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

덤프버전 :

||


파일:팀 코리아 로고.svg
Team KOREA
Team Republic of Korea
국가 코드 KOR
올림픽위원회 파일:대한체육회 로고.svg 대한체육회 (KSOC)
대륙 파일:아시아올림픽평의회 로고.svg 아시아올림픽평의회(OCA)
최고 순위 4위 (1988 서울 올림픽)
5위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최다
메달 수
33개 (1988 서울 올림픽)
17개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최다
금메달 수
13개 (2008 베이징 올림픽, 2012 런던 올림픽)
6개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1. 개요
2. 메달
2.2. 하계 올림픽 대회별 메달 집계
2.3.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1]
2.4. 동계 올림픽 대회별 메달 집계
2.5.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
3. 종목별 성적
4. 역대 하계 올림픽 대회
5. 역대 동계 올림픽 대회
6. 역대 기수
6.1. 하계
6.2. 동계
7. 연관 국가대표팀 목록
7.1. 하계
7.2. 동계
7.3. 관련 템플릿



1. 개요[편집]


파일:TeamKorea_logo_2008.png파일:팀 코리아 엠블럼.svg
前 로고(2008년~2009년)現 로고(2010년~)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을 서술한 문서.

대한민국은 1948년 런던 하계 올림픽부터 올림픽에 참가해서 1988년 서울 하계 올림픽을 개최했으며, 이 대회에서 금메달 12개, 은메달 10개, 동메달 11개를 획득하여 역대 대한민국 올림픽 최고 성적인 종합 4위를 기록하였다.

특히 하계 올림픽에서는 핸드볼, 유도, 태권도, 역도, 양궁, 사격, 탁구, 배드민턴은 대한민국이 강세를 보이는 종목이며, 최근 20년간 하계 올림픽의 경우 시드니 올림픽과 도쿄 올림픽을 제외하면 메달 종합 10위 이내의 성적을 올렸다.

동계 올림픽에서는 쇼트트랙과 스피드스케이팅이 주력 메달종목이며, 피겨스케이팅, 스켈레톤 부문은 1회 금메달을 수상한 바 있다.

2020 도쿄 올림픽에서 신설된 종목들을 제외할 시, 대한민국이 아직 메달을 따보지 못한 종목은 다이빙, 럭비, 리듬체조, 비치발리볼, 사이클, 수구, 승마, 아티스틱 수영, 요트, 조정, 카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트램펄린 14개 종목이다.

최대 성적 은메달 종목은 필드하키, 농구, 스노보드, 컬링, 봅슬레이 5개 종목이다.

마지막으로 최대 성적 동메달 종목은 배구, 축구, 근대 5종 3개 종목이다.

현재 올림픽 대표팀 단복(개회식, 메달 수상시 입는 단복)은 노스페이스에서 제작한다. 각 대표팀별로 용품 제조사가 다르나 올림픽에서는 경기 때 입는 유니폼을 제외하고는 단복을 착용해야 한다.


2. 메달[편집]



2.1. 역대 메달리스트[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메달리스트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2. 하계 올림픽 대회별 메달 집계[편집]


  • 상위 10위 이내 든 경우 굵은 글씨로 표기

역대 대회별 메달 집계
대회순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948 런던 올림픽[2]32위0022
1952 헬싱키 올림픽[3]37위0022
1956 멜버른 올림픽[4]29위0112
1960 로마 올림픽[5]없음0000
1964 도쿄 올림픽[6]27위0213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7]36위0112
1972 뮌헨 올림픽[8]33위0101
1976 몬트리올 올림픽[9]19위1146
1980 모스크바 올림픽불참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10]10위66719
1988 서울 올림픽[11]4위12101133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12]7위1251229
1996 애틀랜타 올림픽[13]10위715527
2000 시드니 올림픽[14]12위8101028
2004 아테네 올림픽[15]9위912930
2008 베이징 올림픽[16]7위1311832
2012 런던 올림픽[17]5위139830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18]8위93921
2020 도쿄 올림픽[19]16위641020
통계[20]15위9691101288



2.3. 하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21][편집]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비고
양궁279743세계 1위
태권도123722세계 1위
유도11171846세계 3위
레슬링11111436
사격79117
배드민턴67720세계 3위
펜싱53816
복싱371020
역도36716
탁구331218세계 2위
체조24511
핸드볼2417
수영1304
육상1102
야구1012
골프1001
필드하키0303
농구0101
배구0011
축구0011
근대 5종0011
합계9691101288

1948 ~ 1976 주요 종목 메달 집계
종목19481952195619601964196819721976
레슬링01
10
01
복싱00000
00111
11001
역도000
000
111
유도정식종목 아님0정식종목
아님
00
011
102

1984 ~ 2020 주요 종목 메달 집계
종목1984198819921996200020042008201220162020
레슬링2221110100
1213210000
4510101010
배드민턴정식종목 아님22011000
12121000
10111111
복싱1200000000
1101000100
1120021000
사격0020001310
0100121211
0000010000
수영0000001000
0000001200
0000000000
양궁1322332344
0221112000
1101101110
유도2212011200
2014212021
1122311112
역도0010002000
0100022100
0100000110
체조0000000101
0001111000
0110110001
탁구아님200010000
100010100
152112000
태권도정식 종목 아님324120
100101
020032
펜싱0000100211
0000001101
0000100313
핸드볼0110000000
1101010000
0000001000



2.4. 동계 올림픽 대회별 메달 집계[편집]


  • 상위 10위 이내 든 경우 굵은 글씨로 표기

역대 대회별 메달 집계
대회순위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22]10위2114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23]6위4116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24]9위3126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25]14위2204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26]7위63211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27]5위66214
2014 소치 동계올림픽[28]13위3328
2018 평창 동계올림픽[29]7위58417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30]14위2529
통계[31]15위33301679



2.5. 동계 올림픽 종목별 메달 집계[편집]



종목별 메달 집계
종목금메달은메달동메달합계비고
쇼트트랙26161153세계 1위
스피드 스케이팅510520
피겨 스케이팅1102
스켈레톤1001
스노보드0101
봅슬레이0101
컬링0101
합계33301679

주요 종목 메달 집계
종목199219941998200220062010201420182022
쇼트트랙243262232
11234113
1121222
스피드 스케이팅311
12142
122



3. 종목별 성적[편집]



3.1. 하계 올림픽[편집]



하계 올림픽 종목별 최고 성적[32]
종목남자대회순위여자대회순위혼성[33]대회순위
파일:가라테 픽토그램.svg 가라테박희준20205위기록 없음---
파일:골프 픽토그램.svg 골프안병훈201611위박인비2016---
파일:근대5종 픽토그램.svg 근대5종전웅태2020김세희202011위---
파일:기계체조 픽토그램.png 기계체조신재환2020여서정2020---
파일:농구 픽토그램.svg 농구대표팀19488위대표팀1984---
파일:다이빙 픽토그램.svg 다이빙우하람20204위김수지202015위---
파일:럭비 픽토그램.svg 럭비대표팀202012위기록 없음---
파일:리듬체조 픽토그램.svg 리듬체조---손연재20164위---
파일:레슬링 픽토그램.svg 레슬링김현우2012이나래20047위---
파일:배구 픽토그램.svg 배구대표팀19845위대표팀1976---
파일:배드민턴 픽토그램.svg 배드민턴하태권-김동문2004방수현1996이용대-이효정2008
파일:권투 픽토그램.svg 복싱박시헌1988오연지20209위---
파일:사격 픽토그램.svg 사격진종오2016김장미2012남태윤-권은지20204위
파일:트랙 자전거 픽토그램.png 사이클 트랙조호성20004위이혜진20168위---
파일:도로 자전거 픽토그램.png 사이클 도로박현곤198821위나아름201213위---
파일:수구 픽토그램.svg 수구대표팀198812위기록 없음---
파일:수영 픽토그램.svg 수영박태환2008남유선20047위기록 없음
파일:스포츠 클라이밍 픽토그램.svg 스포츠 클라이밍천종원202010위서채현20208위---
파일:승마 픽토그램.svg 승마[34]------대표팀19887위
파일:아티스틱 스위밍 픽토그램.svg 아티스틱 스위밍---장윤경-유나미200011위---
파일:야구 픽토그램.svg 야구대표팀2008------
파일:양궁 픽토그램.svg 양궁대표팀2020안산2020김제덕-안산2020
파일:역도 픽토그램.svg 역도사재혁2008장미란2008---
파일:요트 픽토그램.svg 요트하지민20207위주순안200013위박병기-심규해[35]198816위
파일:유도 픽토그램.svg 유도송대남2012조민선1996대표팀202016강
파일:육상 픽토그램.svg 육상[36]황영조1992김희선19888위기록 없음
파일:조정 픽토그램.svg 조정대표팀198810위대표팀19849위---
파일:트라이애슬론 픽토그램.png 철인3종허민호201254위기록 없음기록 없음
파일:축구 픽토그램.svg 축구대표팀2012기록 없음---
파일:스프린트 카누 픽토그램.png 카누조광희-최민규20169위대표팀198813위---
파일:탁구 픽토그램.svg 탁구유승민2004현정화-양영자1988전지희-이상수20208강
파일:태권도 픽토그램.svg 태권도차동민2008오혜리2016---
파일:테니스 픽토그램.svg 테니스김봉수198816강김일순198816강김일순-이정명198816강
파일:펜싱 픽토그램.svg 펜싱사브르 단체2020김지연2012---
파일:필드 하키 픽토그램.svg 하키대표팀2000대표팀1996---
파일:핸드볼 픽토그램.svg 핸드볼대표팀1988대표팀1992---

하계 올림픽 종목별 참가 현황
[37]
종목485256606468727684889296000408121620
파일:가라테 픽토그램.svg 가라테
파일:골프 픽토그램.svg 골프
파일:근대5종 픽토그램.svg 근대5종
파일:농구 픽토그램.svg 농구
파일:다이빙 픽토그램.svg 다이빙
파일:럭비 픽토그램.svg 럭비
파일:레슬링 픽토그램.svg 레슬링
파일:배구 픽토그램.svg 배구
파일:배드민턴 픽토그램.svg 배드민턴
파일:권투 픽토그램.svg 복싱
파일:사격 픽토그램.svg 사격
파일:트랙 자전거 픽토그램.png 사이클
파일:수구 픽토그램.svg 수구
파일:수영 픽토그램.svg 수영
파일:스포츠 클라이밍 픽토그램.svg 스포츠 클라이밍
파일:승마 픽토그램.svg 승마
파일:아티스틱 스위밍 픽토그램.svg 아티스틱 스위밍
파일:야구 픽토그램.svg 야구
파일:양궁 픽토그램.svg 양궁
파일:역도 픽토그램.svg 역도
파일:요트 픽토그램.svg 요트
파일:유도 픽토그램.svg 유도
파일:육상 픽토그램.svg 육상
파일:조정 픽토그램.svg 조정
파일:트라이애슬론 픽토그램.png 철인3종
파일:기계체조 픽토그램.png 체조
파일:축구 픽토그램.svg 축구
파일:스프린트 카누 픽토그램.png 카누
파일:탁구 픽토그램.svg 탁구
파일:태권도 픽토그램.svg 태권도
파일:테니스 픽토그램.svg 테니스
파일:펜싱 픽토그램.svg 펜싱
파일:필드 하키 픽토그램.svg 하키
파일:핸드볼 픽토그램.svg 핸드볼



3.1.1. 양궁[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양궁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2. 펜싱[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펜싱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3. 태권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태권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4. 배드민턴[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배드민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1.5. 탁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탁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 동계 올림픽[편집]



동계 올림픽 종목별 최고 성적 [38]
종목남자대회순위여자대회순위혼성[39]대회순위
파일:노르딕 복합 픽토그램.png 노르딕 복합박제언202242위------
파일:루지 픽토그램.svg 루지박진용-조정명20189위아일린 프리쉐[40]20188위대표팀[41]20189위
파일:바이애슬론 픽토그램.png 바이애슬론티모페이 랍신201816위예카테리나 아바쿠모바201816위기록 없음
파일:봅슬레이 픽토그램.png 봅슬레이서영우-원윤종20186위김민성-김유란201816위4인승[42][43]2018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쇼트트랙황대헌2022최민정2022대표팀[44]20229위
파일:스노보드 픽토그램.png 스노보드이상호2018정해림202218위기록 없음
파일:스켈레톤 픽토그램.png 스켈레톤윤성빈2018정소피아201815위---
파일:스키점프 픽토그램.png 스키점프대표팀[45][46]20028위박규림201835위기록 없음
파일: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스피드 스케이팅이승훈2018이상화2014---
파일:아이스하키 픽토그램.svg 아이스하키대표팀[47]201812위[남북단일팀][48]20188위---
파일:알파인 스키 픽토그램.svg 알파인 스키정동현202221위김소희202233위---
파일:컬링 픽토그램.svg 컬링대표팀[49]20187위대표팀[50]2018이기정-장혜지20186위
파일:크로스 컨트리 스키 픽토그램.png 크로스컨트리 스키대표팀[51][52]199215위주혜리-이채원[53]201821위---
파일:프리스타일 스키 픽토그램.png 프리스타일 스키최재우[54]201810위서정화201814위기록 없음
파일: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피겨 스케이팅차준환20225위김연아2010단체전[55]20189위

동계 올림픽 종목별 참가 현황 [56]
종목48566064687276808488929498020610141822
파일:노르딕 복합 픽토그램.png 노르딕 복합
파일:루지 픽토그램.svg 루지
파일:바이애슬론 픽토그램.png 바이애슬론
파일:봅슬레이 픽토그램.png 봅슬레이
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쇼트트랙[57]
파일:스노보드 픽토그램.png 스노보드
파일:스켈레톤 픽토그램.png 스켈레톤
파일:스키점프 픽토그램.png 스키점프
파일: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스피드 스케이팅
파일:아이스하키 픽토그램.svg 아이스하키
파일:알파인 스키 픽토그램.svg 알파인 스키
파일:컬링 픽토그램.svg 컬링
파일:크로스 컨트리 스키 픽토그램.png 크로스컨트리 스키
파일:프리스타일 스키 픽토그램.png 프리스타일 스키
파일:피겨 스케이팅 픽토그램.svg 피겨 스케이팅

3.2.1. 쇼트트랙[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쇼트트랙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3.2.2. 스피드 스케이팅[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스피드 스케이팅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역대 하계 올림픽 대회[편집]


대한민국의 올림픽 참가 역사는 여타 선진국들이나 스포츠 강국들에 비해 짧은 편에 속한다. 정부수립이 된 1948년에 열린 1948 런던 올림픽에 처음으로 참가했다. 참고로 동계올림픽은 같은 해에 열린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부터 참가하기 시작했다.

그 짧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1960 로마 올림픽을 제외하면 출전한 모든 대회에서 꾸준히 메달을 획득했으며, 1976 몬트리올 올림픽에는 사상 첫 금메달을 획득하는 기쁨을 누렸다. 이후 본격적인 경제성장 및 산업화의 성과가 가시화되기 시작하던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에서 처음으로 메달 순위 톱 10에 진입하기 시작한 이래 꾸준히 좋은 성적을 거둬오면서 지금은 기존의 스포츠 선진국들과 어깨를 나란히 할 정도의 스포츠 강국으로 거듭났다.


4.1. 1948 런던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0명, 선수21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복싱, 사이클, 승마, 역도, 육상

1948 런던 올림픽 대한민국 성적
순위32위
메달002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동메달남자 역도 미들급[58]
김성집
동메달남자 복싱 플라이급[59]
한수안


4.2. 1952 헬싱키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0명, 선수21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복싱, 사이클, 승마, 역도, 육상

1952 헬싱키 올림픽 대한민국 성적
순위37위
메달002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동메달남자 복싱 밴텀급[60]
강준호
동메달남자 역도 미들급[61]
김성집


4.3. 1956 멜버른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2명, 선수 35명 참가.
  • 참가 종목: 농구,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역도, 육상

1956 멜버른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29위
메달011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은메달남자 복싱 밴텀급[62]
송순천
동메달남자 역도 라이트급[63]
김창희


4.4. 1960 로마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31명, 선수 36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승마, 역도, 육상, 체조

1960 로마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
메달000


4.5. 1964 도쿄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59명, 선수 165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구,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승마,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펜싱.

1964 도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26위
메달021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은메달남자 레슬링 자유형 52kg[64]
장창선
은메달남자 복싱 밴텀급[65]
정신조
동메달남자 유도 80kg[66]
김의태


4.6.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1명, 선수 55명 참가.
  • 참가 종목: 농구, 레슬링, 배구,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역도, 육상, 체조.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36위
메달011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은메달남자 복싱 라이트플라이급[67]
지용주
동메달남자 복싱 밴텀급[68]
장규철


4.7. 1972 뮌헨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2명, 선수 46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배구, 복싱, 사격, 수영, 역도, 유도, 육상.

1972 뮌헨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33위
메달010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은메달남자 유도 미들급 (80kg)[69]
오승립


4.8. 1976 몬트리올 올림픽[편집]


  • 기간: 7월 17일~8월 1일
  • 규모: 88개국 6026(여)명 참가.
  •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구, 복싱, 사이클, 수영, 승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펜싱, 하키, 핸드볼
  • 참가 인원: 임원 22명 선수 50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배구, 복싱, 사격, 유도.
1976 몬트리올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9위
메달114
메달리스트
메달종목비고
메달리스트
금메달남자 레슬링 자유형 페더급[70]
양정모
은메달남자 유도 라이트급(63kg)
장은경
동메달남자 유도 미들급(80kg)
박영철
동메달여자 배구[71]
여자 배구 대표팀[72]
동메달남자 레슬링 자유형 52kg급
전해섭
동메달남자 유도 무제한급[73]
조재기


4.9. 1980 모스크바 올림픽[편집]


  • 참가 종목: 불참[74]


4.10.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78명, 선수 210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구, 복싱, 사이클, 수영,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탁구, 테니스, 펜싱, 핸드볼.

1984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0위
메달667


4.11. 1988 서울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25명, 선수 477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레슬링, 배구,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1988 서울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4위
메달121011


4.12.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97명, 선수 247명 참가.
  • 참가 종목: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야구,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1992 바르셀로나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7위
메달12512


4.13. 1996 애틀랜타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16명, 선수 312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다이빙,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소프트볼, 수영, 승마, 야구,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1996 애틀랜타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0위
메달7155


4.14. 2000 시드니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12명, 선수 286명 참가.
  • 참가 종목: 농구,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야구, 양궁, 역도,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2000 시드니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2위
메달81010


4.15. 2004 아테네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09명, 선수 267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소프트볼, 수영, 승마,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펜싱, 하키, 핸드볼.

2004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9위
메달9129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4 아테네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에 대한 내용은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문서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번 문단을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6. 2008 베이징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22명, 선수 267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농구, 레슬링,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소프트볼, 수영, 승마, 야구,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카누, 탁구, 태권도, 테니스,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2008 베이징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7위
메달13118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08 베이징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에 대한 내용은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문서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번 문단을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7. 2012 런던 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29명, 선수 248명 참가.
  • 참가 종목: 근대5종, 레슬링, 배구, 배드민턴, 복싱, 사격, 사이클, 수영, 양궁, 역도, 요트, 유도, 육상, 조정, 체조, 축구, 탁구, 태권도, 트라이애슬론, 펜싱, 하키, 핸드볼.

2012 런던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5위
메달1398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2 런던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리스트에 대한 내용은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문서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번 문단을
올림픽/한국 메달리스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8.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편집]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8위
메달939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 명단 및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대한민국 문서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대한민국번 문단을
2016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4.19. 2020 도쿄 올림픽[편집]


2020 도쿄 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6위
메달6410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0 도쿄 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 명단 및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 문서
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번 문단을
2020 도쿄 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 역대 동계 올림픽 대회[편집]



5.1. 1948 생모리츠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명, 선수 3명 참가
  • 참가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대한민국의 첫 동계올림픽 참가.

5.2. 1952 오슬로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여부: 불참[75]

5.3. 1956 코르티나담페초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명, 선수 3명 참가
  • 참가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5.4. 1960 스쿼밸리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4명, 선수 7명 참가
  • 참가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알파인 스키, 크로스 컨트리

5.5. 1964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명, 선수 3명 참가
  • 참가 종목: 스피드 스케이팅

5.6. 1968 그르노블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7명, 선수 8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크로스 컨트리, 피겨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5.7. 1972 삿포로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명, 선수 5명 참가
  • 참가 종목: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5.8. 1976 인스브루크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1명, 선수 3명 참가
  • 참가 종목: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5.9. 1980 레이크플래시드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0명, 선수 10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5.10. 1984 사라예보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8명, 선수 15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5.11.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18명, 선수 28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5.12.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5명, 선수 25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0위
메달211

김윤만 선수가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올림픽 메달(은메달)을 획득했고 김기훈 선수가 대한민국 최초의 동계올림픽 금메달을 획득하였다.


5.13.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1명, 선수 24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6위
메달411

대한민국은 종합 6위의 성적을 거뒀다.


5.14.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5명, 선수 38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스키점프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9위
메달312

대한민국은 종합 9위의 성적을 거뒀다.


5.15.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7명, 선수 48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스키점프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4위
메달220

대한민국은 종합 14위의 성적을 거뒀다.


5.16.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29명, 선수 40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스켈레톤, 스키점프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7위
메달632

대한민국은 종합 7위의 성적을 거뒀다.


5.17.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37명, 선수 46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스켈레톤, 스키점프, 스노보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5위
메달662

대한민국은 종합 5위의 성적을 거뒀다. 역대 아시아 국가 최고 성적이자 대한민국의 동계올림픽 최고 성적.


5.18. 2014 소치 동계올림픽[편집]


  • 참가 인원: 임원 49명, 선수 71명 참가
  • 참가 종목: 알파인 스키, 바이애슬론, 크로스컨트리 스키, 피겨 스케이팅. 스피드 스케이팅, 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루지, 스켈레톤, 스키점프, 컬링
2014 소치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3위
메달332

대한민국은 종합 13위의 성적을 거뒀다.


5.19. 2018 평창 동계올림픽[편집]


2018 평창 동계올림픽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 메달 집계
[ 펼치기 · 접기 ]

합계순위
584177위
메달리스트 목록
[ 펼치기 · 접기 ]

선수종목메달획득일
임효준쇼트트랙남자 1,500m2월 10일(1일차)
김민석스피드 스케이팅남자 1,500m2월 13일(4일차)
윤성빈스켈레톤남자2월 16일(7일차)
최민정쇼트트랙여자 1,500m2월 17일(8일차)
서이라남자 1,000m
이상화스피드 스케이팅여자 500m2월 18일(9일차)
차민규남자 500m2월 19일(10일차)
심석희, 최민정, 김아랑, 이유빈, 김예진쇼트트랙여자 3,000m 계주2월 20일(11일차)
이승훈, 정재원, 김민석스피드 스케이팅남자 팀 추월2월 21일(12일차)
황대헌쇼트트랙남자 500m2월 22일(13일차)
임효준
김태윤스피드 스케이팅남자 1,000m2월 23일(14일차)
이상호스노보드남자 평행대회전2월 24일(15일차)
김보름스피드 스케이팅여자 매스스타트
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남자 매스스타트
김은정, 김영미, 김선영, 김경애, 김초희컬링여자2월 25일(16일차)
원윤종, 서영우, 전정린, 김동현봅슬레이남자 4인승

다른 참가국의 메달 집계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 명단 및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문서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번 문단을
2018 평창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5.20.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편집]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대한민국 메달 집계
순위14위
메달252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에 참가한 대한민국 선수 명단 및 경기 결과에 대한 내용에 대한 내용은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문서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번 문단을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대한민국#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6. 역대 기수[편집]



6.1. 하계[편집]




6.2. 동계[편집]


  • 1988 캘거리 동계올림픽-홍근표(크로스컨트리 스키)
  •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이영하(스피드 스케이팅)
  •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이준호(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허승욱(알파인 스키)
  •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허승욱(알파인 스키)
  •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개회식:이보라(스피드 스케이팅)[79] 폐회식:전다혜(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개회식:강광배(봅슬레이) 폐회식:모태범(스피드 스케이팅)
  • 2014 소치 동계올림픽-개회식:이규혁(스피드 스케이팅) 폐회식:이규혁(스피드 스케이팅)
  • 2018 평창 동계올림픽-개회식:원윤종(봅슬레이)[80] 폐회식:이승훈(스피드 스케이팅)
  •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개회식:곽윤기(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김아랑(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81] 폐회식:차민규(스피드 스케이팅)

7. 연관 국가대표팀 목록[편집]


각 종목별로 전부 올림픽에 참가가 가능한 것이 아니라 세계 선수권 대회나 예선을 통해 올림픽 출전 자격을 획득해야 한다. 올림픽 개최국은 출전권이 보장된다.


7.1. 하계[편집]




7.2. 동계[편집]




7.3. 관련 템플릿[편집]





[1] 2020 도쿄 올림픽까지 합산[2] 참가국 59개국, 세부종목 136개[3] 참가국 69개국, 세부종목 149개[4] 참가국 72개국, 세부종목 151개[5] 참가국 83개국, 세부종목 150개[6] 참가국 93개국, 세부종목 163개[7] 참가국 112개국, 세부종목 172개[8] 참가국 121개국, 세부종목 195개[9] 참가국 92개국, 세부종목 198개[10] 참가국 140개국, 세부종목 221개[11] 참가국 159개국, 세부종목 237개[12] 참가국 169개국, 세부종목 257개[13] 참가국 197개국, 세부종목 271개[14] 참가국 199개국, 세부종목 300개[15] 참가국 201개국, 세부종목 301개[16] 참가국 204개국, 세부종목 302개[17] 참가국 204개국, 세부종목 302개[18] 참가국 206개국, 세부종목 306개[19] 참가국 205개국, 세부종목 324개[20] 통계 항목의 순위는 2020 도쿄 올림픽까지 역대 하계올림픽 메달을 통틀어 금메달순으로 매긴 순위다.[21] 2020 도쿄 올림픽까지 합산[22] 64개국 참가, 57개 세부종목[23] 67개국 참가, 61개 세부종목[24] 72개국 참가, 68개 세부종목[25] 78개국 참가, 78개 세부종목[26] 80개국 참가, 84개 세부종목[27] 82개국 참가, 86개 세부종목[28] 88개국 참가, 98개 세부종목[29] 92개국 참가, 102개 세부종목[30] 91개국 참가, 109개 세부종목[31] 통계 항목의 순위는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까지 역대 동계올림픽 메달을 통틀어 금메달순으로 매긴 순위다.[32] 성적이 동일할 시 최근 대회 성적을 기록[33] 남녀 구분 없이 경쟁하는 오픈 경기 포함[34] 남녀 구분 없이 경쟁하는 오픈 종목이므로 남녀별 최고 성적은 없음.[35] 오픈 경기로 둘 다 남성이었음.[36] 육상 세부 종목별 최고 순위 : 남자 트랙 이정준(2008) 준준결승 6위, 남자 필드 우상혁(2020) 4위, 여자 트랙 송양자(1964) 조 5위, 여자 로드 이미옥(1988) 15위[37] 1980 모스크바 올림픽은 불참함[38] 성적이 동일할 시 최근 대회 성적을 기록[39] 남녀 구분 없이 경쟁하는 오픈 경기 포함[40] 귀화선수[41] 박진용, 아일린 프리쉐, 임남규, 조정명[42] 김동현, 서영우, 원윤종, 전정린[43] 오픈 경기로 넷 다 남성이었음.[44] 박장혁, 이유빈, 최민정, 황대헌[45] 강칠구, 김현기, 최용직, 최흥철[46] 개인전 최고 순위는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에서 최흥철이 기록한 30위.[47] 2018 평창올림픽 대표팀 남자부 로스터 참조[남북단일팀] 남북단일팀이 2018년 8위를 기록. 공식적으로는 대한민국 올림픽 대표팀이 아님[48] 2018 평창올림픽 대표팀 여자부 로스터 참조[49] 경북체육회 컬링팀. 선수 김창민, 성세현, 오은수, 이기복, 김민찬[50] 팀 킴(경북체육회 컬링팀). 선수 김영미, 김선영, 김은정, 김경애, 김초희[51] 김광래, 박병철, 안진수, 위재욱[52] 개인전 최고 기록은 1992년 박병철의 40위[53] 개인전 최고 순위는 2014년 이채원의 36위[54] 파이널2에서 완주하지 못함. 완주하지 못한 선수가 3인이므로 공동 10위로 간주.[55] 남자 싱글 차준환, 여자 싱글 최다빈, 페어 김규은 / 감강찬, 아이스 댄스 민유라 / 알렉산더 겜린[56] 1952년 오슬로 동계 올림픽은 불참함.[57] 시범 종목 출전[58] 한국 최초 메달[59] 복싱 최초 메달[60] 복싱 2대회 연속 메달[61] 최초 개인 2대회 연속 메달, 최초로 개인 통산 복수 메달 획득, 역도 2대회 연속 메달[62] 한국 최초 은메달, 복싱 3대회 연속 메달[63] 역도 3대회 연속 메달[64] 레슬링 최초 메달[65] 남자 복싱 밴텀급 3번째 메달 획득[66] 유도 최초 메달[67] 남자 복싱 라이트플라이급 최초 메달[68] 남자 복싱 밴텀급 4번째 메달[69] 유도 2번째 메달[70] '한국 국적'으로 최초 금메달.[71] 단체 경기 최초 메달. 여자 최초 메달.[72] 마금자, 박미금, 배명선, 변경자, 유경화, 윤경내, 이순복, 이순옥, 장혜숙, 정순옥, 조혜정[73] 유도 무제한급 최초 메달[74] 소련에서 열렸기 때문에 한국을 포함한 미국과 관련된 많은 나라가 보이콧을 선언했다.[75] 6.25 전쟁으로 인해 불참[76] 북한의 유도 감독 박정철과 공동 기수를 맡았다.[77] 북한의 농구 감독 김성호와 공동 기수를 맡았다.[78] 이 대회부터 개회식 기수는 남녀 공동 기수로 선정된다.[79] 북한의 피겨 스케이팅 선수 한정인과 공동 기수를 맡았다.[80] 북한의 아이스하키 선수 황충금과 공동 기수를 맡았다[81] 본래 스피드 스케이팅 종목의 김민선으로 예정되어 있었으나, 김민선 본인이 경기에만 집중하겠다는 결정을 내려 변경되었다.[82] 올림픽 남자축구는 만 23세 이하의 선수만 출전이 가능하도록 연령을 제한하고 있어, 대한민국 축구 국가대표팀과 같은 A대표팀은 참가할 수 없다. 대신 연령 제한이 적용되지 않는 와일드카드 선수를 각 팀당 최대 3명씩 발탁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