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배천선

덤프버전 :

1. 개요
2.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배천선.jpg

북한에서 토해선을 개칭하고, 새로 노선을 연장, 변경하여 표준궤로 개궤한 노선

토해선은 일제 강점기에 조선철도황해도지역의 경의선(평부선)의 연선지역과 떨어져 있는 지역에 협궤철도를 까는 계획을 수립하여 개설된 노선으로, 해주개성을 잇기 위해 건설된 노선이었다. 토해선은 국토의 양단으로 인하여 청단역까지 운행했다.

이 시기에 사리원-해주선에서 해주역에 이르는 구간이 북한에 속했는데, 결국 이 구간은 배천선에서 빠지고 황해청년선에 편입되어 있다.

광복 이후 두 노선의 합류점에 역이 생기는 등 약간의 변동이 있었다.

북한에서 개궤시켜놓기는 했는데, 개성과의 사이를 끊어먹으면서 대체로 상태가 안 좋아졌다. 해주 배천간 2급도로와 병행한다고 되어 있다. 아마 50번 국도일 것이다.

지도의 노선도를 보면 왜 노선이 개성 코앞에서 끊겨 있는지 궁금해질 수 있는데, 이는 6.25 전쟁 때 당시 토해선 때문에 제대로 망해서 그렇다. 서울 수복 이후 북한군은 개성 북쪽에서 방어하고 있었는데, 유엔군이 토해선의 예성강철교를 건너 북진한 후 한포리에서 다시 예성강을 건너서 북한군의 후미를 치는 바람에 북한군의 방어선이 완전히 개박살나고 이후의 전쟁 계획까지 제대로 꼬였기 때문. 자세한 내용은 토해선 문서 참고. 북한으로서는 일종의 아픈 역사이기도 하고 이후 전쟁 때 이용당하는 것을 막기 위한 것으로 보인다.[1]뭐 북한의 막장화가 계속되어 국력 차이가 넘사벽이 된 현재는 다리가 있든 없든 영향을 줄 것 같지는 않지만.통일된다면 물론 대규모 개조 및 개성 복구가 충분히 가능한 상황(가능하다면 서해선으로 편입될지도 모름),물론 일단 보존가치가 있어야지...


2. 역 목록[편집]






[1] 다만 1988년 북한에서 작성한 배천선 관련 자료에 예성강철교의 복구와 배천선과 평부선 간 접속에 관한 계획이 언급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북한도 철도 연결을 추진했다가 모종의 이유로 계획을 포기한 것으로 짐작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