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의령 버스 의령-대구

덤프버전 :

파일:urdg-unl.png
파일:urdg-ngp.png
41인승 일반 차량, 시외버스 운행 시절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시간표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의령군 CI_White.svg 의령군 농어촌버스 의령-대구
기점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의령버스터미널)종점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
종점행첫차06:40기점행첫차15:00
막차16:10막차19:00
배차간격1일 2회
운수사명경전여객인가대수1대
노선의령버스터미널 - 용덕 - 정곡(중교) - 석곡 - 야산 - 세간 - 신반버스합동터미널 - 적교 - 내동 - 이방[1] - 대암2리 - 대암1리 - 모정 - 구지 - 대동 - 차천 - 현풍공영버스정류장 - 달성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남대구IC - 서부정류장

파일:의령군 CI_White.svg 의령군 농어촌버스 대구-신반
기점대구광역시 남구 대명동(서부정류장)종점경상남도 의령군 부림면 신반리(신반버스합동터미널)
종점행첫차09:10기점행첫차12:10
막차-막차-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경전여객인가대수1대
노선서부정류장 - 남대구IC - 중부내륙고속도로지선 - 북현풍IC - 현풍공영버스정류장 - 차천 - 대동 - 구지 - 모정 - 대암1리 - 대암2리 - 이방[2] - 내동 - 적교 - 신반버스합동터미널


2. 개요[편집]


경전여객이 운영하는 농어촌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172km.


3. 역사[편집]



  • 2020년에 코로나19로 인해 운휴했다가 3회로 대폭 감축하여 운행을 재개했으며, 진주완행, 이방종착, 현풍종착, 구지종착은 모두 운행중지되었다. 또한 41인승 일반이 사라지고 28인승 서비스우등이 투입되기 시작했다.

  • 일자 미상 동일익스프레스로 이관되었다가 2021년 8월 20일에 의령군 농어촌버스로 전환되었다.

  • 2021년 8월 23일에 다시 경전여객으로 이관되었다.

  • 2021년 11월 3일에 의령버스터미널로 1일 2회에 한해 연장되었다.

  • 2022년 1월 27일에 의령 농어촌버스 차량 2대가 증차되면서 고정 투입에서 랜덤 투입으로 전환되었다.


4. 특징[편집]



  • 경로상 합천군, 창녕군을 경유한다.

  • 코로나 이후에는 28석 우등형 차량으로 운행한다[3].

  • 이방에서는 이방면 행정복지센터가 있는 곳(내동)과 옥아중고등학교 인근 이방약국에서 승객을 받는다. [4]

  • 의령군 농어촌버스로 전환된 이후에도 정류장 개수와 요금의 변화, 차량의 변화는 없다. 수도권도 통합거리비례제가 실시되기 전까지는 농어촌버스와 시외버스 간의 요금 차이가 거의 없다시피 했던 점을 감안하면 이해 못 할 일은 아니다. 대신 안내방송이 새로 송출되고, 교통카드도 사용 가능하다.[5][6]

  • 대구서부-현풍 수요가 주를 이루며 이방/적교 수요와 의령군 내 이동 수요도 있는 편이다.

  • 대구-현풍 30분, 이방 50분, 적교 1시간 5분, 신반 1시간 20분, 의령 1시간 50분 정도 소요된다.[7]

  • 2023년 1월 1일 단일요금제 시행 이후에는 의령 관내에서만 이용시에는 1000원[8]만 적용된다. 물론 의령 밖으로 나가면 얄짤없이 요금폭탄이다. 참고로 의령-대구서부 전구간을 이용한다면 11,100원의 운임을 징수하는데, 이는 전국 시내,농어촌버스 최고운임이다.[9]

  • 농어촌버스지만 시외버스 시절의 흔적으로 시외,고속버스 요금 인상시 의령군 관내 이용 요금을 제외한 나머지 구간은 같이 요금이 오른다.

  • 신반-의령간 막차를 담당하고 있으며 20:05이 시간표상 시간이나 실제로는 20:10 ~ 20:15에 통과하는 경우가 대다수다.

  • 경상남도 의령군 농어촌버스라서 당연히 환승할인은 적용되지 않는다. 이 노선은 대구권 밖으로 나가며 경남으로 나가기 때문에, 2024년 대구권 광역환승할인도 제외된다. 또한 카카오맵, 네이버 지도 등 포털 사이트에도 표기되지 않는다.

  • 대구광역시에 진입하는 시내/농어촌버스 중 유일하게 대구권 밖을 운행한다.

  • 달성군 구지면 대암리(대암1리, 대암2리)에서 서부정류장으로 한번에 갈 수 있는 유일한 노선이다. 대암1리는 달성7번이 오지 않아 이 노선이 대암1리를 정차하는 유일한 노선이었으나 2022년 8월 13일부터 달성7번의 경로 변경으로 달성7번이 대암1리에 들어옴에 따라 유일한 노선이 아니게 되었다[10].



4.1. 시간표[편집]



의령 -> 대구서부 방면 운행시간표
순번의령신반이방현풍대구
106:4007:1007:2508:1008:40
2-12:1012:2513:1013:40
3[11]16:1016:4016:5517:4018:10



대구서부 -> 의령 방면 운행시간표
순번대구현풍이방신반의령
109:1009:4010:0010:15-[12]
215:0015:3015:5016:0516:35[13]
319:0019:3019:5020:0520:35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대구광역시 휘장_White.svg 대구광역시 - 근교지역간 시내·농어촌버스
[ 펼치기 · 접기 ]

4권역
(청도군)
00-1
5권역
(칠곡군)
성서27920
2750250
5권역
(성주군)
250성주-대구서부
6권역
(고령군)
650달성1606
6권역
(창녕군)
달성6달성7
7권역
(칠곡군)
급행3급행9급행9-1527
730칠곡2칠곡3팔공3
38200250300
7권역
(구미시)
칠곡373-378-3
8, 9권역
(경산/영천)
틀:대구-경산/영천간 시내버스
권역 외
(의성군)
군위-탑리, 백학군위-달산군위-상곡
권역 외
(의령군)
의령/신반-대구[1]
[1] 시외버스→농어촌버스 전환



비수도권 고속도로 경유노선
[ 펼치기 · 접기 ]

부산광역시10051008
울산광역시1733
충청남도
당진시
92009201
전라남도
담양군
311311-1311-2
311-3311-4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고령-대구서부
경상남도
양산시
110012001300
150030003100
경상남도
의령군
의령,신반-대구서부의령,신반-마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23:02:51에 나무위키 의령 버스 의령-대구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방식당 앞 주차장에서 승하차[2] 이방약국 앞에서 승하차, 이방약국에서 승차권 판매[3] 2020년까지 45석 일반형 유니버스 럭셔리로 운행하였으며, 2010년 후반 이전에는 뉴 슈퍼 에어로시티가 운행하였고, 2014년 이전까지는 AM928이 운행하였다.[4] 카카오맵에 이방정류소로 등록되어 있는 장소다.[5] 다만 서부정류장에서는 교통카드 사용이 불가능하다. 그 이외 승강장에서는 모두 사용가능[6] 서부정류장에서 교통카드 사용할 경우 매표소 수입에 방해되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하다. 이는 교통카드 단말기가 있는 거창고속대원고속 해인사 노선, 경일교통 고령 경유 성주 노선도 해당되는 사항이다. 다만 대구권 광역환승할인이 시행될 경우 거창고속은 몰라도 경일교통 노선들은 논란이 될 수도 있다.한때 이 정류장에서 거창고속이 거창행 노선에 교통카드로 요금결제 승차하여 터미널에서 매표수입 민원이 들어왔기 때문[7] 도로 사정에 따라 다르다. 의령 16:10 출발 대구서부행의 경우 남대구IC 정체로 인해 최소 2시간은 잡아야 한다.[8] 교통카드 이용시 성인 기준 900원[9] 최저운임은 청송군 농어촌버스, 완도군 농어촌버스(모든 이용객 0원)[10] 하지만 창녕 이방면과 인접한 마을인 대암2리 샛골은 여전히 이 노선을 이용해야 한다.[11] 진주 14:45 출발 888번이 의령 종착 후 대구행으로 운행[12] 신반 종착. 의령으로 갈 사람은 신반에서 내린 다음 10분 뒤에 있는 의령 버스 의령-마산으로 갈아타면 된다.[13] 종착 후 의령 17:00발 888번으로 운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