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마포구/정치

덤프버전 :

||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마포구 CI.svg 서울특별시 마포구 국회의원/시의원 선거구
국회의원시의원지역
마포구 갑마포구1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마포구2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마포구 을마포구3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마포구4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

1.1. 구의회[편집]



파일:마포구 CI.svg마포구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9대 의회
2022.7.1. ~ 2026.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9석, 구청장 소속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svg
10석
재적
19석



2. 지역 특징[편집]


관악구와 함께 서울에서 여러 의미로 진보적 경향이 비교적 짙었던 동네였으나, 문재인 정부부동산 정책에 의해 집값이 급등하여 2020년대로 넘어오면서 급격하게 보수화된 지역이다. 신촌, 홍대거리 인근을 중심으로 진보정당 및 소수자 운동가나 지지자들의 거주나 활동이 많은 편이며, 성미산마을 및 망원시장상인회로 대표되는 지역 운동이 활발하게 이루어지는 곳이다. 동교동에 김대중 전 대통령이 살았던 적도 있어서 "동교동계"라는 파벌 이름이 생겼다.[1] 재미있게도 소선거구제가 실시된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로 두 개 선거구 모두 같은 정당이 싹쓸이하는 징크스가 이어지고 있다.

하지만 갑과 을로 나누어보면 차이가 있는데, 마포구 갑은 도심지 및 용산구, 여의도와 인접한 지리적 입지 때문에 보수 정당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잘 나오기는 하나, 노승환[2] - 노웅래로 2대째 이어지면서 민주당세가 강력한 힘을 구축하고 있다. 마포구 을은 홍대거리가 속한 지역구로 대학가답게 진보정당 및 소수자 운동가나 지지자들의 거주나 활동이 많다.

마포구 을은 20대 1인 가구 비중이 높아 보수 정당이 좀처럼 힘을 쓰지 못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뉴타운 광풍이 불었던 18대 총선에서 그 유명한 강용석이 잠시 당선된 곳이기도 하다. 이 지역은 더불어민주당 정청래가 자리를 꿰차고 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 한정하여 컷오프되고 손혜원 홍보위원장이 대신 공천된 적이 있으나, 이때를 제외하면 정청래 의원이 차지하고 있다.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관악구와 함께 서울에서 문재인 후보 득표율이 55%를 넘은 단 둘뿐인 곳이었고, 2017년 제19대 대통령 선거에선 아예 서울 25개구에서 문재인 후보가 45.8% 득표율로 1위를 차지할 만큼 민주당 지지율이 두드러졌다.

2018년에 치러진 제7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도 여전히 민주당이 초강세를 보였다. 광역단체장 선거에서는 더불어민주당 박원순 후보의 득표율이 상대적으로 낮게 나오기는 하였으나 이는 녹색당[3]이나 정의당 등으로 진보성향 유권자들이 분산되었기 때문이고 자유한국당 김문수 후보의 득표율은 관악구와 은평구에 이어 서울 25개 자치구 가운데 세 번째로 낮았다. 광역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이 예외 없이 초압승을 거뒀고[4] 기초의원 비례대표 선거에서 민주당이 얻은 정당 득표율은 서울에서 성동구와 은평구에 이어 세 번째로 높았다.

2020년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민주당 노웅래, 정청래 후보가 모두 큰 표차로 이겼는데, 자세히 뜯어보면 고가 아파트[5]가 있는 곳은 상대적으로 미래통합당이 강세를 보인 반면, 저가 주택이 있는 곳은 민주당이 강세를 보이는 경향이 뚜렷했다. 마포구 을 지역에서는 정의당 오현주 후보가 8.87%를 가져가 서울 안에서 정의당 최고 득표율을 보였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 실패로 집값이 급등하면서, 마포구의 민심이 크게 흔들렸다. 2021년 재보궐선거와 2022년 대선에서 연거푸 국민의힘 후보가 1위를 거머쥐었다. 이는 노무현 정부 말기를 제외하면 전례가 없던 일로, 특히 노웅래 의원 지역구인 마포구 갑 지역은 용산, 송파에 필적할 정도로 급격히 보수화되었다.

2021년 재보궐선거에서는 성산1동[6]을 제외한 전 동에서 국민의힘 오세훈 후보가 더불어민주당 박영선 후보를 앞섰고, 민주당 강세지역인 망원동, 상암동에서도 앞섰다. 특히 마포래미안푸르지오를 비롯한 고가 아파트가 많은 아현동에서는 오세훈 후보가 63.30%를 득표하여 박영선 후보를 30.12% 차이로 따돌렸다.

2022년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2007년 이후 두 번째로 보수 진영이 승리하였다. 2021년 재보궐선거를 떠올리면 충분히 예상 가능한 시나리오였지만 역대 대선 결과로 비교하면 이변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5년 전 제19대 대통령 선거만 해도 서울 25개구 중 민주당 문재인 후보가 45.79%로 최다 득표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당시 보수 진영으로 나온 자유한국당 홍준표 후보는 18.16%로 관악구, 노원구에 이어 세 번째로 득표율이 낮았으나, 이번에는 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46.50%에 그쳐 5년 전과 비교해 득표율이 거의 오르지 않았다. 반면에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는 5년 전 18.16%에서 49.03%로 무려 30% 이상 득표율을 끌어올려 1위를 차지했다.

마포구 갑에서는 5년 전 문재인이 42.95%를 받은 반면, 이재명은 41.95%에 그쳐 5년 전보다도 득표율이 줄어든 충격적인 결과를 받아들였다. 이 지역에서 윤석열 후보는 5년 전 20.36%에서 54.23%까지 득표율을 끌어올려,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따른 종부세 이슈가 엄청난 민심 이반을 일으켰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또한 대학가가 밀집한 서교동, 서강동, 대흥동에서도 윤석열 후보가 승리함으로서 2030 민심 이탈이 확인된 선거이기도 하다.[7]

그외에도, 전국에서 정의당 지지세가 울산 북구에 이어 두번째로 강한 지역이다. 서교동(4.52%), 성산1동(4.51%), 성산2동(3.56%), 망원1동(4.38%), 망원2동(3.75%), 합정동(4.66%)[8], 연남동(4.53%) 등지에서 전국에 비해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이는 마포구 대학가인 중남부권의 여성 1인가구 비율이 매우 높고, 해당 지역이 전국에서 소수자 후보 및 정당에 대해 가장 유화적인 지역이기 때문이다. 다만 대학가와 홍대합정동에서 멀어질수록 지지율이 떨어지는 현상은 정의당이 극복해야 할 과제라고 할 수 있다.[9]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마포구 CI.svg 역대 마포구청장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민주당새정치국민회의한나라당한나라당민주당
노승환박홍섭신영섭박홍섭
201420182022
새정치민주연합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
박홍섭유동균박강수
주요 후보 득표율


3.1. 지방선거[편집]




3.1.1. 2021년 재보궐선거[편집]


서울특별시장 보궐선거 마포구 개표 결과
정당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격차
후보박영선오세훈
전체77,948
(40.66%)
105,676
(55.12%)
-27,728
(▼14.46)
공덕동39.04%57.33%▼18.29
아현동33.48%63.60%▼30.12
도화동35.84%61.12%▼25.28
용강동35.98%60.94%▼24.96
대흥동35.86%59.46%▼23.60
염리동39.94%56.68%▼16.74
신수동38.10%58.53%▼20.43
서강동37.39%58.18%▼20.79
서교동41.97%52.12%▼10.15
합정동42.57%52.26%▼10.69
망원1동45.33%48.90%▼3.57
망원2동46.65%48.34%▼1.69
연남동43.91%50.80%▼6.90
성산1동48.30%46.21%▲2.09
성산2동43.44%52.61%▼9.17
상암동41.80%54.58%▼12.78
거소투표29.93%61.24%▼31.31
관외사전투표45.75%50.00%▼4.25
국회의원
선거구별
박영선오세훈격차
마포구 갑[10][A][11]36.54%59.51% ▼22.97
마포구 을[12][A][13]42.81%51.67% ▼8.86


3.1.2.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마포구 개표 결과
서울특별시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송영길오세훈(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70,936
(40.83%)
98,271
(56.57%)
- 27,335
(▼15.74)
175,023
(53.93%)
공덕동39.24%58.89%▼19.6546.48
아현동[A]33.16%65.01%▼31.8554.26
도화동34.64%63.40%▼28.7656.91
용강동35.44%63.10%▼27.6655.56
대흥동[B]38.66%58.68%▼20.0245.16
염리동38.41%59.56%▼21.1551.32
신수동37.79%60.21%▼22.4251.12
서강동[C]37.57%59.80%▼22.2451.26
서교동[D]42.36%54.20%▼11.8541.34
합정동42.63%54.10%▼11.4749.75
망원1동44.85%51.99%▼7.1449.15
망원2동46.54%50.31%▼3.7751.35
연남동43.67%53.04%▼9.3748.13
성산1동47.17%48.51%▼1.3445.60
성산2동42.50%54.75%▼12.2550.58
상암동[E]40.71%56.95%▼16.2454.38
후보송영길오세훈격차
거소·선상투표30.40%66.30%▼35.90
관외사전투표45.55%51.54%▼5.99
국회의원
선거구
송영길오세훈격차투표율
마포구 갑[F][14]36.66%61.42%▼24.7651.35
마포구 을[G][15]42.70%54.26%▼11.5549.26

마포구청장 선거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유동균박강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0,926
(46.77%)
84,323
(48.73%)
- 3,397
(▼1.96)
175,026
(53.93%)
공덕동45.27%51.80%▼6.5346.46
아현동[*A ]39.45%57.76%▼18.3054.22
도화동40.18%56.84%▼16.6656.90
용강동41.76%55.19%▼13.4355.56
대흥동[*B ]46.20%49.44%▼3.2445.14
염리동45.07%51.14%▼6.0751.30
신수동44.39%51.85%▼7.4651.12
서강동[*C ]42.91%51.93%▼9.0251.26
서교동[*D ]47.58%46.32%△1.2641.35
합정동48.52%45.67%△2.8549.73
망원1동51.41%42.84%△8.5749.16
망원2동53.03%41.76%△11.2751.35
연남동48.85%46.05%△2.7948.14
성산1동52.16%40.13%△12.0345.60
성산2동48.93%46.09%△2.8550.58
상암동[*E ]45.69%49.86%▼4.1754.37
후보유동균박강수격차
거소·선상투표45.64%49.37%▼3.73
관외사전투표51.20%44.32%△6.89

3.2. 대선[편집]




3.2.1. 제13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마포구 일원
정당
후보노태우김영삼김대중김종필
득표수77,07477,08182,81419,846
득표율29.98%29.99%32.22%7.72%
순위3위2위1위4위
선거인 수296,563
투표 수261,082
무효표 수4,061
투표율88%

3.2.2. 제14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갑
{{{#ffffff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정당
후보김영삼김대중정주영박찬종
득표수40,64142,78519,4787,334
득표율36.24%38.15%17.37%6.54%
순위2위1위3위4위
선거인 수141,131
투표 수113,569
무효표 수1,440
투표율80.50%


3.2.3. 제15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갑
{{{#ffffff 아현1동, 아현2동, 아현3동, 공덕1동, 공덕2동, 신공덕동,
도화1동, 도화2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노고산동, 신수동}}}
정당
후보이회창김대중이인제
득표수41,39044,24912,279
득표율41.56%44.43%12.33%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126,554
투표 수100,919
무효표 수1,340
투표율79.70%

3.2.4. 제16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마포구 일원
정당
후보이회창노무현권영길
득표수89,897106,5976,874
득표율44.01%52.18%3.36%
순위2위1위3위
선거인 수289,944
투표 수205,497
무효표 수1,234
투표율70.90%

3.2.5. 제17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마포구 일원
정당
후보정동영이명박권영길문국현이회창
득표수49,34397,3475,62716,03723,936
득표율25.38%50.07%2.89%8.24%12.31%
순위2위1위5위4위3위
선거인 수436,622
투표 수272,240
무효표 수1,181
투표율61.80%


3.2.6. 제18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마포구 일원[마포]
정당
후보박근혜문재인
득표수106,921133,849
득표율44.20%55.34%
순위2위1위
선거인 수315,333
투표 수194,947
무효표 수532
투표율76.06%

18대 대선 서울 마포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박근혜문재인(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6,921
(44.20%)
133,849
(55.34%)
-26,928
(▼11.14)
76.06%
공덕동45.34%54.23%▼8.8974.28
아현동49.95%49.62%△0.33[16]74.35
도화동50.63%48.91%1.7278.49
용강동48.62%50.97%▼2.3578.77
대흥동42.34%57.26%▼14.9268.95
염리동45.36%54.26%▼8.9072.27
신수동47.27%52.29%▼5.0277.94
서강동43.53%55.97%▼12.4477.21
서교동40.0%59.49%19.4972.96
합정동42.81%56.74%▼13.9375.01
망원1동41.21%58.47%▼17.2673.47
망원2동41.36%58.22%▼16.8677.53
연남동42.26%57.29%▼15.0374.23
성산1동42.19%57.24%▼15.0574.44
성산2동42.95%56.67%▼13.7278.20
상암동43.45%56.14%▼13.6980.13
후보박근혜문재인격차
국외부재자투표42.79%56.53%13.74
국내부재자투표45.40%53.77%▼8.37
국회의원 선거구박근혜문재인격차투표율
마포구 갑[17][18]47.17%52.40%5.2375.21

3.2.7. 제19대 대통령 선거[편집]


마포구
마포구 일원[마포]
정당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
득표수117,33646,54752,54519,05919,795
득표율45.79%18.16%20.50%7.43%7.72%
순위1위3위2위5위4위
선거인 수320,483
투표 수256,992
무효표 수759
투표율80.19%

19대 대선 서울 마포구 개표 결과
정당격차투표율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7,336
(45.79%)
46,547
(18.16%)
52,545
(20.50%)
19,059
(7.43%)
19,795
(7.72%)
+64,791
(△25.29)
80.19%
공덕동43.09%20.36%22.79%7.52%5.94%△20.3074.82
아현동43.49%19.33%20.77%9.84%6.28%△23.4079.32
도화동41.44%21.41%22.12%8.49%6.14%△19.3280.72
용강동43.40%20.42%21.50%8.61%5.82%△21.9081.73
대흥동44.06%19.74%20.02%7.75%7.97%△24.0470.68
염리동42.92%21.42%20.90%7.23%7.01%△22.0274.09
신수동42.81%20.12%21.60%8.20%6.89%△21.2178.81
서강동44.21%18.44%20.25%8.55%8.32%△23.9680.54
서교동46.64%18.33%18.76%6.87%9.04%△27.8875.16
합정동46.20%17.11%19.82%6.90%9.52%△26.3877.85
망원1동46.43%18.02%20.53%5.58%8.99%△25.9076.13
망원2동46.91%18.62%20.39%5.79%7.82%△26.5279.18
연남동48.0%18.10%18.23%6.07%9.26%29.7777.51
성산1동46.91%17.65%20.55%5.92%8.56%△26.3674.60
성산2동45.97%18.03%21.53%6.83%7.23%△24.4479.19
상암동48.01%17.06%20.60%7.06%6.92%△27.4182.62
후보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
거소 및 선상투표35.68%19.85%34.17%5.28%3.27%△1.51
관외사전투표49.50%13.85%18.79%8.45%9.03%△29.30
재외투표59.83%8.75%15.94%3.28%11.71%43.89
국회의원 선거구문재인홍준표안철수유승민심상정격차투표율
마포구 갑[19][20]42.95%20.36%21.64%8.32%6.37%△21.3177.66%

3.2.8. 제20대 대통령 선거[편집]


20대 대선 마포구 개표 결과
정당더불어민주당국민의힘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7,916
(46.50%)
124,327
(49.03%)
- 6,411
(▼2.53)
256,218
(79.05%)
공덕동44.43%51.66%▼7.2472.74
아현동[*A ]38.90%57.58%▼18.6879.90
도화동40.55%55.65%▼15.1081.50
용강동41.12%55.24%▼14.1279.85
대흥동[*B ]43.25%52.35%▼9.1071.95
염리동43.80%52.46%▼8.6677.95
신수동42.18%53.85%▼11.6677.34
서강동[*C ]42.73%53.01%▼10.2878.27
서교동[*D ]47.17%47.43%▼0.2671.16
합정동[21]48.36%46.10%△2.2777.62
망원1동51.61%43.05%△8.5676.00
망원2동53.01%42.38%△10.6377.15
연남동48.50%45.84%△2.6675.14
성산1동52.02%42.46%△9.5674.55
성산2동48.96%46.64%△2.3275.20
상암동[*E ]49.18%46.61%△2.5679.06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40.64%54.81%▼14.17
관외사전투표49.49%45.79%△3.70
재외투표56.88%39.03%△17.84
국회의원
선거구
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마포구 갑[*F ][22]41.95%54.23%▼12.2777.28
마포구 을[*G ][23]48.84%46.27%△2.5776.04

3.3. 총선[편집]


21대 총선 마포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마포구 갑)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격차투표율
후보노웅래강승규(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53,160
(55.99%)
40,775
(42.95%)
+ 12,385
(△13.05)
96,058
(70.55%)
[ 펼치기 · 접기 ]

공덕동56.05%42.89%△13.1663.45
아현동[*A ]51.98%47.22%△4.7670.63
도화동52.96%46.03%△6.9372.64
용강동55.76%43.25%△12.5172.57
대흥동[*B ]57.09%41.57%△15.5261.08
염리동58.74%40.22%△18.5269.63
신수동55.46%43.51%△11.9568.16
후보노웅래강승규격차
거소·선상투표65.27%31.25%△34.03
관외사전투표62.92%35.71%△27.21
재외투표61.25%38.41%△22.85

국회의원 선거 (마포구 을)
정당더불어민주당미래통합당정의당격차투표율
후보정청래김성동오현주(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336
(53.75%)
47,443
(36.78%)
11,445
(8.87%)
+ 21,893
(△16.97)
130,575
(68.84%)
[ 펼치기 · 접기 ]

서강동[*C ]48.83%43.34%7.33%△5.5068.14
서교동[*D ]51.46%38.04%9.98%△13.4262.20
합정동53.15%37.20%8.95%△15.9567.10
망원1동54.08%34.62%10.66%△19.4566.23
망원2동54.52%35.59%9.25%△18.9367.44
연남동53.60%36.72%8.99%△16.8864.78
성산1동53.95%34.63%10.85%△19.3364.05
성산2동53.18%37.94%8.31%△15.2566.81
상암동[*E ]53.46%38.57%7.41%△14.8970.95
후보정청래김성동오현주격차
거소·선상투표48.58%42.91%5.66%△5.66
관외사전투표61.25%29.34%8.72%△31.91
재외투표65.13%31.25%3.28%△40.39


비례대표 선거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66,070
(30.26%)
71,734
(32.85%)
26,700
(12.23%)
19,683
(9.01%)
14,501
(6.64%)
- 5,664
(▼2.59)
226,671
(69.44%)
[ 펼치기 · 접기 ]

공덕동33.38%33.15%9.56%9.49%5.13%△0.2363.45
아현동[*A ]36.69%28.68%10.07%11.22%6.29%△8.0170.62
도화동36.07%29.41%10.49%9.55%6.22%△6.6572.66
용강동34.29%30.81%10.75%10.24%6.48%△3.4872.55
대흥동[*B ]31.02%30.66%10.50%10.61%5.84%△0.3661.07
염리동30.69%33.58%10.48%9.58%6.05%▼2.8969.62
신수동33.70%30.44%10.82%10.31%6.42%△3.2768.17
서강동[*C ]32.17%29.02%12.31%11.71%6.54%△3.1568.15
서교동[*D ]29.11%32.02%14.29%8.02%6.37%▼2.9162.20
합정동28.12%33.94%13.24%8.13%6.66%▼5.8267.09
망원1동26.94%35.64%14.42%7.00%6.14%▼8.7066.23
망원2동27.68%36.30%13.31%6.55%6.45%▼8.6167.44
연남동28.71%33.29%13.57%7.27%7.24%▼4.5864.79
성산1동26.85%35.23%14.16%7.25%6.89%▼8.3964.03
성산2동28.60%34.26%13.10%8.60%6.47%▼5.6766.81
상암동[*E ]28.36%33.60%12.69%9.31%7.48%▼5.2472.33
정당미래한국당더불어시민당정의당국민의당열린민주당격차
거소·선상투표29.03%31.72%8.87%11.29%4.03%▼2.69
관외사전투표24.92%35.87%13.52%8.25%8.35%▼10.95
재외투표29.35%30.92%10.83%5.80%14.91%▼1.57





[1] 김대중의 영향으로 야당 성향이 짙다는 일설도 있는데, 정작 김대중 전 대통령이 집권한 16대 총선과 그 전의 15대 총선 모두 보수정당에서 가져갔다.[2] 지역 내 5선 국회의원, 재선 구청장으로 제13대 국회 전반기에서는 국회부의장을 지냈다.[3] 서울시장선거에서 이 당 소속의 신지예 후보가 가장 높은 득표율을 기록한 곳이었다.[4] 마포구 제4선거구에서는 민주당 후보가 무려 73.4%의 득표율로 당선되었다.[5] 특히 마포구 대장주로 불리는 마포 래미안 푸르지오에서 보수정당이 경합우세를 보였다.[6] 그마저도 2.09%라는 근소한 차이였다.[7] 이 점은 대학가를 낀 서울의 거의 모든 동네(회기동, 안암동, 신촌동 등)의 공통사항이다.[8] 전국의 읍면동 중에서 정의당 지지율이 가장 높게 나온 지역이다.[9] 망원동 및 마포구청 권역으로 갈수록 지지율이 낮아졌으며, 상암 권역인 상암동, 성산2동으로 갈수록 지지율이 확실히 저조해지는 흐름이 나타났다. 즉 마포구의 도심 한강변 주거지와 성산, 망원의 아파트촌에서는 정의당의 존재감이 약했다는 방증이다. 전국에 비해서는 이들 지역에서도 선전한 것은 사실이지만, 홍대와 합정동과 비교해서 그렇다는 뜻이다.[10] 아현동, 공덕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A] A B C 아현뉴타운으로 이루어진 동네[11] 지역구 국회의원 :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4선)[12]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연남동, 상암동, 망원1동, 망원2동, 성산1동, 성산2동[13] 지역구 국회의원 :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3선)[B] 서강대학교가 있는 동네[C] 홍익대학교가 있는 동네[D] 홍대거리, 메세나폴리스가 있는 동네[E] 디지털미디어시티가 있는 동네[F]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14] 지역구 국회의원: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4선)[G]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15] 지역구 국회의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3선)[마포] A B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 서강동, 서교동, 합정동, 망원1동, 망원2동, 연남동, 성산1동, 성산2동, 상암동[16]38표 차이였다.[17] 지역구 국회의원 : 민주통합당 노웅래[18] 관할 동 :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19] 지역구 국회의원 : 더불어민주당 노웅래[20] 관할 동 : 공덕동, 아현동, 도화동, 용강동, 대흥동, 염리동, 신수동[21] 전국에서 심상정 후보의 득표율이 가장 높은 곳이다. (4.66%)[22] 지역구 국회의원: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4선)[23] 지역구 국회의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3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