31,100(우등)
운행시각표08:05 10:05 13:35 16:05, 18:00
2022년 11월 21일부로 신규 개통하며 KOBUS 전산망을 사용하기 때문에 티머니 E-Pass를 사용 가능하다.
나주혁신도시, 광주를 경유하며 구간 승차가 불가능하고, 섬진강휴게소 환승이 불가하다.
시외버스 나주·광주-부산사상 문서 참조.
전회우등 노선이다.

3.2. 호남권[편집]



행선지경유지배차간격
광주진월동 / 나주혁신, (진월동) / 송정역1일 31회
해남영산포, 신북, 영암, 성전1일 8회
완도영산포, 신북, 영암, 성전, 해남, 월송, 남창, 원동1일 2회
강진영산포, 신북, 영암, (월남), 성전1일 7회
진도영산포, 신북, 영암, 성전, 해남, 남리, 옥동, 우수영, 녹진1일 2회
땅끝영산포, 신북, 영암, 성전, 해남, 산정, 송호리1일 1회
장흥영산포, 신북, 영암, 옴천, 병영1일 2회
회진영산포, 신북, 영암, 옴천, 병영, 장흥, 용산, 관산, 대덕1일 1회
임자(대광)다시, 함사거리, 무안, 현경, 망운, 해제, 자동리, 지도, 임자(진리)1일 1회
무안, 목포다시,(함평), 함사거리, 무안, 청계, (전남교육청, 남악정류소, 남악(검찰청, 법원))1일 5회
삼호, 목포영산포, 신북, 영암, 독천, 삼호1일 2회


4. 소속 지역 정류소[편집]




5. 시내버스[편집]


시외버스보다 시내버스가 훨씬 더 자주 보인다. 주로 보이는 것은 나주교통160번(영산포~문흥지구)와 999번(영산포~전남대). 승차하는 곳이 지선과 간선, 이후 진행방향에 따라 다르므로 초행길인 승객은 주의해야 한다.

그 외에도 영암교통낭주교통이 운행하는 반남, 신북 경유 시종, 영암행 영암군 농어촌버스가 있으며, 예전에는 라정시내버스송정196번(진곡산단-나주터미널)도 이 곳까지 운행하였으나, 지금은 정렬사로 단축되었다.[4] 이후에는 2017년 광주 시내버스 개편 때 160번의 경쟁 노선인 송정19번을 나주터미널로 연장하려는 계획이 있었으나 나주시나주교통의 반발로 무산되었다. 때문에 현재 나주터미널로 들어오는 광주광역시 시내버스는 없다.

2019년 1월 1일부터 7001, 7002번이 정차하지 않으므로 해당 노선 이용 시 중앙로 정류장에서 하차해서 4분 정도 도보로 터미널까지 가야 한다.

2021년 6월 22일부터 2년 6개월 만에 160번이 나주터미널을 경유한다.

5.1. 경유 노선 목록[편집]



6. 주변 정보[편집]


나주시 시내 중심에 위치하고 있으며 나주의 중심 거리인 중앙로와도 가깝다. 나주시민공원, 목사고을시장, 나주종합병원, 나주중학교, 금성관, 구나주역,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5], 곰탕골목등이 걸어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8 01:48:21에 나무위키 나주버스터미널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TWorld는 벌크커피로 바뀌었다.[2] 기존에 전환시외 노선인 시외버스 서울호남-강진 노선이 이 터미널 및 영산포터미널을 경유하였으나 2022년 4월부로 혁신도시를 경유하는 것으로 노선이 변경되었다.[3] 원래 강진에서 출발해 영암, 나주를 거쳐 부천, 인천까지 운행하던 삼화고속 시외버스 부천-강진 노선이 있었으나 코로나-19 이후 운행이 중지되었다.[4] 나주터미널에 정차하던 시기에는 송정196번은 시외버스 승차장에 정차하였다.[5] 구나주역과 나주학생독립운동기념관의 경우 터미널 기준 동쪽에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