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두산 베어스/2군

덤프버전 :

||




파일:두산 베어스 엠블럼.svg
두산 베어스
Doosan Bears
창단 1983년 7월 8일(40주년)[1]
법인 설립 1983년 3월 24일(41주년)
법인명 ㈜두산베어스
업종명 스포츠 클럽 운영업
상장 유무비상장 기업
기업 규모대기업
구단명 변천OB 베어스 2군 (1983~1998)
두산 베어스 2군 (1999~ )
모기업두산그룹
연고지경기도 이천시 (1983~ )
구단주박정원
구단주 대행 전풍
사장
단장 김태룡
감독76 이정훈
소속 리그 변천북부리그 (1990~)
블루리그 (2015)[2]
홈구장베어스 파크 (1983~ )
1군두산 베어스
워드 마크 파일:두산 베어스 워드마크.svg파일:두산 베어스 워드마크 화이트.svg
링크 파일:유튜브 아이콘.svg[퓨대기] |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퓨대기]
퓨처스리그 우승 (2회)
북부리그1992년, 2000년
프랜차이즈 구단 기록
[ 펼치기 · 접기 ]

최고 승률0.596
2000년 60경기 34승 3무 23패
최저 승률0.307
2017년 95경기 27승 7무 61패
최다 승48승
2023년 93경기 48승 1무 44패
최다 패61패
2011년 102경기 31승 10무 61패
2017년 95경기 27승 7무 61패


1. 개요
2. 역사
3. 홈구장
4. 역대 감독
5. 역대 성적



1. 개요[편집]



두산 베어스의 2군 야구단. 두산이 자랑하는 화수분 야구의 기초가 되는 곳이며 두산 그룹의 오너 일가가 1군만큼 신경써서 다른 구단들에 비해 대우나 지원이 확실히 좋은 편이다.


2. 역사[편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2군 야구단이다. 삼미 슈퍼스타즈가 1983년 7월 6일, 한국프로야구 사상 최초로 2군 창단을 발표한지 2일후인 7월 8일에 2군 팀 창단을 발표했다.당시 기사 거기다 최초의 2군구장인 베어스 필드를 이천 OB 맥주 공장 부지에 건설했고, 창원에도 야구장을 건설해 2곳을 번갈아 가며 홈구장으로 사용했다.

1990년 퓨처스리그가 만들어지며 북부리그에 편입되었으며 지금에 이르고 있다. 다만 팀 성적은 우승 2회에 꼴찌 14번(...)으로 1군이었다면 삼미 슈퍼스타즈 급 성적이지만, 2군의 목적이 선수 육성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크게 문제되지 않는다.


3. 홈구장[편집]




4. 역대 감독[편집]


||
[ 펼치기 · 접기 ]


||<-5><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131230> ||
||<bgcolor=#ffffff> 초대 ||<bgcolor=#ffffff> 2대 ||<bgcolor=#ffffff> 3대 ||<-2><bgcolor=#ffffff> 4대 ||
||<width=20%><bgcolor=#ffffff> 강대중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3~1984) ||<width=20%><bgcolor=#ffffff> 배수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5) ||<width=20%><bgcolor=#ffffff> 이충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6) ||<width=20%><bgcolor=#ffffff>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width=20%><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7) ||
||<-2><bgcolor=#ffffff> 5대 ||<bgcolor=#ffffff> 6대 ||<bgcolor=#ffffff> 7대 ||<bgcolor=#ffffff> 8대 ||
||<bgcolor=#ffffff> 이광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8) ||<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이선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89~1990) ||<bgcolor=#ffffff> 윤동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0~1991) ||<bgcolor=#ffffff> 정연회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1~1994) ||<bgcolor=#ffffff>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5~1996) ||
||<bgcolor=#ffffff> 9대 ||<bgcolor=#ffffff> 10대 ||<bgcolor=#ffffff> 11대 ||<bgcolor=#ffffff> 12대 ||<bgcolor=#ffffff> 13대 ||
||<bgcolor=#ffffff> 김윤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7) ||<bgcolor=#ffffff>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bgcolor=#ffffff> 강태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8) ||<bgcolor=#ffffff> 손상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1999~2003) ||<bgcolor=#ffffff>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4~2006) ||
||<bgcolor=#ffffff> 14대 ||<bgcolor=#ffffff> 15대 ||<bgcolor=#ffffff> 16대 ||<-2><bgcolor=#ffffff> 17대 ||
||<bgcolor=#ffffff> 박종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7~2009) ||<bgcolor=#ffffff> 김광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0) ||<bgcolor=#ffffff> 박승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1) ||<bgcolor=#ffffff>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bgcolor=#eeeeee,#191919> 감독대행
김우열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2) ||
||<bgcolor=#ffffff> 18대 ||<bgcolor=#ffffff> 19대 ||<bgcolor=#ffffff> 20대 ||<bgcolor=#ffffff> 21대 ||<bgcolor=#ffffff> 22대 ||
||<bgcolor=#ffffff> 송일수 파일:일본 국기.svg
(2013) ||<bgcolor=#ffffff> 황병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4) ||<bgcolor=#ffffff> 송재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5) ||<bgcolor=#ffffff> 공필성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6~2017) ||<bgcolor=#ffffff> 이강철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7) ||
||<bgcolor=#ffffff> 23대 ||<bgcolor=#ffffff> 24대 ||<bgcolor=#ffffff> 25대 ||<bgcolor=#e0ffdb,#073300> 26대 ||
||<bgcolor=#ffffff> 강석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8~2019) ||<bgcolor=#ffffff> 박철우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19~2021) ||<bgcolor=#fff> 이복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2) ||<bgcolor=#e0ffdb,#073300> 이정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 ||




파일:두산이정훈코치.jpg
두산 베어스 No.76
이정훈
Lee Jeong-Hun
(2023~)


5. 역대 성적[편집]


년도소속 리그팀명순위경기수승률비고
1990년단일리그OB 베어스 2군3위/8팀62314270.534
1991년북부리그3위/4팀36145170.452
1992년1위/4팀36202140.588
1993년3위/4팀36147150.483
1994년3위/4팀36175140.548
1995년4위/4팀60246300.444
1996년4위/4팀60227310.415
1997년3위/3팀76238450.338
1998년4위/4팀60193380.333
1999년두산 베어스 2군3위/3팀60187350.340
2000년1위/4팀60343230.596
2001년5위/5팀60256290.463
2002년5위/5팀60236310.426
2003년5위/5팀66206400.333
2004년5위/5팀72209430.317
2005년5위/5팀76313420.425
2006년4위/6팀76297400.420
2007년6위/6팀84339420.440
2008년3위/6팀84435360.544
2009년3위/6팀89464390.517
2010년5위/5팀102405570.392
2011년5위/5팀1023110610.337
2012년3위/5팀924310390.524
2013년4위/5팀92402500.444
2014년6위/6팀92319520.373
2015년블루리그3위/4팀102474510.480
2016년북부리그5위/6팀96378510.420
2017년6위/6팀95277610.307
2018년6위/6팀94359500.412
2019년3위/5팀883713380.493
2020년3위/5팀78352410.461
2021년4위/5팀88368440.450
2022년5위/5팀102324660.327
2023년2위/5팀93481440.522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8:53:19에 나무위키 두산 베어스/2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참고로 2군 창단일 기준이다. 1군은 1982년 1월 15일에 창단했는데 이는 한국 최초의 프로 야구단으로 기록됐다.[2] KBO가 2015 시즌 퓨처스리그의 각 리그 이름을 블루리그(북부), 레드리그(중부, 신설됨), 옐로우리그(남부)로 정했는데 정작 시즌 들어가면서 해당 명칭은 사라지고 북부/중부/남부리그로 불리게 되었다. 중부리그는 2015년에만 운영되었다.[퓨대기] A B 퓨처스리그 대학생 기자단 공식 계정[3] 한국프로스포츠 최초의 2군 구장이자, 클럽하우스이다.(한국 최초의 클럽하우스는 1968년에 완공된 꿈마루)현재의 경기장은 대대적인 리모델링을 거친 경기장이다. 리모델링 공사 기간 동안에는 위례신도시 개발 및 국군체육부대 문경시 이전으로 주인이 없었던 성남시의 구 상무 야구장을 잠시 사용한 적이 있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