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구 버스 달성6

덤프버전 :

||


파일:현대 달성6.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4.2. 일평균 승차량
5.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달성6.jpg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
기점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본말종점)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아래 시간표 참조
배차간격본말 방면 1일 7회
현풍시외버스터미널(본선) 방면 1일 6회
현풍시외버스터미널(약산온천 경유) 방면 1일 1회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통합 1대[저상버스]
노선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소방서 - 도의리(U턴) - 한정리 - 달창저수지 - 가태리(U턴) - 대산 - 본말
노선
(약산온천)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약산온천(U턴) ← 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소방서 ← 한정리 ← 달창저수지 ← 가태리(U턴) ← 대산 ← 본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달성군청 출발)
기점대구광역시 달성군 논공읍 금포리(달성군청)종점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본말종점)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통합 1대[저상버스]
노선달성군청 → 논공읍사무소 → 위천삼거리 → 약산온천(U턴) → 북리 → 본리근린공원 → 달성산업단지관리공단 → 성요셉요양병원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소방서 → 한정리 → 달창저수지 → 가태리(U턴) → 대산 → 본말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달성1차산업단지 경유)
기점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본말종점)종점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종점행첫차아래 시간표 참조기점행첫차-
막차아래 시간표 참조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현대교통인가대수통합 1대[저상버스]
노선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성요셉요양병원 ← 달성산업단지관리공단 ← 본리근린공원 ← 북리 ← 구.현풍시외버스터미널 ← 달성소방서 ← 도의리(U턴) ← 한정리 ← 달창저수지 ← 가태리(U턴) ← 대산 ← 본말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달성군 현풍읍 성하리 현풍시외버스터미널에서 유가읍 한정리[1], 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를 거쳐 유가읍 본말리[2]까지 운행하는 현대교통 소속의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본말-도의-현풍
현풍-도의-본말
달성군청-약산온천-달성1차공단-성요셉병원-본말
본말-도의-달성1차공단-성요셉병원-현풍
본말-현풍-약산온천-현풍


3. 역사[편집]


  • 1998년 노선번호체계 이전에는 현풍~유가~구지~현풍을 순환 운행하던 90번이었다.


  • 2006년 개편 때 66-3번은 달성6번으로 변경되었다. 도의리는 중간 경유지로 바뀌었다.

  • 2013년 5월 4일 개편으로 가태리에 들어갔다가 나온다. 원래는 가천리에서 본말리까지 바로 갔으나, 달창저수지 인근에서 가태리로 들어갔다가 나오는 걸로 변경되었다.


4. 특징[편집]


  • 6권역 달성지선 노선들 중 좁은 시골길로 가장 많이 다니는 노선이다. 특히 도의리를 들어갔다가 나오는 구간과 대산에서 본말리 종점으로 올라가는 구간은 중앙선도 없는 왕복 1차선으로, 버스 한 대가 들어가면 도로가 가득 차는 시골길이다. 달성군 유가읍, 구지면 일대에 대구테크노폴리스나 달성2차산업단지, 대구사이언스파크가 개발되지만, 이 노선이 다니는 구간은 달성경찰서~유가차천 구간에서 대구테크노폴리스 바깥쪽으로 다니는 구간을 제외하면, 개발이 진행 중인 구간이 없다. 시골 풍경들을 그대로 간직하고 있다. 특히 가태리 달창저수지 구간은 경치가 좋다.

  • 달성6번은 달성7번처럼 경상남도 창녕군과 인접한 지역을 운행하는데, 창녕군 대합면 외곽지역을 지나는 7번과 마찬가지로 6번도 실제로 창녕군 성산면 외곽지역을 지나간다. 따라서 그 구간의 버스 정류소에는 창녕군 마크가 붙어 있다.

  • 달성1차산단과 논공CNG충전소(구 약산온천[3])을 경유하여 달성군청으로 가는 노선은 원래 1일 4회 있었으나, 이 구간은 그야말로 공기만 싣고 다니는 구간이기 때문에 감회되어 운행한다. 차고지가 다산면 평리리에 있을 때에는 사실상 회송용 노선으로서의 성격이 있었는데, 차고지가 유곡리공영차고지로 이전된 뒤로는 그냥 공차 거리만 늘어난 꼴이라 이후 현풍에서 달성군청으로 가는 막차 시간대는 약산온천(하리CNG충전소) 회차로 소리소문없이 단축됐다. 따라서 실질적인 본선은 "현풍 ↔ 본말"이다.

  • 본말리까지 들어가는 노선임에도 불구하고 2006년 개편 당시에 노선 안내책자에는 기점이 '비슬산휴양림'으로 표기되었고 행선판에도 비슬산휴양림으로 표기되어 있었다. 비슬산휴양림 근처에도 안 가는 노선인데 정확한 이유는 알려지지 않았으나, 오기 또는 노선 개편 책자가 배부되기 직전에 폐기된 안건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실은 오기로 보인다. 왜냐면 지도형 노선도를 유심히 보면 확실히 비슬산휴양림행 노선의 선형은 아니고 도의동 노선과 선형이 거의 유사하게 표시되어 있었으며 옆에 텍스트로 된 경유지에는 '비슬산휴양림' 바로 다음 정류장이 '한정초교' 정류장이었다. 게다가 노선 안내책자대로 비슬산휴양림에서 한정초교를 경유해서 현풍으로 갈 경우 선형이 정말 이상해지며 본말리로 가는 버스가 아예 없어진다는 것도 말이 안 되는 부분이다. 어쨌든 회사에서 행선판의 '비슬산휴양림' 부분을 떼어내고 그 자리에 '본말'이라고 붙여넣고 다니기도 했으나, 지금은 행선판이 수정되었다.

  • 첫차는 달성군청에서 출발해 현풍을 거쳐 본말로 들어오고, 이 순번은 다시 현풍 방향으로 올라갈 때 1회 달성1차산업단지를 경유한다. 막차 역시 본말에서 현풍으로 올라갈 때 약산온천을 경유한 후 현풍에서 종료한다. 이전에는 달성군청 방향으로 운행하는 순서도 있었지만, 이 시간대가 하리CNG충전소 회차 후 현풍으로 다시 내려와서 종착하는 것으로 단축되고 달성군청 출발 순서만 있다.

  • 1대당 일평균 이용률은 64명으로, 여느 오지노선들이 다 그렇듯 상당히 저조하다. 그래도 1대당 일평균 이용률이 59~60명에 그치는 최하위 간선노선보다 많다.

  • 한창 보겸이 대구살이를 하던 시절, 가태리에서 현풍읍내로 갈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여서 보겸의 대구 영상에도 심심찮게 등장한다.


4.1. 시간표[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 본말 방향 시간표
현풍(출발)도의리가태2리본말리(도착)
[4]--07:00
08:30경유08:5809:20
10:30경유10:5811:20
12:30경유12:5813:20
14:30경유14:5815:20
16:30경유16:5817:20
18:40경유19:0819:30
20:40경유21:0821:30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 현풍 방향 시간표
본말리(출발)가태2리도의리현풍(도착)
07:00경유07:2008:00[5]
09:3009:42경유10:20
11:3011:42경유12:20
13:3013:42경유14:20
15:3015:42경유16:20
17:3017:42경유18:20
19:4019:52경유20:30
21:30경유-22:20[6]

4.2. 일평균 승차량[편집]



대구광역시 지선버스 달성6번
2014년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68명63명66명75명68명64명


5.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1 21:22:46에 나무위키 대구 버스 달성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저상버스] A B C 저상버스로만 운행한다.[1] 유가읍 도의리, 논공읍 북리 달성1차산단관리공단, 하리 구 약산온천, 논공읍 금포리 달성군청 포함.[2] 행정구역경상남도 창녕군 성산면 대산리 개실마을과도 겹친다. 정류장도 창녕군에 속한다.[3] 2011년에 자금난으로 부도났다. 바로 옆에 논공CNG충전소가 있다.[4] 달성군청(06:00)→약산온천→달성1차공단(06:22)→성요셉병원→현풍[5] 현풍→달성1차공단→성요셉병원→현풍[6] 현풍(21:50)→약산온천(22:00)→현풍