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미야하라 사토코

덤프버전 :

미야하라 사토코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사대륙선수권
||



파일:일본 빙상연맹.svg
전일본선수권
||
[ 펼치기 · 접기 ]

6회(1934-35년) ~ 50회(1978-79년)
[ 펼치기 · 접기 ]

6회1934-35 도쿄이나다 이츠코
7회1935-36 도쿄토고 타마코8회1936-37 도쿄이나다 이츠코
9회1937-38 도쿄이나다 이츠코10회1938-39 도쿄이나다 이츠코
11회1939-40 도쿄이나다 이츠코12회1940-41 도쿄이나다 이츠코
13회1941-42취소WWII14회1942-43취소WWII
15회1943-44취소WWII16회1944-45취소WWII
17회1945-46취소WWII18회1946-47 하치노헤츠키오카 요시코
19회1947-48 모리오카니와 요시코20회1948-49 스와취소
21회1949-50 토마코마이?22회1950-51 닛코이나다 이츠코
23회1951-52 도쿄?24회1952-53 도쿄츠키오카 요시코
25회1953-54 오사카야마시타 츠야코26회1954-55 도쿄야마시타 츠야코
27회1955-56 쿄토우에노 준코28회1956-57 도쿄우에노 준코
29회1957-58 도쿄우에노 준코30회1958-59 오사카우에노 준코
31회1959-60 도쿄후쿠하라 미와32회1960-61 도쿄우에노 준코
33회1961-62 오사카후쿠하라 미와34회1962-63 도쿄후쿠하라 미와
35회1963-64 도쿄후쿠하라 미와36회1964-65 오사카후쿠하라 미와
37회1965-66 토마코마이후쿠하라 미와38회1966-67 도쿄오카와 쿠미코
39회1967-68 도쿄오카와 쿠미코40회1968-69 도쿄야마시타 카즈미
41회1969-70 오사카야마시타 카즈미42회1970-71 도쿄야마시타 카즈미
43회1971-72 삿포로야마시타 카즈미44회1972-73 오사카와타나베 에미
45회1973-74 교토와타나베 에미46회1974-75 히로시마와타나베 에미
47회1975-76 도쿄와타나베 에미48회1976-77 도쿄와타나베 에미
49회1977-78 교토와타나베 에미50회1978-79 도쿄와타나베 에미

51회(1979-80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1979-80 도쿄와타나베 에미52회1980-81 도쿄코바야시 레이코
53회1981-82 도쿄요시다 마리코54회1982-83 도쿄오자와 주리
55회1983-84 도쿄카토 마사코56회1984-85 도쿄이토 미도리
57회1985-86 도쿄이토 미도리58회1986-87 도쿄이토 미도리
59회1987-88 도쿄이토 미도리60회1988-89 도쿄이토 미도리
61회1989-90 기타큐슈이토 미도리62회1990-91 요코하마이토 미도리
63회1991-92 고베이토 미도리64회1992-93 나고야사토 유카
65회1993-94 요코하마사토 유카66회1994-95 고베요코야 하나에
67회1995-96 요코하마이토 미도리68회1996-97 나가노스구리 후미에
69회1997-98 고베아라카와 시즈카70회1998-99 요코하마아라카와 시즈카
71회1999-00 후쿠오카시나 치사토72회2000-01 나가노스구리 후미에
73회2001-02 오사카스구리 후미에74회2002-03 교토스구리 후미에
75회2003-04 나가노안도 미키76회2004-05 요코하마안도 미키
77회2005-06 도쿄스구리 후미에78회2006-07 나고야아사다 마오
79회2007-08 카도마아사다 마오80회2008-09 나가노아사다 마오
81회2009-10 카도마아사다 마오82회2010-11 나가노안도 미키
83회2011-12 카도마아사다 마오84회2012-13 삿포로아사다 마오
85회2013-14 사이타마스즈키 아키코86회2014-15 나가노미야하라 사토코
87회2015-16 삿포로미야하라 사토코88회2016-17 오사카미야하라 사토코
89회2017-18 도쿄미야하라 사토코90회2018-19 오사카사카모토 카오리
91회2019-20 도쿄키히라 리카92회2020-21 나가노키히라 리카
93회2021-22 사이타마사카모토 카오리94회2022-23 카도마사카모토 카오리
95회2023-24?96회2024-25?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미야하라 사토코
宮原(みやはら 知子(さとこ |Satoko Miyahara
파일:미야하라 사토코13.jpg
국적
파일:일본 국기.svg

출생1998년 3월 26일 (26세)
교토부 교토시 나카교구
학력칸사이대학부속중학교
칸사이대학부속고등학교
칸사이대학 문학부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52cm
코치리 바켈, 사토 유카
소속IMG
은퇴2022년 3월 26일
링크파일:Ameba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틱톡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1-12 시즌
2.2. 2012-13 시즌
2.3. 2013-14 시즌
2.4. 2014-15 시즌
2.5. 2015-16 시즌
2.6. 2016-17 시즌
2.7. 2017-18 시즌
2.8. 2018-19 시즌
2.9. 2019-20 시즌
2.10. 2020-21 시즌
2.11. 2021-22 시즌
2.12. 은퇴 이후
3. 평가
4. ISU 공인 최고점수
5. 프로그램
6. 커리어
7. 기타



1. 개요[편집]


파일:미야하라 사토코.gif파일:미야하라 사토코1.gif
일본의 前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1-12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3차 2011 JGP 폴란드 대회에서 율리아 리프니츠카야에 이어 은메달을 따면서 주니어 데뷔를 했다. 이후 주니어 그랑프리 6차 2011 JGP 이탈리아 대회에서는 5위를 차지해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는 진출하지 못했다.

2011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하여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고, 2011 전일본선수권에도 참가해 6위를 했다. 이후 처음 출전한 201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그레이시 골드, 아델리나 소트니코바의 뒤를 이어 4위를 기록했다.


2.2. 2012-13 시즌[편집]


아시안 트로피 주니어 부문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2차 2012 JGP 미국에서는 본인의 첫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했다. 이어서 열린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2 JGP 튀르키예 대회에서 동메달을 땀으로써 처음으로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 자격을 얻었다. 파이널에 앞서 2012 전일본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 2012-13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2012 전일본선수권에서 아사다 마오무라카미 카나코에 이어 동메달을 따며 처음으로 포디움에 들었다. 2013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프리에서 모든 점프에 회전 부족을 받는 바람에 전설의 0트리플 7위를 기록하였다.

2.3. 2013-14 시즌[편집]


아시안트로피에서 우승을 차지하며 첫 시니어 시즌을 시작했다. 두 차례의 그랑프리 시리즈 2013 NHK 트로피2013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모두 5위를 기록했다.

2013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작년보다 한 단계 낮은 순위인 4위에 그쳤다. 따라서 2014 소치 동계올림픽2014 세계선수권에는 출전할 수 없게 되었고, 대신 연맹은 미야하라에게 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권을 주었다.

2014 사대륙선수권에서는 모든 요소를 클린하며 무라카미 카나코에 이어 은메달을 차지했다. 2014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러시아의 주니어 강자들인 라디오노바, 사하노비치, 메드베데바에게 밀려 4위에 그쳤다. 이후 가데나 스프링스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4. 2014-15 시즌[편집]


2014 CS 롬바르디아 트로피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재팬 오픈에서는 개인 2위, 팀은 3위를 했다.

스케이트 캐나다NHK 트로피에서 동메달을 따며 처음으로 연속 메달에 성공했지만,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5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생애 첫 우승을 차지했다. 동시에 사대륙선수권을 비롯하여 첫 시니어 세계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다. 대한민국 서울에서 열린 2015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쇼트 1위를 기록했지만 프리에서 실수를 연발하며 다시 한 번 은메달을 땄다. 이때 한국에서 기미가요가 울리는 것을 막아준 폴리나 에드먼즈에게 많은 사람들이 감사를 표했다. 그러나 이 대회에서 점프의 롱엣지와 회전부족을 눈감아 줬다는 논란이 있었다.

2015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 프리, 총점 모두 자신의 최고 기록을 경신하며 첫 출전만에 은메달을 차지했다. 이때부터 옐레나 라디오노바를 누르기 시작했다. 시즌 마지막 대회인 2015 월드 팀 트로피에 참가하였고 팀은 동메달을 기록하였다.

2.5. 2015-16 시즌[편집]


2015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우승하며 시즌을 시작하였다. 재팬 오픈에서는 복귀한 아사다 마오에 이어 개인 2위를 기록하고 일본 팀은 우승을 차지하였다.

2015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넘어짐과 롱엣지 판정으로 인해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5 NHK 트로피에서는 자국 선배인 아사다 마오를 누르고 생애 첫 시니어 그랑프리 우승을 차지하면서[1] 시니어 3번째 시즌만에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했다.

2015-16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롱엣지 판정이 하나 있었지만, 그 외의 모든 요소를 클린해내어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고 은메달을 땄다.

2015 전일본선수권에서는 무난히 우승하며 2연패를 달성했다.[2]

2016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클린하고, 프리에서는 첫 컴비점프에 타노와 트랜지션을 추가하며 클린하였다. 이와 동시에 개인 기록을 경신하고 2위인 미라이 나가수와는 21점이 넘는 압도적인 차이로 우승하였다.

2016 세계선수권에서는 쇼트와 프리를 모두 클린했으나, 경쟁자들이 모두 클린하는 바람에 메달은 따지 못하고 5위를 차지했다. 이후 팀 챌린지 컵에 아시아 팀으로 참가하여 개인 2위, 팀은 동메달을 따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6. 2016-17 시즌[편집]


2016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우승하면서 시즌을 시작했다.

스케이트 캐나다에서 3위, NHK 트로피에서는 회전수 부족으로 인해 프리에서 감점으로 최종 2위를 기록했다.
2016-17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2016 전일본선수권에서는 3연패를 달성했으나, 부상으로 인해 사대륙선수권과 세계선수권은 기권했다.

2.7. 2017-18 시즌[편집]


부상의 여파로 복귀전이었던 2017 NHK 트로피에서 5위로 부진하였다. 하지만 빠른 회복을 보이며 2017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우승하였다. 따라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직행은 하지 못하였고 대기 1순위였는데,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가 발목 부상으로 기권을 하면서 미야하라가 대신 출전 기회를 얻었다. 행운이 따라 출전하게 된 2017-18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최종 5위를 기록했다.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는 통산 4번째 우승을 하며 평창행을 확정지있다.

2018 사대륙선수권에서는 언더에 발목을 잡히며 같은 일본 신예들에게 밀려 동메달을 획득하였다.

2018 평창 동계올림픽 단체전 쇼트 프로그램에서 언더 판정을 받아 68.95점으로 4위를 했다. 개인전에서는 올클린을 해내며 쇼트 75.94점, 프리 146.44점, 총점 222.38점을 받아 첫 220점 돌파에 성공하였으나 뒷 순서에 출전한 오스먼드, 자기토바, 메드베데바가 모두 230점을 넘어섰기 때문에 분전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4위에 올랐다. 2018 세계선수권에서는 74.36점, 프리 135.72점, 총점 210.08점으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2.8. 2018-19 시즌[편집]


2018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우승하고 재팬 오픈에서 개인 3위, 팀은 1위를 차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우승하며 작년에 이어 2연패를 달성했다. NHK 트로피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2위를 하여 키히라 리카의 뒤를 이어 은메달을 따면서, 그랑프리 파이널에 진출하였다. 2018-19 그랑프리 파이널에서는 쇼트와 프리 모두 6위를 하면서 꼴찌 최종 6위를 기록했다.

2017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쇼트에서 1위였지만, 프리에서 실수가 나오면서 4위를 하며 사카모토 카오리키히라 리카에 이어 동메달을 땄다. 이로써 연패 기록은 4연패로 마감하게 되었다. 2019 사대륙선수권에는 출전하지 못했으나 같은 기간에 열리는 바바리안 오픈에 출전하여 우승했다. 자국에서 열린 2019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를 했다.

2.9. 2019-20 시즌[편집]


2019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에서 우승하고 재팬 오픈에서는 팀 2위, 개인 3위를 기록했다.
2019 컵 오브 차이나에서 은메달을 땄다. 2019 로스텔레콤 컵에서는 쇼트에서 예정된 3Lz+3T 컴비네이션 중 첫 트리플 러츠를 더블링하는 실수를 하고, 프리에서는 5개의 점프에 언더 판정을 받아 4위를 함으로써 그랑프리 파이널 진출에는 실패했다. 2019 전일본선수권 쇼트에서는 연결 트리플 토룹과 트리플 룹에 언더 판정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1개 다운, 6개 언더, 트리플 플립에서 어텐션 판정을 받았다. 최종 4위를 하며 포디움 진입에는 실패했다.

2.10. 2020-21 시즌[편집]


2020 스케이트 캐나다에 배정받았으나 대회가 취소되어, 시즌 첫 대회로 2020 전일본선수권에 참가했고 3위를 차지했다.

2021 세계선수권 쇼트에서는 트리플 러츠에서 넘어져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트리플 룹을 스텝아웃함과 동시에 플랜비로 붙이려고 했던 연결 트리플 토룹을 싱글로 처리[3]하며 59.99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더블 악셀을 제외한 모든 점프들을 제대로 뛰지 못해 감점 2점을 포함한 112.31점을 받았다. 총점 172.30점으로 19위를 기록했는데, 이는 본인이 여태까지 출전한 세계선수권 중 최악의 성적이다.[4]

2.11. 2021-22 시즌[편집]


재팬 오픈에 참가하여 팀 1위, 개인 6위를 기록했다. 2021 스케이트 아메리카2021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에서는 각각 7위와 5위를 기록했다. 2021 전일본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하며 2022 사대륙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으나, 이후 대회를 기권했다. 시즌이 끝나고 생일인 3월 26일에 인스타그램으로 은퇴를 발표했다.

2.12. 은퇴 이후[편집]


재팬 오픈 점프 구성
프리3Lz+2T+2Lo, 3Lo, 2S+2T, 2A, 3Lz, 3T, 2A+3T
은퇴 선수 자격으로 2023 재팬 오픈에 출전하였다. 첫 점프였던 트리플 러츠, 단독 트리플 토룹에서 언더 판정을 받았으며 더블 악셀+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에서 후속 토룹에 다운그레이드 판정을 받고 스텝 아웃 실수를 했다. 이후 플라잉 체인지 풋 컴비네이션 스핀에서 레벨 3을 받은 것을 제외하면 비점프 요소에서 모두 최고 레벨을 받으며 현역 못지않은 경기력을 선보였다. 프리 123.22점으로 개인 4위, 팀 일본은 우승을 차지했다.

3. 평가[편집]


파일:미야하라 사토코2.gif파일:미야하라 사토코3.gif
컨시가 최대 장점인 선수이며, 점프의 질은 매우 좋지 않다. 롱엣지는 그렇다고 쳐도, 프리 로테이션이 매우 심하고 점프 높이가 살인적으로 낮다.[5] 그에 더불어 언더 로테이션도 눈에 띄지 않게 발목을 돌려 랜딩하며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회전수 부족으로 감점되는 경우가 꽤 있다. 물수제비 점프 회전수를 채우는게 신기하다. 참고로 사토코는 원래 시계방향으로 회전을 도는 스케이터였으나 일본에 와서 반시계 방향으로 교정되었는데[6] 이에 많은 팬들은 점프 높이가 낮은 이유가 이것 때문이라고 추측하기도 한다.[7] 그 바탕으로 현재도 시계방향으로도 2회전 점프가 가능하며 본인 특유의 양방향 스핀을 구사할 수 있다. 그 외에도 넘어지거나 스텝 아웃을 하는 등의 큰 실수는 자주 저지르지 않고 전반적으로 점프 성공률이 높고 기복이 적다는 점은 장점으로 꼽히고 있다. 또한 쇼트와 프리 모두에서 실속 있고 난이도 높은 기초점의 구성과 비점프 요소를 구사할 수 있다는 것도 장점으로 꼽힌다. 스케이팅 스킬과 더불어 높은 점프 성공률과 기복이 없는 점은 높게 평가를 받는다. 또한 표현력과 선곡 스타일도 괜찮은 편이며 프로그램도 본인에게 잘맞게 소화한다.그리고, 일본 표정 연기 3대장(본인, 수구리 후미에, 스즈키 아키코) 중 한 명이다.
레이백 스핀, 비엘만 스핀, 양방향 스핀, 스텝 등 비점프 요소가 상당히 좋고 가산점도 높은 편이다.[8] 스케이팅 스킬이 깔끔하고 정교하다는 평을 받고 있다. 만약 구채점제 시절이었다면, 더 좋은 평가를 받았을 것이라는 평도 있다.

4.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76.08(2018 NHK 트로피)
프리145.85(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
총점219.71(2018 스케이트 아메리카)

5.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9]-로미오와 줄리엣 환상 서곡
by 표트르 차이콥스키
• 로미오와 줄리엣(1968) OST
by 니노 로타
-
2021-2022작은 참새를 위한 노래
by 아벨 코르제니오프스키
토스카
• Vissi d'arte, vissi d'amore
by Anna Netrebko, Barry Wordsworth
• lo de' sospiri
by Patrizio Veronelli, Lorin Maazel
• E lucevan le stelle
by Barry Wordsworth
• Presto, su! Mario!
by Mirella Freni
E lucevan le stelle
Sir Neville Marriner & Academy
of St.Martins in the fields
Lyra Angelica
by William Alwyn
2020-2021• Gnossienne No. 1
by Erik Satie
• Metamorphosis II
by 필립 글래스
Yalla, Tabla & Percussion Solo,
Egyptian Disco
2019-2020• Yalla
by ZwiReK
• Tabla & Percussion Solo
by Bashir Abdel Aal
• Egyptian Disco
by David Visan
쉰들러 리스트
by 존 윌리엄스
• Prelude in C-Sharp Minor(모스크바의 종)
by 세르게이 바실리예비치 라흐마니노프
• Hatikvah(이스라엘 국가)
by John Bayless
• Gnossienne No. 1
by Erik Satie
• Metamorphosis II
by 필립 글래스
2018-2019작은 참새를 위한 노래
by 아벨 코르제니오프스키
아스토르 피아졸라 메들리
• Adios Nonino
• Invierno Porteno
• Verano Porteno
Bella Donna Twist
(Kurios, Cirque du Soleil)
by Raphaël Beau,
Guy Dubuc,
Marc Lessard
2017-2018게이샤의 추억
by 존 윌리엄스
나비부인
• Act 3
• Goro's Entrance(Act 2)
• Butterfly Bids Her Child Farewell(Act 2)
• Prelude
by 자코모 푸치니
나비부인
• Act 3
• Goro's Entrance(Act 2)
• Butterfly Bids Her Child Farewell(Act 2)
• Prelude
by 자코모 푸치니
아랑훼즈 협주곡
by Joaquín Rodrigo
2016-2017무세타의 왈츠
by 자코모 푸치니
행성
by 구스타브 홀스트
• Venus
• Mars
• Princess Leiah's theme
• Jupiter
• The Thorne room
One More Try
by George Michael
Hernando's Highway
by Richard Adler,
Jerry Ross
2015-2016파이어댄스
by Bill Whelan
탄식
by 프란츠 리스트
Tsubasa wo Kudasai
by Kunihiko Murai
Pennies from Heaven
by Arthur Johnston
2014-2015마술피리
by 모짜르트
미스 사이공
by Claude-Michel Schönberg
• Overture & The Heat Is On in Saigon
• The Scared Bird
• The American Dream & This is the Hour
& Finale: Sun and Moon
Sing, Sing, Sing
(With a Swing)
by Louis Prima
The Man I Love
by 조지 거슈윈
Let Her Go
by Passenger
2013-2014Merry Christmas Mr. Lawrence
by 사카모토 류이치
포에타
by Vicente Amigo
• Preludio
• Poeta en el Puerto
• Poeta En El Viento
Solace
by 바네사 메이
2012-2013백조의 호수
by 카미유 생상
로미오와 줄리엣
아다지오 G단조
by Remo Giazotto
Papa Loves Mambo
by Al Hoffman,
Dick Manning,
Bickley Reichner
봄의 소리 왈츠
by 요한 슈트라우스 2세
봄의 소리 왈츠
by 요한 슈트라우스 2세
2011-2012Por una Cabeza
여인의 향기 OST
by Carlos Gardel
Mother Goose Suite
by 모리스 라벨
Sympathique
by China Forbes,
Thomas Lauderdale

6. 커리어[편집]


세계선수권
은메달2015 상하이여자 싱글
동메달2018 밀라노여자 싱글
사대륙선수권
금메달2016 타이베이여자 싱글
은메달2015 서울여자 싱글
은메달2014 타이베이여자 싱글
동메달2018 타이베이여자 싱글
그랑프리 파이널
은메달2015-16 바르셀로나여자 싱글
은메달2016-17 마르세유여자 싱글
월드 팀 트로피
동메달2015 도쿄단체전

국제대회:시니어
대회08–0909–1010–1111–1212–1313–1414–1515–1616–1717–1818–1919–2020–2121–22
올림픽4th
세계선수권2nd5thWD3rd6thC19th
사대륙선수권2nd2nd1stWD3rdWD
GP 파이널2nd2nd5th6th
GP 그란 프레미오 디'이탈리아5th
GP 컵 오브 차이나2ndC
GP 스케이트 아메리카3rd1st1st7th
GP 스케이트 캐나다3rd3rdC
GP NHK 트로피5th3rd1st2nd5th2nd
GP 로스텔레콤 컵5th4th
CS 어텀 클래식WD
CS U.S. 인터내셔널 클래식1st1st1st1st
CS 롬바르디아 트로피1st
바바리안 오픈1st1st
아시안 게임WD
가데나 스프링스 트로피1st
아시안 트로피1st
국제대회:주니어, 노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4th7th4th
JGP 파이널5th
JGP 튀르키예3rd
JGP 미국1st
JGP 이탈리아5th
JGP 폴란드2nd
아시안 트로피1st N1st J
트리글라브 트로피2nd N2nd N
챌린지 컵2nd D
국내대회
전일본선수권6th3rd4th1st1st1st1st3rd4th3rd5th
전일본 주니어선수권4th4th1st1st
전일본 노비스선수권4th
서일본선수권1st J
도쿄 지역예선1st
간사이 지역예선1st J1st
단체전
올림픽5th T
4th P
월드 팀 트로피3rd T
5th P
재팬 오픈3rd T
2nd P
1st T
2nd P
1st T
2nd P
1st T
3rd P
2nd T
4th P
1st T
6th P
팀 챌린지 컵3rd T
2nd P
GP=그랑프리, JGP=주니어 그랑프리, CS=챌린저 시리즈,
WD=기권, T=팀 결과, P=개인 결과, D=데브스, N=노비스,
J=주니어, C=취소

7. 기타[편집]


  • 6살 적 사진이 있다.
  • 현역 시절 동료 선수들과 팬들한테는 '삿통'이라고 불렸다.
  • 5살 때 교토대학교 출신 의사인 부모님들의 일로 인해 미국 텍사스 주 휴스턴으로 이사했다. 그곳에서 어머니의 권유로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7살인 초등학교 2학년 때 다시 일본으로 돌아와서 본격적으로 선수 생활을 시작했다.
  • 야자가 없는 일본 중고등학교에서 수업을 마치고 바로 피겨 스케이팅 연습을 했는데도 성적은 상위권이였다.
  • 취미는 독서, 쇼핑, 요리, 좋아하는 음악 찾기다.
  • 왼손잡이다.
[1] 여담으로 이때 시상식이 진행되는 내내 표정이 썩어 있는 아사다 마오의 눈치를 봐, 국내 피겨 팬들의 동정심을 샀다. [2] 여담으로 이번 시즌만 아사다 마오를 3번 연속으로 눌렀다.[3] 여자 싱글 쇼트의 컴비네이션 점프는 3-3, 3-2, 2-3 유형만 할 수 있으며, 3-1을 성공한다고 해도 감점을 받는다.[4] 직전 대회인 2019 세계선수권에서 6위였던 성적에 비해 13위나 더 떨어졌다. 일본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은 인재들을 많이 배출하므로, 본인이 다음 시즌 세계선수권에서도 출전이 가능할 지에 대해서는 불확실해졌다. 무엇보다도 일본은 여자 싱글 선수층이 두꺼워 내셔널 결과만으로는 올림픽과 세계선수권과 출전 선수를 바로 선발하지는 않는다. 보통은 내셔널 1위&2위, 해당 시즌에 얻은 랭킹 포인트 및 시즌 베스트 점수, 국제대회 성적 등을 따진 성적우수자로 선발한다. 그 예시로 2009-10 시즌,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에 출전하지 못했던 나카노 유카리는 전일본선수권에서 3위를 했지만 국제대회 성적이 좋지 않아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나카노는 이 대회 이후로 은퇴했다.[5] 일부 사람들은 사토코의 키가 작아서 점프가 낮다는 의견도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자면 키와 점프 높이는 상관이 없다. 같은 일본 선수 히구치 와카바의 경우 비슷한 키지만 점프는 아주 파워풀하고 높다. 오히려 키가 160cm를 넘어가는 선수들이 점프 질과 컨시에 난조를 겪고 있다. 정 이해가 안가면 이토 미도리의 점프를 보자. 피겨 스케이팅을 잘 모르는 사람들도 이토 미도리의 점프를 보면 키와 점프의 질은 아무 상관이 없는 걸 알 것이다.[6] CBC 해설위원은 일본 내에선 프로선수가 시계방향으로 점프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기 때문에 그녀가 교정했다고 말했다.[7] 미야하라는 트리플 점프의 높이가 20~30cm 정도 밖에 나오지 않는데, 이는 단순히 선천적인 점프력의 한계로는 볼 수 없을 정도로 낮은 높이이기 때문이다. 무엇보다 점프 이외의 스케이팅 스킬들은 前 코치인 하마다 미에 코치도 인정할 정도로 정말 손에 꼽게 뛰어난 선수이기 때문에 더욱 이질적으로 느껴진다.[8] 레이백 스핀은 종종 가산점 만점을 받는다. 국내대회이긴 하지만 2020 전일본선수권에서는 스텝에서 가산점 만점을 받기도 했다.[9] 재팬 오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9 03:39:17에 나무위키 미야하라 사토코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