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레이겐 덴노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전승
초대제2대제3대제4대
제5대제6대제7대제8대
제9대제10대제11대제12대
제13대제14대
고훈 시대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
제19대제20대제21대제22대
제23대제24대제25대제26대
제27대제28대제29대제30대
제31대제32대
아스카 시대
제32대제33대제34대제35대
제36대제37대제38대제39대
제40대제41대제42대제43대
나라 시대
제43대제44대제45대제46대
제47대제48대제49대제50대
헤이안 시대
제50대제51대제52대제53대
제54대제55대제56대제57대
제58대제59대제60대제61대
제62대제63대제64대제65대
제66대제67대제68대제69대
제70대제71대제72대제73대
제74대제75대제76대제77대
제78대제79대제80대제81대
제82대
가마쿠라 시대
제82대제83대제84대제85대
제86대제87대제88대제89대
제90대제91대제92대제93대
제94대제95대제96대
남조
제96대제97대제98대제99대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제101대제102대제103대
제104대제105대제106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제107대
에도 시대
제107대제108대제109대제110대
제111대제112대제113대제114대
제115대제116대제117대제118대
제119대제120대제121대제122대
근현대
제122대제123대제124대제125대
제126대





레이겐 덴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일본 상황기.svg
상황
[ 펼치기 · 접기 ]

아스카 시대
제35대
제41대
제43대
나라 시대
제44대
제45대
헤이안 시대
제46대
제49대
제51대
제52대
제53대
제56대
제57대
제59대
제61대
제63대
제64대
제65대
제66대
제67대
제69대
제71대
제72대
인세이
제74대
인세이
제75대
인세이
제77대
인세이
제78대
제79대
제80대
인세이
가마쿠라 시대
제82대
인세이
제83대
제84대
추존
인세이
제86대
인세이
제88대
인세이
제89대
인세이
제90대
인세이
제91대
인세이
제92대
인세이
제93대
인세이
제95대
남조
제96대
제98대
인세이
제99대
북조
북조 초대
인세이
북조 제2대
북조 제3대
인세이
북조 제4대
북조 제5대
인세이
무로마치 시대
제100대
인세이
추존
제102대
인세이
아즈치모모야마 시대
제106대
추존
에도 시대
제107대
제108대
인세이
제109대
제111대
제112대
인세이
제113대
인세이
제114대
제115대
인세이
제117대
제119대
인세이
현대
제125대







일본 제112대 천황
레이겐 덴노
靈元天皇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22px-Emperor_Reigen.jpg
출생1654년 7월 9일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사망1732년 9월 24일 (향년 78세)
야마시로국 교토 교토 어소
(現 교토부 교토시)
능묘쓰키노와릉(月輪陵(월륜릉)
재위기간제112대 천황
1663년 3월 5일 ~ 1687년 5월 2일
일본 상황
인세이
1687년 5월 2일 ~ 1732년 9월 24일
[ 펼치기 · 접기 ]

사토히토(識仁(식인)
부모부황 고미즈노오 덴노
모후 신코오기몬인
형제자매19남 17녀 중 19남
배우자신죠사이몬인
자녀18남 14녀
종교신토, 불교
아명코키미야(高貴宮(고귀궁)
법명소키요시(素浄(소쟁)
별호센토오사마(仙洞樣(선동양)
원호레이겐인(靈元院(영원원)
시호레이겐 덴노(靈元天皇(영원천황)
연호간분(寬文(관문, 1663년 ~ 1673년)
엔호(延寶(연보, 1673년 ~ 1681년)
덴나(天和(천화, 1681년 ~ 1684년)
조쿄(貞享(정향, 1684년 ~ 1687년)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일본의 제112대 덴노.

고미즈노오 덴노의 19남으로, 메이쇼 덴노, 고코묘 덴노, 고사이 덴노의 이복동생이었다. 이름은 사토히토(識仁)였다.


2. 생애[편집]


1654년에 태어난지 얼마 되지 않아 이복형 고코묘 덴노가 그를 양자로 삼았다. 당시 고코묘 덴노는 언제 죽을지 모르는 상태로 아들이 없어 형제들 중에 후계자가 될 사람을 선택해야 했는데, 형제들 상당수는 출가해 스님이 되었거나 궁가의 당주가 된 상태였다. 이로 인한 제약이 없는 건 갓난아기인 사토히토 친왕뿐이었다.

하지만 그해에 고코묘 덴노가 붕어했고, 당시 생후 4개월 밖에 안된 사토히토가 덴노가 될 수는 없으니 또 다른 이복형인 고사이 덴노가 즉위했다. 사토히토는 형 고코묘 덴노의 양자로서 1658년에 황태자가 되었고, 1663년 10세의 나이로 고사이 덴노의 양위를 받아 즉위했다.

레이겐 덴노가 즉위한 이후 섭정을 맡은 건 일단 30살 차이나는이복누나인 메이쇼 상황이었으나, 아버지인 고미즈노오 상황이 실권을 잡고 있었다. 메이쇼 상황이 섭정을 그만둔 뒤로도 고미즈노오 상황이 계속 실권을 갖고 있어, 1680년 고미즈노오 상황이 붕어한 뒤에야 레이겐 덴노는 자신의 정치적인 의사를 드러내기 시작했다.

그는 에도 막부의 간섭에서 벗어나려고 했고, 막부와 관계가 있는 귀족 섭가(셋케)들과 대립하기도 했다. 1687년에 성인이 된 아들 히가시야마 덴노에게 양위하고 인세이(원정)를 시작했다. 1694년에 인세이를 중단했는데, 아버지의 통치에 불만을 갖고 있었던 히가시야마 덴노는 친정을 하게 된 이후, 에도 막부와 손을 잡으려고 했고 막부는 이를 환영했다. 이에 레이겐 상황은 막부 반대파를 이용해 종종 히가시야마 덴노의 통치에 제약을 주면서도, 고립되기를 피하고자 막부 노선으로 선회했다. 이를 위해 히가시야마 덴노의 치세 때 자신의 13녀였던 요시코 내친왕을 에도 막부의 제7대 쇼군도쿠가와 이에쓰구와 약혼시켰지만, 1716년에 이에쓰구가 사망하면서 레이겐 상황의 시도는 흐지부지되었다.

1713년, 레이겐 상황은 절에 출가했고, 1732년에 붕어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4:54:19에 나무위키 레이겐 덴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