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라사로 카르데나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1연방공화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과달루페 빅토리아비센테 게레로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메호르 무스키스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사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산타 안나
제9대
미겔 바라간
중앙집권공화국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호세 후스토 코로니콜라스 브라보프란시스코 에체베리아발렌틴 카날리소
제14대제15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마리아노 파레데스
제2연방공화국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마누엘 데 라 페냐마리아노 아리스타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후안 바우티스타 세바요스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마르틴 카레라로물로 디아스 데 라 베가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안 알바레스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베니토 후아레스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
제28대제29대제30대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미겔 미라몬호세 이그나시오 파본
합중국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세바스티안 데 테하다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포르피리오 디아스후안 네포무세노 멘데스
제35대제36대제37대제38대
마누엘 곤살레스 플로레스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프란시스코 마데로페드로 라스쿠라인
제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프란시스코 카르바할에우랄리오 구티에레스로케 곤살레스 가르사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프란시스코 라고스 차사로베누스티아노 카란사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알바로 오브레곤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에밀리오 포르테스 힐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
라사로 카르데나스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미겔 알레만 발데스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
제55대제56대제57대제58대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루이스 에체베리아호세 로페스 포르티요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미겔 데 라 마드리드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에르네스토 세디요비센테 폭스
제63대제64대제65대
펠리페 칼데론엔리케 페냐 니에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아즈텍 · 제1제국 · 제2제국



멕시코 제51대 대통령
라사로 카르데나스 델리오[1]
Lázaro Cárdenas del Río
파일:라사로 카르데나스.jpg
출생1895년 5월 21일
멕시코 미초아칸 주 히킬판
사망1970년 10월 19일 (향년 75세)
멕시코 멕시코시티
재임 기간제51대 대통령
1934년 12월 1일 ~ 1940년 11월 30일
직업군인, 정치인
국적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
정당
경력미초아칸 주지사
제도혁명당 대표
국방장관
제51대 멕시코 대통령 (1934 - 1940)

1. 개요
2. 생애
3. 평가
4. 그의 이름을 딴 것
5. 출처
6. 대중매체



1. 개요[편집]


멕시코의 군인 및 정치인. 멕시코 제51대 대통령이었다.

2. 생애[편집]



2.1. 멕시코 혁명[편집]


미초아칸 주 출신이며 멕시코 혁명알바로 오브레곤 계열 혁명군에 가담해서 빅토리아노 우에르타 정권에 맞서 싸웠다. 우에르타가 몰락하고 혁명군이 베누스티아노 카란사&오브레곤 진영과 판초 비야&에밀리아노 사파타 진영으로 갈라졌을 때도 나중에 멕시코 대통령이 될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와 함께 오브레곤 세력을 지지했다.

혁명이 끝나자 카르데나스는 군대에 남아서 우에르타 잔당 및 가톨릭 반란군[2]을 진압하다가 카예스가 만든 국가혁명당(PNR)에 입당했다.

2.2. 멕시코 대통령[편집]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가 1928년에 대통령직에서 사임한 후 여전히 정계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알바로 오브레곤헌법을 개정하여 전직 대통령재선을 가능하게 만들고 재선에 도전해 당선되었지만 임기를 시작하기도 전에 가톨릭 광신도 호세 토랄의 손에 암살당하며 권력은 다시 카예스의 손으로 넘어왔고 헌법 개정도 없던 일이 되었다. 이후 카예스는 헌법을 개정하는 대신 자신이 다루기 쉽다고 판단한 후보를 대통령으로 옹립하여 비선실세 비슷하게 영향력을 행사하는 이른바 막시마토(Maximato)라는 기형적인 체제를 형성했다.

카르데나스는 1934년 카예스의 3번째 바지사장 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가 퇴임한 후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 당선되었으며, 당연히 카예스는 카르데나스 또한 바지사장으로 만들 생각이었다.

하지만 카르데나스는 카예스가 생각한 것처럼 만만한 정치인이 아니어서 토지개혁노동자 처우 개선, 지방 카우디요 권력 축소와 같은 개혁을 추진했고 카예스파와의 내부 정쟁에서도 승리하여 카예스는 미국으로 빤스런망명해야 했다.[3]

남은 재임 기간에 카르데나스는 당명을 멕시코 혁명당(PRM)으로 바꾸고 의무교육 확대, 석유 국유화[4], 군인 처우 개선, 집단농장인 에히도에 힘을 실어주는 토지개혁과 같은 개혁 정책을 실시했다.

2.3. 대통령 퇴임 이후[편집]


1940년에 동료인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해서 우파 후보인 후안 안드레우 알마산(Juan Andreu Almazán)을 꺾고 당선되자 카마초 정부에서 국방부 장관을 지내다가 은퇴 후에도 제도혁명당의 조언자 역할을 했고, 미국의 쿠바 정부 전복 시도와 베트남 전쟁에 적극적으로 반대하는 활동도 벌였다.

1970년 향년 75세로 사망했다.

3. 평가[편집]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 멕시코의 산업 기반을 단단히 다지고 멕시코가 1940년대부터 1970년대 초반에 이르는 기간 동안 안정적인 경제성장을 이룩할 수 있게 만든 기반을 쌓아올렸다는 평을 듣고 있다. 포퓰리즘의 전형이라는 비판도 있지만 호불호가 갈리는 아르헨티나의 페론이나 브라질의 바르가스와는 달리 멕시코가 부침없이 상당히 장기간 동안 안정적으로 경제성장을 이룩한 덕택에 그 정도는 약한 편이고 멕시코에서 존경받는 대통령 순위권에 꼭 드는 인물이다.

그러나 그는 말년에 제도혁명당장기집권과 이에 관련한 문제점을 인정하였고, 1968 멕시코시티 올림픽 개막식을 하루 앞두고 벌어진 틀라텔롤코 학살사건을 지켜보면서 눈물을 흘리기도 했다. 그의 아들인 콰우테목 카르데나스우경화되어가는 제도혁명당에 반발하여 여러 좌파정당들과 연합하면서 민주혁명당을 창당했고[5] 1988년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지만 부정선거 때문에 초반개표에서 앞섰음에도 제도혁명당 후보인 카를로스 살리나스에게 낙선했고, 이후로도 1994년과 2000년 두 차례에 걸쳐서 대선 출마를 했지만 결국 3위로 낙선당하며, 무관의 세월을 보내야했다.[6] 그래도 멕시코 좌파의 대부로 많은 존경을 받는 편이며 오브라도르에게 선배이자 은사격인 인물이기도 하다. 이로 인해 AMLO의 승리를 라사로 카르데나스를 그리워하는 걸로 해석하는 경우도 있었다.

전임자 알바로 오브레곤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가 무자비하게 짓밟았던 보수 가톨릭 반군(크리스테로)를 사면하는 등 정치적으로 필요할 땐 유연함도 보였으나 근본적으로 멕시코 혁명 시절 겪은 급진주의적 좌파 국제주의에 대한 신념은 확고해서 스페인 내전 당시 열강도 아니었던 멕시코의 국력으로, 온갖 생색과 깽판을 쳤던 소련과 달리 비교적 순수한 조건으로 스페인 제2공화국을 지원하기도 했다. 중과부적으로 공화국이 패전한 이후 전 세계로 좌파, 민주주의자, 세속주의자 스페인 망명객들이 퍼지자 이들을 많이 받아들여 전후 영화, 문학 등 멕시코 문화계에 지대한 영향을 끼치기도 했다.

4. 그의 이름을 딴 것[편집]



4.1. 지명[편집]



4.2. 교통[편집]


  • 라사로 카르데나스 공항: 미초아칸 주 라사로 카르데나스에 있는 공항이다.
  • EJE Central: 멕시코시티의 주간선도로. 라사로 카르데나스대로로도 알려져 있다.

5. 출처[편집]


참고자료: 백종국 저 《멕시코 혁명사》

6. 대중매체[편집]


Hearts of Iron IV에서는 멕시코의 지도자로 등장한다. 처음에는 비동맹주의 지도자로 등장하지만 중점에 따라 공산주의나 민주주의 지도자로 만들 수도 있다. 역사적 AI로는 멕시코가 세속 민주주의 국가가 되는 '제도적 혁명' 중점을 달성해 민주주의 지도자가 되는 편.

유명 모드 카이저라이히에서는 플루타르코 카예스와 함께 전체주의 지도자로 등장하며, 카예스보다 온건하다는 설명이 붙어 있다.

대통령 각하 만세에서는 멕시코 혁명 당시 미국의 만행에 분노하면서도 소련의 요구대로 미국에 코카인을 푸는것에대해 거부감을 느끼는 양심적인 사람으로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23:46:07에 나무위키 라사로 카르데나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서 적도록 하고 있다.[2] 대통령에 취임한 오브레곤과 카예스는 가톨릭 교회의 특권을 제한하는 정책을 실시했다. 이 때 가톨릭 반란군과 멕시코 정부군의 전쟁을 크리스테로 전쟁이라고 부른다.[3] 이후 카예스는 멕시코의 석유 국유화로 미국의 심기가 불편해지자 미국의 지지를 얻어 정권을 탈환하려 했다. 하지만 카예스가 파시스트들과 어울리는 것을 본 미국 정부는 거리낌없이 카르데나스 정권을 승인했다. 카예스는 마누엘 아빌라 카마초 집권기에 멕시코로 돌아왔다.[4] 이 때문에 카우디요 중 한 명이었던 사투르니노 세디요 마르티네스(Saturnino Cedillo Martínez)가 카르데나스 정부에 반대하는 반란을 일으켰지만 진압에 성공했다. 세디요는 카르데나스 초기에 농업장관을 맡았으나, 카르데나스 방식의 토지 개혁에 반대했고 사병인 금빛 셔츠단도 거느렸기 때문에 정적으로 떠올랐으며, 토지 개혁 과정에서 근거지인 산루이스포토시 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가 사살되었다.[5] 2014년에 탈당했다. 멕시코 좌파를 대표하는 정치인이라고 하면 대표적인 인물이 콰우테목 카르네나스와 로페스 오브라도르인데 둘다 창립멤버면서 탈당해버렸으니 구심점이 사라진 민주혁명당은 이후 큰 타격을 받았다.[6] 그나마 1997년부터 2000년까지 멕시코 시티 시장을 지내기는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