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김정수(1937)

덤프버전 :

파일:정부상징.svg
파일:보건복지부장관.svg
[ 펼치기 · 접기 ]

사회부장관 (1948~1955)
초대
전진한
제2대
이윤영
제3대
허정
제4대
최창순
제5대
박술음

보건부장관 (1948~1955)
초대
구영숙
제2대
오한영
제3대
최재유


보건복지가족부장관 (2008~2010)
제46대
김성이
제47대
전재희

보건복지부장관 (2010~현재)
제47대
전재희
제48대
진수희
제49대
임채민
제50대
진영
제51대
문형표
제52대
정진엽
제53대
박능후
제54대
권덕철
제55대
조규홍




역임한 직위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직위명단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장관나웅배조순이승윤최각규
국토통일원장관 부총리 겸 통일원장관이홍구홍성철최호중최영철
외무부장관최광수최호중이상옥
내무부장관이상희이춘구이한동김태호안응모이상연이동호백광현
재무부장관사공일이규성정영의이용만
법무부장관정해창허형구이종남김기춘이정우
국방부장관오자복이상훈이종구최세창
문교부장관 교육부장관김영식정원식윤형섭조완규
문화공보부장관 문화부장관정한모최병렬이어령이수정
체육부장관 체육청소년부장관조상호김집정동성박철언이진삼
농림수산부장관윤근환김식강보성조경식강현욱
상공부장관안병화한승수박필수이봉서한봉수
동력자원부장관이봉서이희일진념
건설부장관최동섭박승권영각이상희이진설서영택
보건사회부장관권이혁문태준김종인김정수안필준
노동부장관최명헌장영철최영철최병렬이연택
교통부장관이범준김창근김창식임인택노건일
체신부장관오명최영철이우재송언종
정무제1장관김윤환이종찬정종택박철언김윤환김동영최형우김용채김종호김동익
정무제2장관조경희김영정이계순김갑현
총무처장관김용갑김용래이연택이상배이문석
과학기술처장관이관이상희정근모김진현권숙일
공보처장관최병렬최창윤손주환유혁인
환경처장관조경식허남훈권이혁이재창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제3선거구)
제10대
정해영
김임식
제11대
구용현
김정수
제12대
강경식
김정수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제11대
구용현
김정수
제12대
강경식
김정수
선거구 개편
정재문[1]
김정수[2]
파일:국회휘장(9대-19대).svg 대한민국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을)
선거구 개편
강경식[A]
김정수[A]
제13-15대
김정수
제16대
도종이

파일:통일민주당 심볼.svg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사무총장
제3대
서석재
제4대
김정수
제5대
김동영

[1] 부산진구 갑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2] 부산진구 을 선거구의 제13대 국회의원 이다.[A] A B 부산진구 선거구의 제12대 국회의원 이다.

파일:무궁화장 약장.png
국민훈장 무궁화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1960
프랭크 윌리엄 스코필드
교육가·독립운동가
1969
이인
법조인·독립운동가
1969
닐 암스트롱 · 마이클 콜린스 · 버즈 올드린
우주비행사
1969
이종순
제헌국회의원
1969
조동식
교육인
1970
김수환
추기경
1970
백낙준
교육인
1970
이상백
-
1971
유일한
기업인
1976
박일경
교육인
1980
권승렬
독립운동가, 법조인
1982
권영대
교육인
1982
김상만
언론인
1985
이숙종
교육인
1987
이병철
기업인
1989
이방자
교육인, 영친왕비
1991
강영훈
국무총리
1991
김병관
언론인
1994
김호길
교육인
1995
곽윤직
법학자
1996
장기려
의사
1998
고흥문
국회의원
2000
이건희
기업인
2002
김재준
종교인
2002
문창모
의학자
2006
김희수
의학자, 교육인
2006
이종욱
의사, WHO 사무총장
2006
정재헌
법조인
2007
권영우
교육인
2007
장훈
체육인
2008
진창현
바이올린 제작자
2009
김정수
정치인
2010
이영덕
국무총리
2010
조용기
종교인
2010
황장엽
북한정치인, 탈북자
2011
이태석
종교인, 의사
2011
김준엽
독립운동가, 교육인
2012
헬렌 펄 매킨지(매혜란)
선교사
2012
김평우
법조인
2012
정몽구
기업인
2013
남덕우
국무총리
2015
권광중
법조인
2016
이근
의사
2017
박한철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7
반기문
외교관, UN사무총장
2017
양승태
법조인, 대법원장
2018
김종필
국무총리
2018
노회찬
정치인
2018
박재갑
의사
2018
이석태
법조인
2018
조규광
법조인, 헌법재판소장
2018
한승헌
법조인, 감사원장
2019
윤한덕
의사
2019
이국종
의사
2020
이이화
사학자
2020
전태일
노동운동가
2022
박병석
국회의장



대한민국 제25대 보건사회부 장관
김정수
金正秀 | Kim Jung-soo
파일:김정수 장관.jpg
출생1937년 12월 3일 (86세)
경상남도 함안군
본관경주 김씨
재임기간제25대 보건사회부 장관
1990년 3월 19일 ~ 1991년 5월 26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남지중학교 (졸업)
마산고등학교 (졸업)
부산대학교 약학대학 (약학 / 학사)
병역면제(질병)
종교원불교
신체178㎝, 80㎏
혈액형O형
의원 선수5
의원 대수11, 12, 13, 14, 15
경력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
대한약사회 부회장
제11대 국회의원 (부산 3선거구 / 민권당)
신한민주당 창당발기인
제12대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 신한민주당)
신한민주당 원내수석부총무
제12대 국회 전반기 국회운영위원회 간사
제12대 국회 후반기 보건사회위원회 간사
통일민주당 사무총장
제13대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을 / 통일민주당)
제25대 보건사회부 장관 (노태우 정부)
세계보건기구 부의장
제14대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을 / 민주자유당)
제14대 국회 후반기 국회 국제경기지원특별위원회 위원장
민주자유당 부산시당 위원장
신한국당 부산시당 위원장
제15대 국회의원 (부산 부산진구 을 / 신한국당)
국회 과학기술연구회 회장
부산대학교 재경총동문회 회장
한 • 일의원연맹 부회장
국회 21세기 해양정책연구회 회장
한국제약협회 회장
한국희귀의약품센터 이사장
한국에이즈퇴치연맹 회장
대한민국헌정회 이사


1. 개요
2. 선거 이력
3.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대한민국약사, 정치인이다.

1937년 경상남도 함안군에서 태어났다. 마산고등학교, 부산대학교 약학대학을 졸업하였다. 부산대학교 총학생회장이던 1960년 4.19 혁명에 참여하였다. 이후 부산직할시에서 약국을 개업하여 운영하였다. 그리고 부산직할시 약사회 회장, 대한약사회 부회장 등을 역임하였다. 1978년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무소속으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선거구에 출마하였으나 신민당 정해영 후보와 민주공화당 김임식 후보에 밀려 낙선하였다.

1981년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권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민주정의당 구용현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 1985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민주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한국국민당 강경식 후보와 동반 당선되었다.1987년 신한민주당을 탈당하여 통일민주당에 입당하였다.

1988년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통일민주당 후보로 부산직할시 부산진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89년 재보궐선거에서 동해시 선거구 후보 매수 사건으로 사임한 서석재의 뒤를 이어 통일민주당 사무총장에 임명되었다. 1990년 3당 합당으로 민주자유당이 출범할 때 합류하였다. 같은 해부터 1991년까지 민주계 몫으로 보건사회부(현 보건복지부) 장관을 역임하였다. 보건사회부 장관직 역임 도중 WHO 부의장으로 피선되기도 했다. 1992년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민주자유당 후보로 같은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1996년 제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신한국당 후보로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을 선거구에 출마하여 당선되었다. 2000년 제1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공천에서 탈락하였다.

이후 한국제약협회 회장, 보사동우회장 등을 지냈다.

2007년 제17대 대통령 선거에서는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를 지지하였다. 그러나 2012년 제18대 대통령 선거에서 민주통합당 문재인 후보를 지지하였다.


2. 선거 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78제10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3[A]
무소속

49,924 (16.03%)낙선 (3위)
1981제11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3[B]

58,745 (26.07%)당선 (2위)[1]초선[2]
1985제12대 국회의원 선거
파일:신한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70,887 (27.16%)당선 (2위)[3]재선[4]
1988제13대 국회의원 선거부산 부산진 을
ta-hash-start=w-28b1819668d7c62501acb9852cad10a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63,491 (48.69%)당선 (1위)3선[5]
1992제14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ca91afd0070f7d65177f34e552b38761[[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67,254 (58.49%)4선
1996제15대 국회의원 선거
ta-hash-start=w-cc617957758640b1e9c944eadb83f95c[[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47,069 (49.09%)5선


3.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9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9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6 19:54:04에 나무위키 김정수(1937)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A] 부산진구, 북구[B] 부산진구[1] 민주정의당 구용현 후보와 동반 당선[2] 1985년 탈당, 신한민주당 입당[3] 한국국민당 강경식 후보와 동반 당선[4] 1987년 탈당, 통일민주당 입당[5] 1990년 3당합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