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포르피리오 디아스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1연방공화국
초대제2대제3대제4대
과달루페 빅토리아비센테 게레로호세 마리아 보카네그라아나스타시오 부스타만테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메호르 무스키스마누엘 고메스 페드라사발렌틴 고메스 파리아스산타 안나
제9대
미겔 바라간
중앙집권공화국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
호세 후스토 코로니콜라스 브라보프란시스코 에체베리아발렌틴 카날리소
제14대제15대
호세 호아킨 데 에레라마리아노 파레데스
제2연방공화국
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호세 마리아노 살라스페드로 마리아 데 아나야마누엘 데 라 페냐마리아노 아리스타
제20대제21대제22대제23대
후안 바우티스타 세바요스마누엘 마리아 롬바르디니마르틴 카레라로물로 디아스 데 라 베가
제24대제25대제26대제27대
후안 알바레스이그나시오 코몬포르트베니토 후아레스펠릭스 마리아 술로아가
제28대제29대제30대
마누엘 로블레스 페수엘라미겔 미라몬호세 이그나시오 파본
합중국
제31대제32대제33대제34대
세바스티안 데 테하다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포르피리오 디아스후안 네포무세노 멘데스
제35대제36대제37대제38대
마누엘 곤살레스 플로레스프란시스코 레온 데 라 바라프란시스코 마데로페드로 라스쿠라인
제39대제40대제41대제42대
빅토리아노 우에르타프란시스코 카르바할에우랄리오 구티에레스로케 곤살레스 가르사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프란시스코 라고스 차사로베누스티아노 카란사아돌포 데 라 우에르타알바로 오브레곤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플루타르코 엘리아스 카예스에밀리오 포르테스 힐파스쿠알 오르티스 루비오아벨라르도 L. 로드리게스
제51대제52대제53대제54대
라사로 카르데나스마누엘 아빌라 카마초미겔 알레만 발데스아돌포 루이스 코르티네스
제55대제56대제57대제58대
아돌포 로페스 마테오스구스타보 디아스 오르다스루이스 에체베리아호세 로페스 포르티요
제59대제60대제61대제62대
미겔 데 라 마드리드카를로스 살리나스 데 고르타리에르네스토 세디요비센테 폭스
제63대제64대제65대
펠리페 칼데론엔리케 페냐 니에토안드레스 마누엘 로페스 오브라도르
아즈텍 · 제1제국 · 제2제국



멕시코 합중국 제33대 대통령
호세 데라크루스 포르피리오 디아스 모리[1]
José de la Cruz Porfirio Díaz Mori
파일:포르피리오 디아스.jpg
출생1830년 9월 15일
멕시코 합중국 오아하카 주 오아하카 시
사망1915년 7월 2일 (향년 84세)
프랑스 파리
국적
파일:멕시코 국기.svg

직업정치인, 군인
정당자유당 → 국민포르피리오당
서명
파일:포르피리오 디아스 서명.svg

1909년 8월 15일에 녹음된 육성[2]

1. 개요
2. 생애
2.1. 대통령 취임 이전
2.2. 디아스 시대
2.3. 말년
3. 기타
4. 참고자료



1. 개요[편집]


멕시코의 제29대 대통령. 1876년에서 1880년 사이와 1884년에서 1911년 사이에 재임했다.


2. 생애[편집]



2.1. 대통령 취임 이전[편집]


1830년 9월 5일에 멕시코 오아하카 주에서 크리오요 아버지와 메스티소 어머니 사이에서 태어났다. 베니토 후아레스가 지도하는 자유주의 혁명에 제2차 프랑스-멕시코 전쟁(1861~1867)에서 군인으로 활약했다.

그는 멕시코 내전과 프랑스와의 전투에서 자유주의자들의 편에 서서 싸웠지만, 권력을 잡는 과정에서 보수주의자로 변모했다. 디아스는 프랑스의 괴뢰정권인 멕시코 제2제국이 무너지자 전쟁 때 얻은 인기를 토대로 대통령 선거에 출마했으나 후아레스에게 밀려 당선에 실패했다. 이후 후아레스가 재임 2기 때 지병으로 사망하자, 디아스는 후임으로 취임한 호세 마리아 이글레시아스(1823~1891)를 내쫓고 치러진 선거에서 대통령으로 당선된다.

2.2. 디아스 시대[편집]


1880년에 1차임기를 마친 디아스는 1880~1884년 사이에 꼭두각시 정부를 내세워서 통치했다. 이는 그가 전임자들의 재선에 반대해서 주도했던 반란에 대한 명분 때문이었다. 이후 디아스는 1884년 다시 대통령에 당선되어, 1887년에는 연임을 허용하는 헌법개정과 1890년에는 중임을 허용하는 헌법개정을 통해서 1911년까지 30여 년의 기간 동안 멕시코를 통치했다. 이 33년간의 포르피리오 디아스의 집권기간을 '포르피리아토 (Porfiriato)'라고 부른다.

디아스는 원주민의 피를 이어받았지만 "문명과 야만" 시선으로 바라보던 크리오요들의 사고방식을 가지고 있어서 원주민들을 철저히 탄압했다. "멕시코! 외국인에게는 어머니, 멕시코인에게는 계모"라는 말도 있다.

집권 후 디아스는 기술관료 집단인 시엔테피코(Científico)의 지원을 받아 근대화 개혁을 시작했다. 먼저 해외 자본을 유치하여 철도망을 정비하면서 광업과 공업 투자를 받았고, 농업 부문에서는 대농장주에게 힘을 실어주면서 대농장(아시엔다)의 규모를 키웠다. 이 정책으로 멕시코의 경제력은 성장하기 시작했으나 원주민과 비지주 농민들은 타격을 입었는데, 디아스와 기술관료들이 대지주를 밀어 주면서 땅을 잃고 소작농이 됐기 때문이다.


2.3. 말년[편집]


1910년에 디아스는 대선 재출마를 결정했으나, 그의 연임을 반대한 상대측 후보인 프란시스코 마데로를 투옥하고 당선됐기 때문에 멕시코 혁명의 계기를 제공했다.

전국에서 일어난 혁명군의 기세에 눌린 디아스는 마데로와의 협상 끝에 대통령직을 사임한 뒤 프랑스로 망명했고[3], 4년 후인 1915년에 파리에서 향년 85세로 사망했다.


3. 기타[편집]


<셜록 홈즈의 마지막 인사>에 실린 단편 에피소드 등나무 집에서 언급되는 '산 페드로의 호랑이'란 별명의 독재자 돈 무리요가 아마도 디아스를 모델로 만든 것으로 보인다.

"불쌍한 멕시코! 하느님과는 이토록 먼데 미국과는 이토록 가깝구나!"

"Pobre México, tan lejos de Dios y tan cerca de los Estados Unidos."

- 포르피리오 디아스

포르피리아토 기간 동안 그도 딱히 인민들에게 애정을 가지고 다스린 것 같지는 않지만, 미국과 멕시코 관계를 잘 표현한 말을 남긴 사람이기도 하다. 넘사벽으로 부유하고 힘센 위쪽 이웃과의 애증어린 관계에서 멕시코인들은 현재에도 위 발언을 종종 되뇌이곤 한다.


4. 참고자료[편집]


  • 백종국 저, <멕시코 혁명사> (2000년). 한길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4 00:39:12에 나무위키 포르피리오 디아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국립국어원의 외래어 표기 용례상 로망스어권 인명의 전치사 및 관사는 뒤 요소와 붙여서 적도록 하고 있다.[2] 12초부터. 가장 오래된 멕시코 대통령의 음성 기록으로, 토머스 에디슨에게 보낸 음성 메시지이다.[3] 이 때 디아스는 "마데로는 호랑이를 풀어놓았다. 어디 잘 길들이는지 한번 지켜보자."는 말을 남겼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