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노승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본명이 '노승환'인 지누션의 멤버에 대한 내용은 션(지누션) 문서
션(지누션)번 문단을
션(지누션)# 부분을
, 대한민국 공군의 군인에 대한 내용은 노승환(군인) 문서
노승환(군인)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노승환(군인)#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마포구 CI_White.svg
서울특별시 마포구청장
[ 펼치기 · 접기 ]

초대
윤상직
제2대
윤동식
제3대
이각세
제4대
이규갑
제5대
조일환
제6대
이갑주
제7대
박호양
제8대
박인섭
제9대
이송
제10대
배성환
제11대
박신걸
제12대
이승복
제13대
박종순
제14대
이원재
제15대
원효상
제16대
기천식
제17대
임종원
제18대
김옥현
제19대
한종섭
제20대
홍석철
제21대
김진원
제22대
박용희
제23대
손영환
제24대
윤백영
제25대
최상근
제26대
신재영
제27대
박종우
제28대
김원오
제29대
신현석
제30대
김진호
제31대
김영근
제32대
조남호
제33대
이원택
제34대
손장호
제35대
이경배
제36대
조삼섭
제37대
류동주
제38-39대
노승환
제40대
박홍섭
제41대
신영섭
제42-43대
박홍섭
제44대
유동균
제45대
박강수
파일:마포브랜드.png




대한민국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노승환
盧承煥 | Roh Seung-hwan
파일:노승환 전 의원.png
출생1927년 9월 5일
경기도 경성부 용강정
(現 서울특별시 마포구)
사망2014년 5월 24일 (향년 86세)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신촌동 세브란스병원
본관교하 노씨
우강(友江)
재임기간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1988년 5월 30일 ~ 1990년 5월 29일
제38·39대 서울특별시 마포구청장
1995년 7월 1일 ~ 2002년 6월 30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고정희
자녀아들 노광래, 노웅래, 노현래, 노충래, 노장래
학력경기중학교 (졸업)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 / 학사)
병역대한민국 육군 하사 만기전역
종교개신교
의원 선수5
의원 대수8, 9, 10, 12, 13
약력제8대 국회의원(서울 마포구)
제9,10,12대 국회의원(서울 마포구·용산구)
제13대 국회의원(서울 마포구 갑)
제13대 전반기 국회부의장
제38·39대 서울특별시 마포구청장


1. 개요
2. 생애
3. 기타
4. 선거 이력
5. 소속 정당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전 정치인, 민주당계 정당 출신 정치인으로서는 보기 드물게도 출마한 모든 선거에서 전승한 기록을 가진 능력자이기도 하다.


2. 생애[편집]


1927년 경성부 용강정(현재의 서울 마포구)에서 태어났다.[1]

1946년 경기중학교를 졸업하고 군에 입대했다가 1952년 육군 하사로 전역하였다. 건국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재학 중이던 1958년 초대 서울특별시의회 시의원에 당선되면서 정계에 진출했다.

1971년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서울특별시장을 지낸 민주공화당 김현옥 후보를 꺾고 당선되었다. 이후 김재광계에 속했다.

1973년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김원만과 신민당 복수 공천을 받아 서울특별시 마포구-용산구 선거구에 출마하여 함께 당선되었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김원만과 신민당 복수 공천을 받아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자신은 민주공화당 박경원과 동반 당선된 반면 김원만은 낙선하였다. 1979년 5월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김영삼을 지지하였고, 다음달인 6월 당직 개편에서 정치훈련원장에 임명되었다.

1980년 전두환의 신군부가 집권하자 정치규제를 당하였다. 1984년 정치규제 해제된 후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봉두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같은 해 신한민주당 부총재에 임명되었다. 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다가 다시 평화민주당에 입당하였다. 이 때 계보 보스였던 김재광과 결별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평화민주당 후보로 서울특별시 마포구 갑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같은 해부터 1990년까지 국회부의장을 역임하였다.

1991년 4월 신민주연합당이 창당되면서 최고위원으로 선임되었다. 같은 해 7월 정대철, 이상수 등과 함께 정치발전연구회를 결성하고 회장을 맡았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김대중이 정치발전연구회 소속 정치인 중 일부를 공천 탈락시키자, 이에 반발하여 민주당을 탈당하고 불출마를 선언하였다.#

3년 뒤인 1995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민주당에 복당하여 마포구청장 후보로 출마, 당선되었다. 국회의원 출신이 기초단체장에 출마하는 경우가 드문데다 국회부의장까지 지낸 중진이었기에 화제가 되었는데, 이에 대해 본인은 "나를 정치적으로 길러준 마포구민에게 마지막 봉사를 하고 싶다."는 말로 출사표를 대신했다.[2]원혜영, 최성, 정장선의 선배

4년 후 1998년 지방선거에도 출마해 재선에 성공했으며, 2002년 지방선거 때는 불출마하면서 스스로 3선을 포기했다. 이후 열린우리당 고문을 지냈으며 대통합민주신당 탈당 이후로는 당적을 갖지 않았다.

2014년 5월 24일 숙환으로 별세했다.


3. 기타[편집]


결혼식 주례를 1만 4천여번 맡아 '세계에서 주례를 가장 많이 선 사람'으로 기네스 기록을 가진 사람이다. 40년간 매일 한번씩 주례를 선 수준.

지역구인 마포구에서 노인들에게 물어보면 마포구에 거주하는 가족 중 이 분의 주례를 한 번도 안 받은 사람이 없을 정도라고 말할만큼 정말 많이 봐줬다고 한다.

현재는 정치인의 주례가 불가능하므로 적어도 대한민국에서는(법이 바뀌지 않는 이상) 미래에도 깨질 수 없는 기록이라고 볼 수 있다.


4.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1제8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14[3]
ta-hash-start=w-983fed3ee5f2389b4ce0dc7486dfd8a8[[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62,212 (49.90%)당선 (1위)초선
1973제9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6[4]66,031 (30.95%)당선 (2위)재선[5]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7[6]113,924 (35.46%)3선[7]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2[8]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7,778 (52.41%)당선 (1위)4선[9][10]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서울 마포 갑
ta-hash-start=w-2f61bc8be89fcc808b4679e1d5de7c60[[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36,134 (35.71%)5선[11]
1995제1회 전국동시지방선거서울 마포구청장

108,017 (56.46%)초선
1998제2회 전국동시지방선거
ta-hash-start=w-e32c6c0d76c602ec48a1ec030982eb85[[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70,788 (52.38%)재선

역대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노승환8대.jpg
파일:노승환9대.jpg
8대 총선 (서울 14[1])9대 총선 (서울 6[2])
파일:노승환10대.jpg
파일:노승환12대.jpg
10대 총선 (서울 7[3])12대 총선 (서울 2[4])
파일:노승환13대.jpg
파일:노승환1995.jpg
13대 총선 (서울 마포구 갑)1회 지선 (서울 마포구청장)
파일:노승환1998.jpg
2회 지선 (서울 마포구청장)



5. 소속 정당[편집]


소속기간비고

무소속

1958 - 1963정계 입문

ta-hash-start=w-1aebc7e51e61a787aa2d3419a3a96ae0[[파일:민정당 글자.svg
1963 - 1965창당

ta-hash-start=w-fb730d59023144c8a826646ed367bd9b[[파일:민중당(1965년) 흰색 로고타입.svg
1965 - 1966합당[12]

무소속

1966탈당[13]


1966 - 1967창당

ta-hash-start=w-c4ceea97dd9107c7dc97560a01c4e2bb[[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7 - 1969합당[14]

무소속

1969정당 해산

ta-hash-start=w-808e22af6c33eea22608f30cef458844[[파일:신민당 벽보글씨.svg
1969 - 1980정당 재등록

무소속

1980 - 1984정당 해산[15]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5 -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16]

ta-hash-start=w-dc70dcd4932bb0874226a3eb6d20b38d[[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7창당

무소속

1987탈당[17]
1987 - 1991창당
1991당명 변경
1991 - 1992합당[18]
1992 - 1995탈당[19]
1995복당
1995탈당[20]
1995 - 2000창당
2000 - 2003합당[21]
정계 은퇴
2003탈당[22]
2003 - 2007창당
2007합당[23]
2007 - 2014탈당
사망

6. 둘러보기[편집]











[1] 이 사람 역시 박홍섭 구청장과 더불어 진정한 서울토박이였다. 대대로 한성부 서부 용산방 신창계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참고로, 박홍섭 구청장이 태어난 한성부 서부 용산방 옹리하계와 매우 가까운 지역이다.[2] 이후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에서 4선 국회의원에 여당 대표를 지낸 안상수가 기초단체장인 경상남도 창원시장으로 출마해서 화제거리가 된 일은 있으나 애초에 창원시가 기초단체 치고는 상당히 큰 편인데다 광역시 승격까지 거론되고 있는 곳임을 감안하면 노승환의 사례는 정말 보기 드문 일임에 틀림없다. 다만 마포구의 행정을 책임지는 자리가 바로 마포구청장인만큼, 마포구민에게 마지막 봉사를 하기 위한 행보로는 말 그대로 안성맞춤이었던 셈. 특히 국회부의장까지 지냈을 정도면 국회는 물론이고 중앙정부에도 여기저기 인맥이 탄탄할테니 마포구 행정에 큰 도움이 되었을 것이다.[3] 마포구[4] 마포구, 용산구[5] 신민당 김원만 후보와 동반 당선[6] 마포구, 용산구[7] 민주공화당 박경원 후보와 동반 당선[8] 마포구, 용산구[9] 민주정의당 봉두완 후보와 동반 당선[10] 1987.4.8 탈당, 5.6 통일민주당 창당 합류, 10.29 탈당, 11.13 평화민주당 창당 합류[11] 전반기 국회부의장[12] 민주당과 신설 합당[13]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4] 민중당(1965년)과 신설 합당.[15] 5.17 내란으로 인한 강제해산.[16]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7] 당내 노선 차이로 인한 탈당.[18] 민주당과 신설 합당.[19] 공천 탈락 불복으로 탈당.[20] 새정치국민회의 창당을 위한 탈당.[21] 새천년민주당에 흡수 합당.[22] 열린우리당 창당을 위한 탈당.[23] 대통합민주신당에 흡수 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