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성주, 칠곡 버스 250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칠곡 군내
성주ㆍ문양역 방면
대구 방면
마을버스
지천면 마을버스
기산면 마을버스
문서가 없는 노선은 칠곡군 농어촌버스 참고



||


파일:경일250좌석중저상.png
파일:성주 버스 250 유니시티 개조.jpg

1. 노선 정보
2. 개요
2.1. 전체 정류소 목록
3. 역사
4. 특징
4.1. 이용방법, 요금, 환승
4.2. 기타
5. 시간표, 대략적 소요시간
5.1. 문양역 경유(성주군 노선)
5.2. 영진전문대 글로벌캠퍼스 경유(칠곡군 노선, 250-1번)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좌석버스 250번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좌석버스 250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성주칠곡250.png
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성주버스정류장)종점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왜관북부정류장)
종점행첫차06:20[1]기점행첫차06:30[2]
막차21:10[3]막차21:10[4]
배차간격20~30분(성주: 1일 34회/왜관: 1일 32회)[통합]
운수사명경일교통인가대수23대
노선성주버스정류장 - 공간디자인[공간디자인] - 성산리(경일교통) - 신부리 - 선남 - 명인중고등학교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 동곡초등학교 - 문양리 - 부곡리 - 대실역 - 강창역 - 계명대학교정문 - 성서산업단지역 - 용산역 - 두류역 - 서문시장 - 원대역 - 팔달시장역 - 북부정류장 -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공단역 - 태전역 - 태전중앙시장 - 대구보건대학교 - 추동교 - 옥포 - 상납실 - 하납실 - 신1리 - 신동역 - 연화 - 삼청리 - 순심고등학교 - 왜관남부정류장 - 왜관북부정류장

중간 종료 정류소
왜관 방향대구북부정류장[5]
성주 방향대구북부정류장[6]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좌석버스 250번(문양역)
기점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성주버스정류장)종점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종점행첫차08:00기점행첫차06:30
막차19:20막차18:30
배차간격1일 4회
운수사명경일교통인가대수250번 차량으로 운행
노선성주버스정류장 - 공간디자인[공간디자인] - 성산리(경일교통) - 신부리 - 선남 - 명인중고등학교 - 광영검문소 - 성주대교 - 하산리[국도변] - 동곡초등학교 - 문양역 - 문양리 - 부곡리 - 대실역 - 강창역 - 계명대학교정문 - 성서산업단지역 - 용산역 - 두류역 - 서문시장 - 원대역 - 팔달시장역 - 북부정류장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좌석버스 250-1번
기점경상북도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왜관북부정류장)종점대구광역시 서구 비산동(북부정류장)
종점행첫차08:30기점행첫차08:10
막차18:35막차21:30
배차간격1일 4회
운수사명경일교통인가대수250번 차량으로 운행
노선왜관북부정류장 - 왜관남부정류장 - 순심고등학교 - 삼청리 - 연화 - 영진전문대학교 글로벌캠퍼스 - 신동역 - 신1리 - 하납실 - 상납실 - 옥포 - 추동교 - 대구보건대학교 - 태전중앙시장 - 태전역 - 공단역 -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 북부정류장


2. 개요[편집]


대구광역시 서구 비산7동 북부정류장(2)[7]에서 성주군 성주버스정류장(5)과 칠곡군 왜관북부정류장(5)[8]을 잇는 좌석버스 노선이다. 일부 시간대 성주에서 대구북부, 혹은 왜관에서 대구북부로 연결이 끊기기도 한다. 성주-대구북부-왜관 본선 왕복 운행 거리는 135.9km.[9]

2.1. 전체 정류소 목록[편집]



3. 역사[편집]









4. 특징[편집]



4.1. 이용방법, 요금, 환승[편집]


성주, 칠곡 250 구간요금표
성주버스정류장-대구북부정류장 구간, 성주터미널 출발 기준
구분광영 (기본요금)소학리동곡문양역대실역강창역(동산병원)계명대역이곡1동~북부정류장대구시내 승하차
성인2000원2100원2700원3200원3600원3800원4000원4200원2000원
청소년1600원1700원2200원2600원2900원3000원3200원3400원1600원
어린이1000원1100원1400원1800원1900원2000원2100원2200원1000원
교통카드 사용 시 할인 혜택 없음, 대구시내 승하차 시에만 150원 할인
왜관북부정류장 - 대구북부정류장 구간, 왜관북부 출발 기준
구분칠곡군 내돌고개(대구 경계)대구보건대태전교만평로터리북부정류장대구시내 승하차
성인2000원2000원2200원2300원2600원2600원2000원
청소년1600원1600원1800원1900원2100원2100원1600원
어린이1000원10000원1100원1200원1300원1300원1000원
교통카드 사용 시 100원 할인, 대구시내 승하차 시 150원 할인
왜관-대구북부 청소년/어린이 요금은 추정값

4.2. 기타[편집]



5. 시간표, 대략적 소요시간[편집]


도로 사정에 의해 정시 출발이 불가능할 수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대략적 소요시간은 다음과 같다. 도로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 노선 시간표는 표로 확인 가능하다. 나무위키 규정상 접기 문법을 사용하여 두었으며, 원 출처를 먼저 링크해 두었다. 첨부 이미지는 칠곡군/성주군 전체 노선 시간표 촬영본으로 타 노선 시간표가 필요하다면 참고할 것을 권한다. 칠곡군 버스시간표 (2023. 4. 12. 개정) 성주군 버스시간표 (2023. 4. 12. 개정)
성주, 칠곡 250 전체 시간표 (2023. 4. 12. 개정) (눌러서 펼치기/접기)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좌석버스 250번 운행시간표
연번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좌석버스 250번(성주-대구북부) 운행시간표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좌석버스 250(-1)번(대구북부-왜관북부) 운행시간표
성주→대구북부대구북부→성주왜관북부→대구북부대구북부→왜관북부
106:2006:1006:3006:30
206:4506:30[문양]06:5506:55
307:1006:55[문양]07:2007:20
407:3507:2007:4507:45
508:00[문양]07:4508:1008:10[영진]
608:2508:1008:30[영진]08:35
708:5008:3509:0009:00
809:1509:0009:3009:25
909:4009:2510:0009:50
1010:0509:5010:3010:15
1110:30[문양]10:2010:55[영진]10:40
1211:0010:5011:3011:05
1311:3011:2012:0011:30[영진]
1412:0011:5012:3012:00
1512:3012:2013:0012:25
1613:0012:5013:3012:55
1713:3013:2013:5513:25
1814:0013:5014:2013:55
1914:3014:2014:4514:25
2015:0014:5015:1014:55
2115:3015:10[문양]15:4015:25
2216:0015:3516:1015:55
2316:2516:0016:4016:25
2416:5016:3017:05[영진]16:55
2517:1517:0017:4017:25[영진]
2617:4017:3018:1018:00
2718:0518:0018:35[영진]18:35
2818:30[문양]18:30[문양]19:1019:10
2918:5519:0019:4019:45
3019:20[문양]19:3020:1020:20
3119:4520:0020:4020:55
3220:1020:3021:1021:30[영진]
3320:4021:00
3421:1021:30
[문양] A B C D E F G H 문양역 경유[영진] A B C D E F G H 영진전문대 경유(250-1)


5.1. 문양역 경유(성주군 노선)[편집]


파일:성주군 CI_White.svg 성주군 좌석버스 250번 문양역 경유 시간표
성주 → 문양역 →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정류장 → 문양역 → 성주
108:00106:30
210:30206:55
318:30315:10
419:20418:30

5.2. 영진전문대 글로벌캠퍼스 경유(칠곡군 노선, 250-1번)[편집]


파일:칠곡군 CI_White.svg 칠곡군 좌석버스 250-1번 시간표
왜관 → 영진 → 대구북부정류장대구북부정류장 → 영진 → 왜관
108:30108:10
210:55211:30
317:05317:25
418:35421:30

6. 연계 철도역[편집]



7.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1] 대구북부발 왜관행 첫차는 06:30.[2] 대구북부발 성주행 첫차는 06:10.[3] 본선 대구북부발 왜관행 막차는 20:55. 실질 막차는 21:30 출발 영진전문대 경유 250-1.[4] 대구북부발 성주행 막차는 21:30.[통합] 250번 본선, 문양역 지선(성주군), 영진전문대 글로벌캠퍼스 경유 250-1번 지선(칠곡군) 통합 배차간격.[공간디자인] A B 성주로터리 위치. 2020년 6월 30일까지는 성주읍에서 교통카드를 사용하여 250번을 타려면 여기까지 걸어야 했다.[국도변] A B 국도변 정류장에 정차한다.[5] 1일 8회 중간 종료하며, 4회는 300번을 운행하고, 4회는 진짜 중간 종료이다.[6] 막차시간대 한정[7] 북부정류장은 서구 비산7동이 맞지만 북구 노원생활권으로 인식이 되 권역번호는 3번을 사용했다. 실제로 309번이 북부정류장을 떠나 서대구역에서 방천리까지 연장운행해도 인지도 문제로 번호는 현행 그대로 유지되고 있다. 509번도 있기에 안 바꾼 듯[8] 칠곡지역 권역은 대부분 7번 권역이지만 지천면 일대는 달성군 하빈면과 의외적으로 근접하여 5번 권역을 쓰는데 성주군 지역 권역은 5번 권역이 맞다. 끝에 0번을 쓰는 이유는 서문시장을 거치기 때문??[9] 대구-성주 왕복 77.6km, 대구-왜관 왕복 58.3km[10] 당시 경북 일반시내버스, 일반농어촌버스 도색이었다. 현재는 의성, 문경에서만 볼 수 있다.[11] 칠곡군-성주군 노선(왜관-죽전-월항-성주 등등)과 칠곡군/성주군-대구시 노선(왜관-금남/도흥-문양역, 황학-대구북부정류장, 성주-용암-문양역)도 있다.[12] 인천 강인여객 중고이며, 전문형 천연가스버스이다.[13] 인천 삼화고속 시내부(현재는 폐지) 광역버스 중고이며, 전중문형과 전문형 2가지 모두 다녔다.[14] 현재도 고급좌석 차량을 투입하며, 자체출고 8대와 중고차 1대이다.[15] 이는 대구서부-고령-성주 버스와 0번, 14번, 400번 버스도 해당되며, 서울남부/대전행 시외버스는 기존 임시정류장에서 타야 한다.[16] 성주군 선남면 소학리. 성주터미널에서 기본거리인 10 km를 초과한 위치에 있어 기본요금보다 100원 비싸다.[17] 성서 대백창신한라타운부터. 이 구간은 최대요금이며 성서산업단지역/용산역/두류네거리/반고개/서문시장이 포함된다. 이곳으로 갈 경우 대구라고 말해도 된다.[18] 성주터미널 재건축 전, 성주 경산리 정류장에서 승차시 승차권 구입이 필수인데 실수로 교통카드를 잘못 찍어 요금이 나간경우에도 환불이 어려웠었다.[19] 그래서 왜관에서 성주로 바로 갈 때는 400번을 타야 하며, 선남면 도성리, 소학리까지도 일단 갈 거라면 하루 3번 운행하는 50, 50-1번을 타거나 이외 시간대는 400번을 타고 성주임시정류장에 내려서 다시 이 노선으로 갈아타는 것이 요금을 아끼는 편이다. 선남면 구간을 갈 때도 400번을 타고 갈아타는 것이 1시간 이내로 걸리며 오히려 이 노선 하나로 왜관-대구시내 삥삥투어하며 1시간 40분 가량 걸리는거 보다는 차라리 낫다. 단, 환승할인은 적용이 되지 않아 해당 방법으로 왜관~선남을 오갈 시 성인 기준으로 4500원이 부과된다.[20] 이는 성주군 선남면도 마찬가지. 250번은 왜관~대구 최대구간요금으로 하빈면까지는 연결해주어 거기까지는 승차가능하다.[21] 왜관에서 타는 경우도 대구보건대는 나머지 정류장 대비 100원 더 싸다.[22] 태전두성타운앞~하산리 구간[23] 이런 요금 체계 때문에 거리가 훨씬 더 짧은 성주~대실역 요금이 왜관~대실역 요금보다 훨씬 더 비싸다.[24] 대구시내 구간은 대구 버스처럼 기본요금만 찍으면 되지만, 시계외구간은 요금 계산 및 지불에 시간이 걸리니 정류장에 정차하고 있는 시간이 길어져 다른 버스에게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25] 북부정류장은 전광판이나 유리창 플랜카드를 보면 된다. 이유는 북부정류장이 왜관과 성주에서 출발한 버스의 중간종착지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 만평역-대구보건대에서 왜관방면 정류장에 서는 250번은 다 왜관가는 250이다.[26] 왜관에서 성주는 300번과 시간이 중첩되거나 막차시간대에 한해서만 북부에서 연결이 끊기지만 반대로 성주에서 왜관은 중간 시간에도 300번으로 일부 빠지거나 대구북부에서 바로 다시 성주로 돌아가기 때문에 왜관까지 안가고 북부에서 연결이 끊겨 성주로 되돌리거나 다른 행선지로 바꾸고 가는 경우가 있기 때문.[27] 일단 기본적으로 다사, 성서와 왜관의 교류량이 많다고 할 수 없으며 그냥 이론상으로 다사, 성서에서는 문양역으로 와서 왜관으로 가는게 더 빠르다. 다만 환승할인이 안 되고 배차간격도 길기 때문에(문양역-왜관 버스는 일 10회에 불과하다.) 추천하지는 않을 뿐이다. [28] 예를 들어 김천/구미에서 왜관으로 넘어와 대구 구간(태현초~북부정류장 구간)까지 이동시 환승할인 적용이 가능한 구간임을 설명하고 있는 부분.[29] 예를 들자면 약목정류장에서 왜관북부정류장까지 이동해 버스를 갈아탄후 태전역에서 하차한다 가정해보자. 이 경우 왜관-약목간 이동은 보통 11번 버스를 이용하게 된다. 이 버스를 타고 왜관 북부정류장까지 이동, 그후 250번을 타면 이 경우는 환승이 된다. 그러나 버스회사가 다르기에 기사님께 환승이라 먼저 말을 해야하는 점을 주의하자. 그러나 250번을 타고 태전역에 하차후 3호선을 이용하면 환승이 안되고 기본요금을 한 번 더 내야 한다.[30] 또한 광역환승할인 시행시 경산시 시내버스, 영천시 시내버스와도 환승할인이 적용된다. 현재 칠곡버스와 경산, 영천 버스는 환승할인이 불가능하다.[31] 대구외곽순환고속도로 개통으로 이 정류장 부근에 인도가 아주 잘 만들어져 있고, 길도 잘 되어 있어 칠곡IC, 태전동 대백맨션, 혹은 태현초까지 도보 20분 거리 내외이기에 김천, 구미 버스를 타고 칠곡까지 광역환승할인을 받는다면 거기서 내려 조금 걸어가 차라리 대구시내버스를 이용하도록 하자.[32] 이 쪽으로 칠곡2번도 들어오기는 하나 아침 시간 오전 7시 단 1회라서 왜관에서 대구북부 방향 첫차를 이용해도 환승하기는 어렵다.(6시에 추동교에서 출발하는 차도 있다.)[33] 상기 방법은 정말로 시계외 요금 추가 하나 없이 기본요금(1900원)으로 이동하고 싶다면 하는 방법이다. 사실 대구북부정류장~대구보건대 구간에서 승하차시 시계외요금은 2~500원밖에 더 부과되지 않는다. 이거마저 싫다면 상기방법을 이용하면 된다. 실제로 구미(인동)에서 왜관으로 이동해 대구보건대까지 이동하면 구미시 요금(1400원 + 구미 ~ 왜관 시계외요금 400원, 1800원) + 좌석버스 추가요금(500원) + 왜관 ~ 보건대 시계외요금(500원) 총합 2800이 부과된다. 홈페이지의 환승할인 설명이 오류가 아님을 증명하고 있다.[34] 성주 버스 성주-고령-대구서부도 있지만, 굴곡 노선인데다가 요금이 훨씬 비싸 거의 안 탄다.[35] 에어로시티, BS106. 그 중 9대는 고급좌석 차량(유니시티)이다.[36] 그러나 BIS에서도 가끔 250번이 안 뜨는 등 오류가 발생한다...[37] 그 외 시간에는 문양리에서 내려 조금 걸으면 된다.[38] 태전역에서 도시철도 이용은 어쨌거나 환승을 위해 도심을 거치는거라 권장하지 않는 데다가 왜관에서 대구시내 및 북부정류장에 최단거리로 접근할 수 있는 하납실에서 내려 지천초교, 지천역을 거쳐 금호지구까지는 걸어서 1시간 거리이고, 거기에다 왕복 4차로에 신호조차 없는 도로라서 위험하다. 아니면 신동에서 내려서 칠곡군 수요응답버스를 타 '용산리' 정류장에 내리면 된다.[39] 2015년 11월부터 2018년 10월까지는 용남고속 출신의 2008년식 BC211M 디젤이 투입되었던 대가야여객606번이었다.[40] AJ렌터카 셔틀버스는 기아 그랜버드 파크웨이로 조기대차되었다.[41] 게다가 왜관~대구 사이의 유일한 도시철도 연계 노선인 3호선도 동성로에 들어가지 않고 서문시장 쪽으로 살짝 비껴가서 추가 환승이 필요하다. 반대로 대구역동성로까지 약 500m정도 걸어가면 되고, 서대구역북부정류장과 상당히 가깝다.[42] 1일 4회 문양역을 경유하는 노선에만 해당한다.[43] 매곡사거리 하차 후 약 380 m 도보[44] 이 역이 왜관발 250번과 연계되는 마지막 3호선 정류장, 이유는 만평역(서대구고속버스터미널) 정류장에 도착한후 꺾어 대구북부정류장으로 들어가기 때문이다. 물론 선술한대로 이 버스를 타고 2호선 연선지역으로 이동 할수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