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준호(쇼트트랙)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가수이자 배우인 이준호에 대한 내용은 준호 문서
준호번 문단을
준호# 부분을
, 동명의 야구선수에 대한 내용은 이준호(야구선수) 문서
이준호(야구선수)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 1회(1976년) ~ 47회(2022년)
[ 펼치기 · 접기 ]

종합 우승제24회1999 소피아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1회1976 섐페인파일:미국 국기.svg 앨런 래트레이25회2000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민룡
2회1977 그르노블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26회2001 전주파일:중국 국기.svg 리자쥔
3회1978 솔리헐파일:호주 국기.svg 제임스 린치27회2002 몬트리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
4회1979 퀘백파일:일본 국기.svg 토다 히로시28회2003 바르샤바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5회1980 밀라노파일:캐나다 국기.svg 가에탕 부셰르29회2004 예테보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6회1981 뫼동파일:캐나다 국기.svg 브누아 바릴30회2005 베이징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7회1982 멍크턴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31회2006 미니애폴리스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8회1983 도쿄파일:캐나다 국기.svg 루이 그르니에32회2007 밀라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안현수
9회1984 피터버러파일:캐나다 국기.svg 기 데이뇨33회2008 강릉파일:미국 국기.svg 아폴로 안톤 오노
10회1985 암스테르담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34회2009 빈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1회1986 샤모니파일:일본 국기.svg 이시하라 타츠요시35회2010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호석
12회1987 몬트리올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
파일:일본 국기.svg 카와이 토시노부
36회2011 셰필드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노진규
13회1988 세인트루이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피터 판데르벨데37회2012 상하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곽윤기
14회1989 솔리헐파일:캐나다 국기.svg 미셸 데이뇨38회2013 데브레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다운
15회1990 암스테르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준호39회2014 몬트리올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르 안
16회1991 시드니파일:영국 국기.svg 윌프 오레일리40회2015 모스크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싱키 크네흐트
17회1992 덴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기훈41회2016 서울파일:중국 국기.svg 한톈위
18회1993 베이징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2회2017 로테르담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이라
19회1994 길드퍼드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3회2018 몬트리올파일:캐나다 국기.svg 샤를 아믈랭
20회1995 요빅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채지훈44회2019 소피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임효준
21회1996 헤이그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5회2020 서울취소COVID-19
22회1997 나가노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동성46회2021 도르드레흐트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23회1998 빈파일:캐나다 국기.svg 마크 가뇽47회2022 몬트리올파일:헝가리 국기.svg 리우 샤오앙

종합 우승제 폐지: 48회(2023년) ~
[ 펼치기 · 접기 ]

48회2023 서울500m파일:이탈리아 국기.svg 피에트로 시겔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박지원1500m파일: 국기.svg
49회2024
로테르담
500m파일: 국기.svg 5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0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1500m파일: 국기.svg





이준호
李準鎬 | Lee Joonho
파일:동계올림픽이준호1.png
출생1965년 9월 7일 (58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경주 이씨[1]
학력리라초등학교
동북중학교
서울고등학교
동국대학교
단국대학교 대학원
신체171cm, 65kg
종목쇼트트랙
주종목: 1000m, 1500m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 개요
2. 선수 경력
3. 은퇴 이후
4. 평가
5. 수상 기록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다. 초대 에이스이자 레전드인 김기훈과 함께 같은 시대에 선수 생활을 했던 1세대 쇼트트랙 선수다.


2. 선수 경력[편집]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여 1000m에서 동메달을 땄지만, 금메달을 딴 자신의 2년 후배 김기훈에게 가려졌고, 5000m 계주에서도 김기훈이 막판 뒤집기를 해내면서 2인자의 이미지가 굳어졌다.


3. 은퇴 이후[편집]


코치로서는 행보가 좋지 못하다. 2002년에 맡았던 여자 대표팀 감독직을 1년도 안 돼서 내려놓게 되었고[2]2011년에는 승부조작에 가담한 혐의로 벌금형을 물었으며 2014년엔 화성시청 코치를 하던 중에 성추행 혐의로 경찰에 고소를 당한 일까지 있었다. 또한 노선영의 코치를 맡았으나 개인 기록이 잘 빠져주지 못했다.

유일하게 평가가 좋은 쪽은 해설가로 활동하던 시기. 토리노 올림픽 당시 SBS의 전이경이나 MBC의 김동성보다도 훨씬 더 정돈되고 조리있는 해설로 호평을 받았고, 안상미가 2010년대 SBS에서 해설가로 좋은 평가를 받고 있었던 와중에도 일부 팬들 사이에서는 가끔씩 이준호의 해설이 거론되었을 정도. 물론 비판도 있는데 너무 화법이 직설적이라든지 혹은 비한체대 선수들쪽으로 조금 편파적인 해설을 했다는 지적도 있다. 특히나 이호석 항목에도 나오듯 양보 드립을 한 장본인이다. 본인은 이호석이 충돌을 피하기 위해 굳이 무리하지 않았다는 뜻으로 말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결국 여기서 파생된 양보 드립이 수많은 기사에 실리며 정작 이런 말을 한 적도 없는 이호석이 피해를 봤다.

한창 파벌 싸움으로 시끄러울 때 안현수를 깐 적도 있다. 하지만 안현수가 불참한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에는 생각이 바뀌었는지 "안현수 같은 해결사가 없었서 아쉬웠다" 라는 발언을 했고, 2014 소치 동계올림픽에서는 그의 활약을 극찬함과 동시에 한 인터뷰에서는 한국은 국보급 선수를 잃었다는 말을 하기도 했다. 다만 안현수에 대한 그의 입장이 변한 시점은 전명규가 안현수의 가장 든든한 우군에서 가장 큰 적으로 돌변한 이후임을 간과할 수 없다. 대표적인 비한체대파이자 반전명규 인사인 이준호의 입장에서는 소치 동계올림픽 때 맹활약한 빅토르 안을 치켜세울수록 전명규의 입장이 난처해질 수밖에 없다. 이렇게 사건이 많았던 지라 해설가로 복귀할 수 있을지는 의문이다.


4. 평가[편집]


김기훈 만큼은 아니지만 그의 기량과 성적으로 보면 충분히 레전드급 활약을 펼쳤다고 볼 수 있는 인물이다. 원래는 스피드 스케이팅 단거리 종목 선수였는데 그 덕분인지 폭발적인 스피드와 파워를 갖추고 있었고, 순간 스피드와 지구력도 겸비한 선수였으나 쇼트트랙에서 스피드와 파워보다도 더 중요한 기술과 경기운영능력 면에서는 김기훈에 비해 약간 떨어지는 편이었다.


5. 수상 기록[편집]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1992 알베르빌5000m 계주
동메달1992 알베르빌1000m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시범 종목[3]
1위1988 캘거리(시범)3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1990 암스테르담종합
금메달1990 암스테르담3000m
금메달1991 시드니1500m
동메달1992 덴버1000m
동메달1993 베이징1000m
동메달1988 세인트루이스5000m 계주
동메달1989 솔리헐5000m 계주
동메달1990 암스테르담1000m
동메달1991 시드니종합
동메달1992 덴버종합
동메달1992 덴버500m
동메달1995 예비크15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1994 케임브리지단체전
은메달1991 서울단체전
은메달1995 조테미어단체전
파일:아시안 게임 로고.svg 아시안 게임
금메달1990 삿포로5000m 계주
은메달1990 삿포로1500m
은메달1990 삿포로3000m
파일:FISU 로고.svg 유니버시아드
금메달1989 소피아5000m 계주
금메달1989 소피아500m
금메달1993 자코파네1000m
금메달1993 자코파네1500m
금메달1993 자코파네3000m
은메달1989 소피아1000m
은메달1989 소피아3000m
동메달1993 자코파네500m

[1] '호(鎬)'자 항렬로 따져봤을 때 한자가 같은 '호'인 점으로 봐서 경주 이씨일 확률이 높다.[2] 후임은 김소희와 최광복이었다.[3] 올림픽 홈페이지에 순위는 표시되지만, 메달집계는 되지 않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4 11:38:30에 나무위키 이준호(쇼트트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