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로마노 프로디

덤프버전 :

[ 펼치기 · 접기 ]

제30대제31대제32대제33대
알치데 데 가스페리 주세페 펠라아민토레 판파니마리오 스켈바
제34대제35대제32대2제34대2
안토니오 세니아도네 촐리아민토레 판파니안토니오 세니
제36대제32대3제37대제38대
페르난도 탐브로니아민토레 판파니죠반니 레오네알도 모로
제37대2제39대제40대제41대
죠반니 레오네마리아노 루모르에밀리오 콜롬보줄리오 안드레오티
제39대2제38대2제41대2제42대
마리아노 루모르알도 모로줄리오 안드레오티프란체스코 코시가
제43대제44대제32대4제45대
아르날도 포를라니조반니 스파돌리니 아민토레 판파니베티노 크락시
제32대5제46대제47대제41대3
아민토레 판파니조반니 고리아치리아코 데 미타줄리오 안드레오티
제48대제49대제50대제51대
줄리아노 아마토 카를로 아첼리오 참피 실비오 베를루스코니람베르토 디니
제52대제53대제48대2제50대2
로마노 프로디마시모 달레마줄리아노 아마토실비오 베를루스코니
제52대2제50대3제54대제55대
로마노 프로디실비오 베를루스코니마리오 몬티엔리코 레타
제56대제57대제58대제59대
마테오 렌치파올로 젠틸로니주세페 콘테마리오 드라기
제60대
조르자 멜로니
* 이탈리아 공화국 총리 대수는 이탈리아 왕국 총리 대수를 이어서 가산한다.
이탈리아 왕국 총리 · 파시스트 정권


관련 직위: 이탈리아 대통령





이탈리아 공화국 제52대 총리
로마노 안토니오 프로디
Romano Antonio Prodi
파일:Romano_Prodi_2004.jpg
출생1939년 8월 9일 (84세)
이탈리아 왕국 에밀리아로마냐 주
스칸디아노
국적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재임 기간제52대 이탈리아 총리 1기
1996년 5월 17일1998년 10월 21일
제52대 이탈리아 총리 2기
2006년 5월 17일2008년 5월 8일
제10대 EU 집행위원장
1999년 9월 16일 - 2004년 11월 21일
학력밀라노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
(법학 / 학사) (1961년)
런던 정치경제대학교 (중퇴)
정당
기독교민주당
(1963년-1994년)
이탈리아 인민당
(1994년-1996년)

무소속

(1996년-1999년)
민주주의자
(1999년-2002년)

무소속

(2002년-2007년)


(2007년-2013년)

무소속

(2013년-현재)
경력산업부 장관
산업부흥공사 사장
이탈리아 제52대 총리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전직 이탈리아 총리,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다.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와 함께 199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까지 이탈리아 정치를 주도한 정치 거물이다.


2. 생애[편집]


1939년 에밀리아로마냐 주 스칸디아노에서 태어났다. 밀라노 사크로 쿠오레 가톨릭 대학교와 런던 정치경제대학교를 다녔으며, 이후 경제학 교수 등으로 활동하였다.

젊은 시절부터 기독교민주당 당원이었으며, 1978년 줄리오 안드레오티 총리 내각의 산업부 장관으로 임명되었으나 5개월만에 물러났다. 이후 두 차례 산업부흥공사 사장 등을 역임했으며, 1996년 총선을 앞두고 범좌파 선거연합인 올리브 나무의 총리후보가 되어 실비오 베를루스코니의 우파연합을 근소하게 이기고 재건공산당과의 협력을 통해 총리로 취임했다.

그러나 1998년 10월 9일 예산안에 대한 갈등으로 재건공산당이 지지를 철회, 내각 불신임안이 1표차[1]로 가결되자 총리직에서 물러났다.

1999년 3월 15일에 자크 상테르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이 사임하자 대행 체제를 거쳐 유럽연합 집행위원장으로 선출되었다. 집행위원장 재임 동안 유로화가 도입되고 발트 3국 등 동구권 국가들과 키프로스, 몰타 등 10개국이 유럽연합에 가입하는 업적을 남겼다.

2006년 총선에서 올리브연합 총리후보로 정계에 복귀하여 다시 한 번 베를루스코니의 우파연합을 근소하게 꺾고 총리로 재취임하였다. 2007년에는 민주당 초대 당 대표로 선출되었으나, 내부 갈등 끝에 2008년에 총리직과 당대표직에서 물러났다.

이후 2013년 대선에서 민주당의 후보 중 하나로 부상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조르조 나폴리타노 대통령이 재선에 성공하였다.


3. 기타[편집]


2000년 ASEM 정상회의 당시 유럽연합 집행위원장 자격으로 방한하였고, 총리 2기 시절인 2007년에도 방한하여 노무현 대통령과 정상회담을 가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19:53:50에 나무위키 로마노 프로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신임 312표, 불신임 313표. 당시 동아일보 보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