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박일경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부총리 겸.svg
파일:교육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법제처장.svg
[ 펼치기 · 접기 ]

법제처장 (1948~1954)법무부 법제실장 (1954~1960)
초대
유진오
제2대
신태익
제2대
신태익
제3대
강명옥
국무원사무처 법제국장 (1960~1961)내각사무처 법제국장 (1961)
초대
김도창
초대
현명섭




파일:명지나무_White.svg
명지대학교 총장
[ 펼치기 · 접기 ]

서울고등가정학교 교장
근화여자초급대학 학장
서울문리사범대학 학장
명지초급대학 학장
제1대
김재준
제2대
전호덕
제3대
민태식
제4대
유상근
제5대
유상근
명지대학 학장
제1대
유상근
제2대
박일경
제3대
박동섭
명지대학교 총장
제1대
박일경
제2대
유상근
제3대
이영덕
제4대
고건
제5대
송자
제6대
선우중호
제7대
정근모
제8-12대
유병진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이종순
제헌국회의원
1969
조동식
교육인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1970
이상백
-
1971
유일한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7
이병철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8
고흥문
국회의원
2000
이건희
기업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2
박병석
국회의장


대한민국 제12대 문교부 장관
박일경
朴一慶 | Park Il-kyung
파일:334921341.jpg
출생1920년 10월 18일
경상북도 의성군
사망1994년 9월 6일 (향년 73세)
서울특별시 용산구 한남동 순천향대병원
묘소충청남도 천안시
재임기간제4대 법제처장
1961년 10월 2일 ~ 1962년 10월 15일
제12대 문교부 장관
1962년 10월 15일 ~ 1963년 3월 1일
[ 펼치기 · 접기 ]

배우자강명자
자녀슬하 2남 1녀
학력대구고등보통학교 (졸업)
경성제국대학 예과 (문과갑류 / 수료)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 학사)
경력고등문관시험 행정과 합격
전라남도 함평군수
서울대학교 조교수
제4대 법제처장
제12대 문교부 장관
경희대학교 대학원장
명지대학 학장
국가보위입법회의 입법의원
명지대학교 총장

1. 개요
2. 생애
3. 학설
4. 저서
5.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법조인 및 관료. 헌법을 주로 연구하였다.


2. 생애[편집]


1920년 경북 의성군 비안면에서 태어났다. 1937년 대구고등보통학교[1]를 졸업하로 경성제국대학 예과(제14회, 문과갑류)에 입학하였다. 1940년 예과를 수료하고 법문학부로 진학하여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법학과 제2류[2]를 졸업하고 법학사를 취득하였다. 1942년 고등문관시험 행정과에 합격, 해방 당시 전남 함평군수로 재직하고 있었다.

해방 이후에는 관직에서 물러나 법학자로 전업하였다. 1947년 대구대학교수로 취임하였으며, 1949년에는 모교인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정치학과 조교수로 자리를 옮겨 헌법학을 강의하였다.

그러나 6.25 전쟁 이후, 다시 강단에서 물러나 법제처 소속 관료의 길을 걸었으며, 법제실 제1국장을 거쳐, 5.16 군사정변 이후에는 1961년 제4대 법제처장, 1962년 제12대 문교부 장관으로 재직하였다.

이후 다시 학계로 돌아와 경희대학교 법대에서 헌법을 담당하였다. 유신 이후, 오늘날 헌법재판소의 전신이자 실제로는 유명무실한 헌법위원회 위원을 담당하기도 하였으며, 1980년 신군부가 설립한 국보위 입법위원을 말아, 헌법개정심의회에서 심의위원으로 개헌에 관여하였다.

이후 명지대학의 제2대 학장을 역임하였고, 1983년 명지대학교가 종합대학으로 승격된 이후 초대 명지대학교 총장을 역임(1984. 01. 01 - 1987. 02. 28)하였다.

1988년 학계에서 은퇴 후 변호사로 개업하였다.[3]

법제처 제1국장 재직 당시, 발췌 개헌사사오입 개헌, 그리고 법제처장 재직 당시 제3공화국 헌법 제개정, 끝으로 국보위 헌법개정심의회 심의위원으로서 대한민국 제5공화국 헌법 제개정 등 한국 헌정사의 굵직한 시점마다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직위에 있었다는 점이 특기할 만하다.


3. 학설[편집]


오늘날에는 소수설인 법실증주의에 기반한 헌법 이해를 강조하였다. 그러다 보니 헌법 문언 그대로의 엄격한 해석을 취하여 외국인의 기본권 인정 등에 대해서도 보수적인 태도를 보였다.[4]


4. 저서[편집]


헌법이 새로 바뀔 때마다 책을 하나씩 냈고, 자잘한 변경이 있을 때에도 제목을 바꿔 책을 냈다. 그 밖에도 1950년대에 들어서는 정치학에 관한 책도 여럿 출간하였다.

  • 헌법 (1952)
  • 헌법 (1955)
  • 신헌법학입문 (1955)
  • 민주정치강화 (1955)
  • 법학요론 (1956)
  • 현대비교정부론 (1957)
  • 소6법 (1957, 공저)
  • 현대비교정치론 (1957)
  • 헌법강의 (1959)
  • 신정 헌법요론 (1920)
  • 신헌법 (1960)
  • 신헌법 대의 (1961)
  • 신헌법요론 (1961)
  • 혁명정부와 헌법 (1961)
  • 헌법요강 (1962)
  • 신헌법 (1963, 공저)
  • 새 헌법 (1963)
  • 신헌법 대의 (1963)
  • 헌법 (1964, 공저)
  • 신헌법 보정판 (1965)
  • 신고 헌법 (1971)
  • 유신헌법 (1972)
  • 제5공화국 헌법 (1980)
  • 법학개론 (1983, 공저)
  • 신헌법학원론 (1986)
  • 제6공화국 신헌법 (1990)


5. 둘러보기[편집]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11><bgcolor=#dcdcdc,#222222> '''현재 회원''' || ||<-6><tablewidth=100%><tablebgcolor=#fff,#191919><width=55%> '''인문사회 분과''' ||<-5><width=45%> '''자연 분과''' || ||<-6>{{{-3 [분과별 학문 분야][br]1분과: 철학, 윤리학, 논리학, 미학, 종교학, 교육학, 심리학[br]2분과: 언어학, 문학[br]3분과: 사학, 고고학, 민속학, 지리학, 문화인류학[br]4분과: 법학[br]5분과: 정치학, 행정학, 사회학[br]6분과: 경제학, 경영학}}} ||<-5>{{{-3 [분과별 학문 분야][br]1분과: 수학, 물리학, 화학, 천문학, 대기과학[br]2분과: 생물학, 지질과학, 스포츠과학, 영양학, 가정학[br]3분과: 건축공학, 금속공학, 기계공학, 섬유공학, 자원공학, 전기공학, 전자공학, 정보공학, 조선공학, 토목공학, 항공공학[br]4분과: 의학, 치의학, 수의학,약학[br]5분과: 농학, 임학, 축산학, 수산학}}} || ||<width=9.166666666666667%> '''1분과''' ||<width=9.166666666666667%> '''2분과''' ||<width=9.166666666666667%> '''3분과''' ||<width=9.166666666666667%> '''4분과''' ||<width=9.166666666666667%> '''5분과''' ||<width=9.166666666666667%> '''6분과''' ||<width=9%> '''1분과''' ||<width=9%> '''2분과''' ||<width=9%> '''3분과''' ||<width=9%> '''4분과''' ||<width=9%> '''5분과''' || || 정진홍 || 장석진 || 차하순 || 고상룡 || 임희섭 || [[이현재(1929)|이현재]] || 장세헌 || 이상만 || 김상주 || 이상섭 || 홍성각 || || 차재호 || 조동일 || 이기석 || 김남진 || [[강신택]] || 곽수일 || 안세희 || 김수진 || 박중현 || [[문국진(1925)|문국진]] || 이병일 || || 이돈희 || 홍재성 || 이기동 || 정동윤 || 안병준 || 정기준 || 노재식 || 이정우 || 김상용 || 김낙두 || 김현욱 || || 이성진 || 김학주 || 김영한 || 박병호 || 김경동 || 김기영 || 박세희 || 박상대 || 노오현 || 김병수 || 황병국 || || 소광희 || 이정민 || 이성규 || 김상용 || [[김용구(교육자)|김용구]] || 유장희 || 권숙일 || 맹원재 || 윤덕용 || 이순형 || 류순호 || || 윤사순 || 김수용 || [[이태진]] || 김효전 || 진덕규 || 이학용 || [[기우항]] || 임번장 || 현병구 || 김영중 || 장동석 || || 이한구 || 조주관 || 한상복 || 임종률 || [[백완기]] || 이지순 || 김용해 || 장호완 || 나정웅 || 고재승 || 이홍석 || || 박종현 || 장경렬 || 최병현 || [[권오승]] || 이정복 || [[조장옥]] || 이은 || 김상구 || 한송엽 || 심희섭 || 김윤수 || || 정찬섭 || 남기심 || 임돈희 || 최병조 || 김홍우 || 한인구 || 조성호 || 정진하 || 최항순 || 이영순 || 박승우 || || - || 김인환 || 박용운 || 신동운 || 신용하 || - || 이호인 || [[조완규]] || [[이장무]] || 이승규 || 최양도 || || - || 이종호 || 김호동 || - || 임현진 || - || 김도한 || 이기화 || 이병기 || 이종호 || 홍성윤 || || - || - || 김영식 || - || [[신명순]] || - || 박성현 || 안진흥 || 황규영 || 박성회 || 김수일 || || - || - || 고동환 ||||||<|3> || 김진의 || 임정빈 || 유정열 || 이명식 || 고희종 || ||||||<|2> || 최진호 || 박종욱 || - || 고규영 || 김용균 || || - || 우경식 || - || 송진원 || 한재용 || ||<-11><bgcolor=#dcdcdc,#222222> '''작고 회원''' || ||<-6><width=55%> '''인문사회 분과''' ||<-5><width=45%> '''자연 분과''' ||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6분과''' || '''1분과''' || '''2분과''' || '''3분과''' || '''4분과''' || '''5분과''' || || [[고형곤]] || [[권중휘]] || [[이병도]] || [[최태영]] || [[신기석]] || 고승제 || [[안동혁(1906)|안동혁]] || [[손치무]] || 이균상 || 한구동 || 정문기 || || [[안호상]] || [[이숭녕]] || 김상기 || [[유진오]] || [[이상백]] || 최호진 || 김동일 || 강영선 || 원태상 || [[윤일선]] || 조백현 || || [[박종홍]] || [[이희승]] || [[신석호]] || 고병국 || [[신도성]] || [[신태환]] || [[이태규]] || 정태현 || 최경열 || 이제구 || [[현신규]] || || 김두헌 || [[최현배]] || [[이선근]] || 이근칠 || [[민병태]] || 유진순 || 전풍진 || 박동길 || 이종일 || 이종륜 || [[우장춘]] || || 김기석 || [[양주동]] || 조의설 || 윤세창 || [[김성희]] || 조기준 || [[최규남]] || 김호직 || 이채호 || 박영진 || 김호식 || || [[김활란]] || [[이양하]] || 김재원 || 이종극 || [[고황경]] || 김순식 || [[권영대]] || [[이민재(교수)|이민재]] || 최방진 || 이재춘 || 송재철 || || 김계숙 || [[이병기(국문학자)|이병기]] || [[류홍렬(역사학자)|류홍렬]] || 김병노 || [[김상협]] || 김효록 || [[최윤식]] || [[조복성]] || 윤일중 || 이진기 || 이근태 || || 이종우 || [[김윤경(1894)|김윤경]] || 이홍직 || [[이항녕]] || [[최문환]] || [[육지수]] || 박철재 || 이병위 || 민한식 || 박호풍 || 박승만 || || [[이상은(학자)|이상은]] || 손우성 || 홍이섭 || 박원선 || [[정인흥]] || 김준보 || 박하욱 || 김옥준 || 김기덕 || 김두종 || 심종섭 || || 이인기 || 정인승 || [[고병익]] || [[정광현]] || 이만갑 || 이상구 || 조광화 || 최례석 || 최호영 || 이세규 || 지영인 || || 김동화 || [[조윤제(1904)|조윤제]] || 한우근 || [[유기천]] || [[윤천주]] || 권오익 || [[이원철]] || 김준민 || 김재근 || 김명선 || 이춘녕 || || 김준섭 || 김형규 || 전해종 || [[이한기]] || [[박동서]] || 정수영 || 장기원 || 김창환 || 김종석 || 기용숙 || 박병희 || || [[오천석]] || 차상원 || [[이기백(1924)|이기백]] || 이희봉 || [[이용희(1917)|이용희]] || [[임원택]] || [[성좌경]] || [[김삼순]] || [[최형섭]] || [[한심석]] || 윤상원 || || [[류승국]] || [[차주환]] || 이광린 || [[문홍주]] || 김대환 || 박기혁 || [[박정기(1916)|박정기]] || 홍순우 || 김문상 || 우린근 || 이창구 || || 이희철 || 여석기 || [[김원용]] || [[서돈각]] || [[김운태]] || 김옥근 || 박봉열 || 김봉균 || 신영기 || 나세진 || 김성원 || || 서명원 || [[조성식]] || 김철준 || 손주찬 || 홍승직 || 오상락 || 최상업 || 윤석규 || 이량 || 이우주 || 이은웅 || || 임한영 || 김동욱 || 이두현 || 남흥우 || [[차기벽]] || [[정병휴]] || 조순탁 || 주진순 || 장석윤 || 이문호 || 정후섭 || || 최재희 || 정병욱 || 민석홍 || [[황산덕]] || [[구영록]] || 김동기 || 김치영 || 이대성 || 윤동석 || 김용관 || 강제원 || || 김규영 || 강두식 || 이찬 || [[김증한]] || || [[박광순(교수)|박광순]] || 이상수 || 정영호 || 한만춘 || 서병설 || 백운하 || || 유형진 || 이기문 || 윤무병 || 김치선 || || [[조순]] || 김정수 || 김훈수 || [[강명순(교수)|강명순]] || 이영소 || 김문협 || || [[백낙준]] || 이능우 || 이우성 || [[박일경]] || || 변형윤 || 최규원 || 이영록 || 윤장섭 || [[권이혁]] || 고재군 || || 조요한 || 동완 || [[황수영]] || 김기두 || || [[윤기중]] || 심정섭 || 김오중 || 오현위 || 이장락 || 최병희 || || 김성태 || 장덕순 || 양병우 || 정영석 || || || 박을룡 || 김준호 || 최계근 || 김기홍 || 박영호 || || 김태길 || 이가원 || 민영규 || 김현태 || || || 윤세원 || 하두봉 || 이승원 || 박수선 || 전세규 || || 윤명로 || 김현창 || 김용섭 || 김정균 || || || 김태린 || 박희인 || 김재극 || 장신요 || 조재영 || || 김종철 || 김용직 || [[이성무]] || 김홍규 || || || 박태원 || 정창희 || 우형주 || 이기영 || 오봉국 || || 정양은 || 정명환 || || 황적인 || || || 윤갑병 || || 이택식 || 김주환 || || || [[박영식(교육인)|박영식]] || 이경식 || || 심헌섭 || || || 윤능민 || || 황종흘 || 김용일 || || || 김충렬 || [[김완진]] || || [[김철수(1933)|김철수]] || || || 이익춘 || || 이만영 || 김정룡 || || || 조명한 || || || 김종원 || || || 송희성 || || 조선휘 || [[이호왕]] || || || 오병남 || || || 이형국 || || || 고윤석 || || [[이리형]] || || || || [[정범모(1925)|정범모]] || || || || || || || || [[이충웅]] || || || || [[조대경]] || || || || || || || || || || || || [[길희성]] || || || || || || || || || || || ||<-11><bgcolor=#dcdcdc,#222222> '''명예 회원''' || ||<-2>[[https://ko.wikipedia.org/wiki/%EB%85%B8%EC%9A%94%EB%A6%AC_%EB%A3%8C%EC%A7%80|노요리 료지]] ||<-2>[[https://sv.wikipedia.org/wiki/Jan_Lindsten|얀 린드스텐]] ||<-2>[[https://en.wikipedia.org/wiki/J%C3%BCrgen_Kocka|위르겐 코카]] ||<-2>[[https://en.wikipedia.org/wiki/Jan_D._Achenbach|얀 아헨바흐]] ||<-2>[[https://de.wikipedia.org/wiki/Christian_Starck|크리스티안 스타크]] || ||<-2>[[https://en.wikipedia.org/wiki/Peter_Gruss|피터 드루스]] ||<-2>[[https://ja.wikipedia.org/wiki/%E5%A1%A9%E9%87%8E%E5%AE%8F|시오노 히로시]] ||<-2>[[https://en.wikipedia.org/wiki/Roger_N._Beachy|로저 비치]] ||<-2>[[https://en.wikipedia.org/wiki/Vincent_Poor|해럴드 푸어]] ||<-2> ||









[1] 경북고 20회 졸업생이다.[2] 일본 본토의 도쿄제국대학교토제국대학과 달리, 경성제국대학은 법학부와 문학부, 경제학부가 분리되지 않은 법문학부 체제였으며, 법학과 내에 3개의 류를 나누어, 각각 본토 도쿄제대와 교토제대의 법학부 법학과, 법학부 정치학과, 경제학부에 해당하도록 운영하였다. 따라서 제2류는 현재의 서울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정치외교학부 정치학전공에 해당한다.[3] 사실 고등문관시험 사법과가 아닌 행정과에 합격했기 때문에 합격 당시에는 변호사 자격이 없었다. 그러나 해방 이후, 이시윤의 회고에 따르면 변호사 자격증이 나오는 고등문관시험 사법과보다 훨씬 더 어려운 행정과에 합격했는데 변호사 자격이 안 나온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항의로 인해 1949년 변호사법 제정 시 부칙에 "본법 시행전 고등시험에 합격한 자는 수습변호사와 동등이상의 자격인 자로 간주"한다고 하여 고문 행정과 합격자 및 만주고문 합격자에게도 과를 불문하고 변호사 자격이 발급되었다. 그 결과, 해방 이후 상당한 기간 동안 행정소송에 대해서는 모르는 변호사도 왕왕 나왔다고 한다.[4] 헌법 문언상 기본권의 주체는 "국민"으로 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재의 다수설은 국민이 아닌 외국인의 경우라도 '사람'으로서의 기본권은 당연히 인정되는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