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은률선

덤프버전 :

분류

1. 개요
2. 역 목록


[ 펼치기 · 접기 ]

본선 철도
평라선강원선금강산청년선만포선백두산청년선
청년이천선평남선평덕선평부선평의선
함북선북부내륙선황해청년선
제1지선 철도
대건선은산선천성탄광선고원탄광선금야선
신흥선서호선창흥선북청선두언선
단풍선금골선일탄선고참탄광선대향선
강덕선청진항선라진항선천내선문천항선
송도원선대각선조양탄광선봉천탄광선개천탄광선
청년팔원선룡문탄광선강계선운하선백무선
오시선삼지연선평양화전선보산선대안선
룡강선도지리선서해갑문선명당선고비선
덕산선삼등탄광선령대선재동선솔골탄광선
관하선득장선잉포선덕남선장상선
송림선봉산선룡성선안주탄광선개천선
구봉산선평북선철산선백마선다사도선
덕현선무산선세천선고건원선춘두선
홍의선두만강선승리선운봉선은률선
배천선옹진선금강산청년선구성선
제2지선 철도
직동탄광선성산인입선장진선만덕선신성선
회둔탄광선후산선청남선녕변선삼공일선
신온전용선수풍선장연선정도선부포선
안천전용선
폐선된 철도
최가령선명학선형봉선보천선청화력선
압록강선마평선석하리선토해선운산선
과일선토해선태탄선리원선원산항선
개천청년선서해리선서창선룡암선시정선
남동선박천선강안선회령탄광선동포선
성평선회암선안골선금천탄광선홍군선
※ 비밀철도나 제3지선 철도, 일부 노선들은 관련 정보 부족으로 인해 누락이 있을 수 있음.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1. 개요[편집]


파일:attachment/은률선.jpg

북한에서 장연선을 개칭하고, 새로 노선을 연장, 변경하여 표준궤로 개궤한 노선이다. 본래의 장연선은 은률선에 또 딸린 지선으로 되어 있다.

일제 강점기에 조선철도황해도지역의 경의선(평부선)의 연선지역과 떨어져 있는 지역에 협궤철도를 까는 계획을 수립하여 사리원청년역에서 서쪽으로 분기하여 수교역을 거쳐 장연역까지 가는 협궤철도 장연선(황해본선)을 1937년 완공하였다. 이 노선의 삼강역또는 상해역에서 해주로 가는 철도가 뻗어나갔다.

해방당시에는 아래와 같은 역이 있었다. 사리원·미곡(嵋谷)·서종(西鍾)·삼강(三江)·금산(金山)·재령(載寧)·백석(白石)·창촌(蒼村)·신천온천(信川溫泉)·신천(信川)·용문(龍門)·문화(文化)·삼천온천(三泉溫泉)·궁흥(弓興)·야촌(野村)·수교(水橋)·송화온천(松禾溫泉)·낙산(樂山)·낙도(樂島)·장연(長淵)

사리원과 해주사이에 또다른 철도가 표준궤로 1944년 개통하게되자, 북한에서는 이후 장연선도 개궤하게 될때 원래의 노선이 아닌 황해청년선은파역에서 분기하는 형태로 바꾸게 되었다. [1]

그래서 1963년 신천역까지 표준궤로 개궤되었으며, 이후 1973년 수교역에서 철광역까지 새 철도를 놓으면서 신천역(은률선) - 수교역구간도 개궤했다.

철광역에서는 협궤 철도 서해리선과 표준궤의 서해갑문선이 뻗어나가고 서해갑문선평남선과 연결되는 순환철도를 이루고 있다. 그런데 서해리선은 폐선된 듯 하다. 현재 폐역 하나를 빼고 모든 문서가 작성되었다. 그 폐역에 대한 정보도 이웃역 문서에서 다루고 있다.

현재 통일되면 인구가 약간은 몰릴 사리원시와 평양의 외항 기능을 하는 항구도시인 남포를 연결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그대로 유지될 가능성은 일부 있다. 물론 전면 재공사에 들어가야겠지만 아니면 경의선에 가려져서 아예 노선이 사라지거나.혹은 서해선 계통의 일부분이 된다던가...


2. 역 목록[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17:57:01에 나무위키 은률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