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동군

덤프버전 :

||


大同郡 / Taedong County

대동군
大同郡 / Taedong County
국가북한
광역시도평안남도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14면
북한 기준 행정구역1읍 1로동자구 21리
시간대UTC+9


1. 개요
2. 역사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4. 북한 기준 행정구역



1. 개요[편집]


평안남도 남서부에 위치한 군. 동쪽은 평양시, 서쪽은 증산군, 남쪽은 남포시, 북쪽은 평원군과 접해 있다.

김일성의 고향이기도 하다.


2. 역사[편집]


조선 시대에 평안도 평양부에 속했다. 1914년 일제에 의해 실시된 부군면 통폐합 때 평양부의 21개 면을 17개 면으로 통폐합하면서 평양부로부터 분리하여 대동군을 신설하였고, 일부 지역은 강서군·평원군으로 넘겨주었다. 군 이름은 대동강에서 따왔다. 이후 평양이 지속적으로 영역을 확장하면서 대동군의 평양 인접 지역이 평양으로 편입되는 것을 거듭하여 현재의 영역이 되었다.

1946년 임원면 남사리, 북사리, 고산리, 상오리, 청호동, 양암리를 평양시에 편입하였다.

1947년 율리면, 용연면, 남관면, 청룡면이 중화군으로, 시족면이 강동군으로, 대보면이 강서군으로 편입되었다. 동시에 평원군 동암면, 순안면, 양화면을 편입하였다.

1948년 고평면의 상단리, 중단리, 하단리를 평양시로 편입하였다.

대한민국의 이북 5도 행정구역 하에서는 여전히 평양시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다.

역사적으로 평양부와 같은 행정구역이었다가 도·농(부·군) 분리된 것인 만큼, 통일이 되면 이 지역들은 대부분 자연스럽게 평양(광역)시에 흡수될 가능성이 매우 크다. 구 동래군과 비슷한 케이스.


3.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파일:평안남도 대동군 군기.svg

파일:대동군.jpg

군청소재지는 평양시 인흥리에 있다. 면적 949.39㎢. 평양시를 도넛 모양으로 둘러싸고 있으며, 통합 이전 청원군과 비슷한 사례. 통일이 되면 대부분의 지역이 평양시의 구 지역으로 재편성되거나, 평양이 광역시로 승격된다면 일부 지역은 평양시의 자치구로 편입되고 나머지 지역이 평양광역시 대동군이 될 가능성이 높다.

북한 기준으로 원래의 대동군 서부의 김제면, 남형제산면 일부, 대보면 극히 일부, 재경리면 일부 지역만 대동군으로 남고, 나머지 지역은 대부분 평양시에 편입돼 평양 교외 지역의 여러 구역들로 편제되었고, 대보면 대부분 지역과 용악면 북부, 청룡면 남강 이북 지역 등 일부는 강서구역, 천리마구역, 평성시, 승호군 등 평양시 주변 행정구역으로 편입되었다.
















4. 북한 기준 행정구역[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2 02:51:27에 나무위키 대동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 시기에 대동군 대동강 이남 지역인 남관면,율리면, 용연면, 청룡면이 중화군에 편입되었다.[2] 기본적으로 이북 5도의 행정구역은 1945년 8월 15일 해방 당시의 행정구역을 기준으로 하나 해방 이후 이루어진 행정구역 개편이 일부 반영된 사례가 있는데 사리원시, 송림시, 선천군 운종면, 안변군 석왕사면, 신고산면 등이 해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