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덤프버전 :


일본 대지진
(최대진도 7)
[ 펼치기 · 접기 ]

발생연월일명칭진앙규모(M)진도7 관측지역최대 계측 진도
1995년 1월 17일효고현 남부 지진
(고베 대지진)
일본 효고현 아와지 섬 북부M 7.3효고현6.6
2004년 10월 23일니가타현 주에쓰 지진일본 니가타현 오지야시 부근M 6.8니가타현 나가오카시6.5
2011년 3월 11일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동일본 대지진)
일본 산리쿠 해역M 9.1미야기현 쿠리하라시6.6
2016년 4월 14일2016년 구마모토 지진일본 구마모토현 구마모토시M 6.5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6.64
2016년 4월 16일M 7.3구마모토현 마시키마치
구마모토현 니시하라무라
6.78
2018년 9월 6일2018년 홋카이도
이부리 동부 지진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지방 중동부
M 6.7홋카이도 아츠마초6.5
일본진도(JMA)7은 어떠한 방법으로도 움직일 수 없고, 건물의 30% 이상이 파괴되는 진동이다.
자세한 내용은 진도문서 참조



니가타 주에쓰 지진
新潟県中越地震
파일:1098521760_area.png
파일:2004년 니가타 지진 - 나무위키 - Chrome 2022-05-08 오후 10_19_05.png
발생2004년 10월 23일 17시 56분 00.3초
진앙일본 니가타현 오지야시 부근
진원 깊이13km
규모Mj 6.8 / Mw 6.7
최대 진도7[1][2]
니가타현 나가오카시
여진 횟수최대 여진: M 6.5, 진도 6강
진도 1 이상 최소 1,018회
피해사망 68명
부상 1,805명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7니가타
5-후쿠시마, 군마, 사이타마, 나가노
4미야기, 야마가타, 이바라키, 도치기, 치바, 도쿄, 이시카와, 야마나시
3아키타, 가나가와, 도야마, 시즈오카
2이와테, 후쿠이, 기후, 아이치, 미에, 시가, 나라
1아오모리, 교토, 오사카, 효고, 와카야마

1. 개요
2. 여진
2.1. 진도 5약 이상 여진의 도도부현 최대진도 목록
3. 피해
4. 지진 발생 후
5. 여담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04년 10월 23일 17시 56분, 일본 니가타현 주에쓰 지역을 강타한 리히터 규모 6.8의 지진으로 최대 진도 7을 기록한 지진이다.[3]

당시 지진 관측 속보



2. 여진[편집]


순번일시규모진도비고
2004년
110-23 17:56M 6.87본진
210-23 17:59M 5.35+
310-23 18:00M 4.44
410-23 18:03M 6.35+
510-23 18:06M 3.84
610-23 18:07M 5.75+
710-23 18:08M 4.74
810-23 18:10M 4.4
910-23 18:11M 6.06+
1010-23 18:13M 4.84
1110-23 18:24M 4.4
1210-23 18:28M 4.6
1310-23 18:30M 3.8
1410-23 18:30M 3.9
1510-23 18:34M 6.56+최대여진
1610-23 18:36M 5.15-
1710-23 18:39M 3.84
1810-23 18:41M 4.25-
1910-23 18:47M 4.34
2010-23 18:51M 4.2
2110-23 18:51M 3.9
2210-23 18:57M 5.35+
2310-23 18:58M 4.34
2410-23 19:36M 5.35-
2510-23 19:45M 5.76-
2610-23 19:46M 4.74
2710-23 19:48M 4.45-
2810-23 19:49M 4.84
2910-23 20:02M 4.3
3010-23 20:34M 3.6
3110-23 20:55M 4.5
3210-23 20:56M 3.6
3310-23 21:44M 5.0
3410-23 22:26M 4.3
3510-23:22:34M 4.4
3610-23 22:57M 4.2
3710-23 23:34M 5.3
3810-24 04:31M 3.1
3910-24 09:28M 4.8
4010-24 14:21M 5.05+
4110-24 16:06M 4.64
4210-24 17:21M 3.9
4310-24 23:00M 5.1
4410-25 00:28M 5.35-
4510-25 01:27M 4.74
4610-25 06:04M 5.85+
4710-25 06:07M 4.94
4810-25 20:26M 3.9
4910-26 03:32M 4.2
5010-27 10:26M 4.3
5110-27 10:40M 6.16-
5210-27 10:42M 5.14
5310-27 10:45M 4.2
5410-27 12:05M 4.4
5510-27 15:23M 4.0
5610-27 21:09M 4.3
5711-01 04:35M 5.0
5811-02 00:40M 4.1
5911-04 08:57M 5.25+
6011-06 02:53M 5.14
6111-06 22:05M 4.4
6211-08 01:55M 3.3
6311-08 11:15M 5.95+
6411-08 11:27M 5.04
6511-08 11:32M 5.1
6611-08 11:43M 4.4
6711-09 04:15M 5.0
6811-10 03:43M 5.35-
6911-12 02:24M 4.34
7012-23 21:03M 4.5
7112-28 18:30M 5.05-
2005년
7201-09 20:15M 4.24
7301-18 21:50M 4.7
7406-05 12:17M 3.3
7506-20 13:03M 5.05-
7606-20 13:15M 4.44
7707-09 19:22M 4.3
7808-21 11:29M 5.05+
2007년
7901-08 18:59M 4.84
8007-18 16:53M 4.3
8107-25 06:52M 4.8
8210-17 02:03M 3.7
2009년
8302-24 11:52M 3.44
8410-23 18:31M 3.3
2010년
8505-01 18:20M 4.94
2011년
8603-12 04:01M 3.94
8703-12 04:03M 4.1
8803-12 04:12M 4.3
8903-12 04:46M 4.1
9003-12 07:01M 3.9
9103-12 07:14M 4.2
9203-12 07:18M 3.8
9303-13 12:32M 3.8
9404-17 00:56M 4.85-
9506-02 11:33M 4.75+
9606-02 12:51M 4.24
9706-02 16:01M 3.5
2012년
9801-01 00:29M 4.14
9910-18 00:01M 4.2
2014년
10004-08 05:08M 4.54


2.1. 진도 5약 이상 여진의 도도부현 최대진도 목록[편집]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10-23 17:59)
5+니가타
3야마가타, 후쿠시마,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나가노
2미야기, 이바라키, 치바, 도쿄, 야마나시, 도야마, 이시카와
1아키타, 가나가와, 시즈오카, 아이치, 기후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10-23 18:03)
5+니가타
4후쿠시마, 군마, 사이타마, 나가노, 이시카와
3미야기, 야마가타, 이바라키, 도치기, 도쿄, 도야마
2아키타, 치바, 가나가와, 시즈오카, 야마나시, 기후
1이와테, 아이치, 후쿠이

3. 피해[편집]


니가타현 기준 68명 사망, 가옥 파괴 3,174건, 반파 13,810건, 주택 화재 9건 등이 발생하였다. 최대진도가 비슷한 효고현 남부 지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에 비하면 피해가 매우 적은 편에 속한다.

이 지진으로 인해 조에츠 신칸센에서 탈선사고가 발생했다. 자동제동으로 감속 중인 상태에서 탈선했으며, 사망자는 없다. 지속적인 여진으로 인해, 11월 18일에야 탈선차량을 철거하였고, 12월 28일에 운행을 재개했다.

2022년 기준 신칸센으로는 단 셋 뿐인 탈선사고다.[4]

4. 지진 발생 후[편집]


이후로도 약해진 지반에, 니가타현 문서에서 설명하는 강설지라는 점이 작용하여 지진 이후에도 폭설과 이후 해빙기 붕괴로 인한 2차 피해가 잇달아 발생하였다.


5. 여담[편집]


포켓몬스터 애니메이션 시리즈에서 지진, 매그니튜드 등의 기술이 영구적으로 등장하지 않게 된 이유가 이 지진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 실제로 당시 포켓몬스터 AG의 에피소드 1편이 지진이 묘사된 이유로 불방되기도 하였다. 이때는 긴급지진속보가 일반공개되기 4년 전이다.

이 지진 역시 약 2개월 후 발생했던 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의 전조현상들 중 하나였다는 주장도 있다.#

이 지진이 일어나고 3년 후, 비슷한 곳에서 지진이 발생해 니가타현 연안에 해일 주의보가 발령되었다.


6.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00년대 지진
20세기
2000년대
2010
발생일규모지진명최대진도
2001. 3. 24.
M6.72001년 히로시마 게이요 지진
6-
2003. 5. 26.
M7.12003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3. 7. 26.
M6.42003년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3. 9. 26.
M8.32003년 도카치 근해 지진
6-
2003. 12. 26.
M6.62003년 밤 지진
2004. 5. 29.
M5.32004년 울진 해역 지진
V
2004. 9. 5.
M7.12004년 기이반도 동남해역 지진
5-
M7.4
2004. 10. 23.
M6.8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7
2004. 11. 29.
M7.12004년 쿠시로 근해 지진
5+
2004. 12. 14.
M6.12004년 홋카이도 루모이 남부 지진
5+
2004. 12. 26.
M9.32004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5. 3. 20.
M7.0후쿠오카 현 서부 해역 지진
6-
2005. 3. 28.
M8.62005년 수마트라 지진
2005. 7. 23.
M6.02005년 치바현 북서부 지진
5+
2005. 8. 16.
M7.22005년 미야기 해역 지진
6-
2005. 10. 8.
M7.62005년 카슈미르 지진
XI
2006. 5. 27.
M6.42006년 남아시아 대지진
2006. 10. 9.
M4.22006년 길주 인공지진
-
2006. 11. 14.
M8.32006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13.
M8.22007년 쿠릴 열도 지진
IV
2007. 1. 20.
M5.02007년 평창 지진
V
2007. 3. 25.
M6.92007년 이시카와 해역 지진
6+
2007. 7. 16.
M6.92007년 니가타현 주에쓰 앞바다 지진
6+
2008. 5. 8.
M7.02008년 이바라키 해역 지진
5-
2008. 5. 12.
M8.0쓰촨성 대지진
XI
2008. 5. 29.
M6.3아이슬란드 지진
2008. 6. 14.
M7.2이와테 미야기 내륙 지진
6+
2008. 7. 24.
M6.82008년 이와테 연안북부 지진
6-
2009. 5. 25.
M5.32009년 길주 인공지진
-
2009. 8. 11.
M6.52009년 시즈오카 해역 지진
6-
2009. 9. 29.
M8.12009년 사모아 지진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0 12:24:03에 나무위키 니가타현 주에쓰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속보 당시에는 6강이었지만 사후 해석으로 상향 조정되었다.[2] JMA 계측진도 6.5[3] 1995년 고베 지진 이후 두 번째로 발생한 격진이다.[4] 이 중 두 사고는 2016년 큐슈 신칸센 회송열차 탈선 사고, 2022년 지진으로 인한 도호쿠 신칸센 탈선 사고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