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범죄도시2/흥행

덤프버전 :

파일:상위 문서 아이콘.svg   상위 문서: 범죄도시2



1. 개요
2. 관련 기록
3. 월드와이드
10. 기타 국가


1. 개요[편집]


범죄도시2〉의 흥행을 정리한 문서다.


2. 관련 기록[편집]


글로벌 흥행 1억 달러 이상 한국 영화
순위영화감독개봉년도제작사배급사최종수익(달러)
1위기생충봉준호2019년바른손이앤에이CJ ENM MOVIE$253,376,722
2위명량김한민2014년빅스톤픽쳐스CJ ENM MOVIE$133,450,917
3위극한직업이병헌2019년어바웃필름, 영화사해그림, CJ ENM MOVIECJ ENM MOVIE$116,127,561
4위신과 함께-죄와 벌김용화2017년리얼라이즈 픽쳐스, 덱스터 스튜디오롯데엔터테인먼트$107,476,731
5위범죄도시2이상용2022년빅펀치픽쳐스, 홍필름, 비에이엔터테인먼트에이비오엔터테인먼트, 플러스엠$106,034,955

역대 대한민국 1000만 관객 영화
2019
겨울왕국 2
13,747,792명
2022
범죄도시2
12,693,415명
2022
아바타: 물의 길
10,805,053명

연도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2021년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
7,551,977명
2022년
범죄도시2
12,693,415명
2023년
-


3. 월드와이드[편집]


월드와이드 수익 총 1억 달러를 돌파했다. 명량, 신과함께-죄와 벌, 극한직업, 기생충에 이어 역대 5번째로 월드와이드 수익 1억 달러를 돌파한 한국 영화가 되었다.


4.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 영화
2022년 19주차2022년 20주차2022년 21주차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범죄도시2범죄도시2
2022년 20주차2022년 21주차2022년 22주차
범죄도시2범죄도시2범죄도시2
2022년 21주차2022년 22주차2022년 23주차
범죄도시2범죄도시2범죄도시2
2022년 22주차2022년 23주차2022년 24주차
범죄도시2범죄도시2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영화진흥위원회 통합전산망 주말 박스오피스 집계 기준

대한민국 누적 관객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182,934명182,934명미집계1,980,867,830원1,980,867,830원
1주차2022-05-18. 1일차(수)467,498명3,987,973명1위4,682,894,560원41,543,021,230원
2022-05-19. 2일차(목)366,223명1위3,691,412,950원
2022-05-20. 3일차(금)523,194명1위5,535,540,550원
2022-05-21. 4일차(토)1,037,006명1위11,053,335,700원
2022-05-22. 5일차(일)973,821명1위10,312,298,400원
2022-05-23. 6일차(월)336,655명1위3,401,800,740원
2022-05-24. 7일차(화)283,576명1위2,865,738,330원
2주차2022-05-25. 8일차(수)342,272명2,842,549명1위2,840,694,110원28,970,437,320원
2022-05-26. 9일차(목)240,641명1위2,420,006,200원
2022-05-27. 10일차(금)364,472명1위3,859,805,700원
2022-05-28. 11일차(토)772,117명1위8,233,968,350원
2022-05-29. 12일차(일)656,284명1위6,961,310,870원
2022-05-30. 13일차(월)201,418명1위2,011,949,470원
2022-05-31. 14일차(화)265,345명1위2,642,702,620원
3주차2022-06-01. 15일차(수)463,146명2,446,878명2위4,774,754,660원25,341,538,000원
2022-06-02. 16일차(목)153,395명1위1,502,494,160원
2022-06-03. 17일차(금)219,326명1위2,262,720,380원
2022-06-04. 18일차(토)466,932명1위4,933,049,510원
2022-06-05. 19일차(일)552,233명1위5,809,904,520원
2022-06-06. 20일차(월)455,336명1위4,723,128,710원
2022-06-07. 21일차(화)136,510명1위1,335,486,060원
4주차2022-06-08. 22일차(수)114,543명1,273,089명2위1,120,337,070원13,105,008,320원
2022-06-09. 23일차(목)111,857명1위1,097,405,520원
2022-06-10. 24일차(금)146,311명1위1,509,984,970원
2022-06-11. 25일차(토)339,123명1위3,607,947,830원
2022-06-12. 26일차(일)331,554명1위3,498,245,300원
2022-06-13. 27일차(월)122,582명1위1,213,484,230원
2022-06-14. 28일차(화)107,119명1위1,057,603,400원
5주차2022-06-15. 29일차(수)90,229명880,173명2위902,026,320원9,142,337,870원
2022-06-16. 30일차(목)85,573명2위854,638,620원
2022-06-17. 31일차(금)118,477명2위1,246,704,860원
2022-06-18. 32일차(토)234,780명2위2,512,339,680원
2022-06-19. 33일차(일)197,728명2위2,096,263,180원
2022-06-20. 34일차(월)79,524명2위794,101,780원
2022-06-21. 35일차(화)73,862명2위736,263,430원
6주차2022-06-22. 36일차(수)57,874명521,668명3위577,713,370원5,414,678,020원
2022-06-23. 37일차(목)53,996명3위537,710,050원
2022-06-24. 38일차(금)73,080명3위767,286,840원
2022-06-25. 39일차(토)133,108명3위1,422,688,520원
2022-06-26. 40일차(일)112,669명3위1,200,049,310원
2022-06-27. 41일차(월)47,529명3위477,712,000원
2022-06-28. 42일차(화)43,412명3위431,517,930원
7주차2022-06-29. 43일차(수)46,196명340,566명4위391,350,340원3,493,605,430원
2022-06-30. 44일차(목)35,162명4위348,146,860원
2022-07-01. 45일차(금)48,236명4위512,810,740원
2022-07-02. 46일차(토)80,020명4위862,118,140원
2022-07-03. 47일차(일)71,877명4위775,637,810원
2022-07-04. 48일차(월)27,907명3위285,565,760원
2022-07-05. 49일차(화)31,168명4위317,975,780원
8주차2022-07-06. 50일차(수)14,017명137,229명4위143,987,760원1,462,574,710원
2022-07-07. 51일차(목)14,096명4위143,810,960원
2022-07-08. 52일차(금)18,376명4위199,795,060원
2022-07-09. 53일차(토)34,150명4위373,819,960원
2022-07-10. 54일차(일)32,288명4위352,671,880원
2022-07-11. 55일차(월)12,564명4위128,811,940원
2022-07-12. 56일차(화)11,738명4위119,677,150원
9주차2022-07-13. 57일차(수)5,253명58,604명8위52,393,320원619,008,400원
2022-07-14. 58일차(목)5,215명7위52,214,300원
2022-07-15. 59일차(금)7,472명6위79,424,800원
2022-07-16. 60일차(토)14,375명5위156,649,860원
2022-07-17. 61일차(일)13,674명5위150,204,480원
2022-07-18. 62일차(월)6,382명5위65,360,320원
2022-07-19. 63일차(화)6,233명6위62,761,320원
10주차2022-07-20. 64일차(수)1,679명16,289명9위17,012,000원167,401,470원
2022-07-21. 65일차(목)2,045명7위19,644,020원
2022-07-22. 66일차(금)2,303명7위24,066,320원
2022-07-23. 67일차(토)3,516명7위37,618,800원
2022-07-24. 68일차(일)3,359명7위35,654,770원
2022-07-25. 69일차(월)1,665명9위16,527,260원
2022-07-26. 70일차(화)1,722명11위16,878,300원
11주차2022-07-27. 71일차(수)510명3,785명16위4,678,700원39,391,520원
2022-07-28. 72일차(목)522명14위4,910,160원
2022-07-29. 73일차(금)492명14위5,324,000원
2022-07-30. 74일차(토)627명13위7,097,700원
2022-07-31. 75일차(일)635명13위6,805,500원
2022-08-01. 76일차(월)491명13위5,161,960원
2022-08-02. 77일차(화)508명14위5,413,500원
12주차2022-08-03. 78일차(수)73명902명27위690,700원9,904,300원
2022-08-04. 79일차(목)114명28위1,218,500원
2022-08-05. 80일차(금)128명26위1,338,100원
2022-08-06. 81일차(토)195명23위2,239,800원
2022-08-07. 82일차(일)191명21위2,284,800원
2022-08-08. 83일차(월)116명21위1,293,400원
2022-08-09. 84일차(화)85명26위839,000원
13주차2022-08-10. 85일차(수)23명277명43위240,000원3,063,059원
2022-08-11. 86일차(목)48명37위548,000원
2022-08-12. 87일차(금)15명51위168,000원
2022-08-13. 88일차(토)50명36위588,599원
2022-08-14. 89일차(일)55명32위634,260원
2022-08-15. 90일차(월)48명37위506,700원
2022-08-16. 91일차(화)38명41위377,500원
14주차2022-08-17. 92일차(수)19명113명51위236,500원1,245,700원
2022-08-18. 93일차(목)12명71위124,500원
2022-08-19. 94일차(금)23명60위220,200원
2022-08-20. 95일차(토)22명65위284,500원
2022-08-21. 96일차(일)15명75위167,000원
2022-08-22. 97일차(월)8명68위76,000원
2022-08-23. 98일차(화)14명67위137,000원
15주차2022-08-24. 99일차(수)9명80명79위85,000원806,200원
2022-08-25. 101일차(목)17명75위158,000원
2022-08-26. 102일차(금)3명106위38,000원
2022-08-27. 103일차(토)11명102위115,000원
2022-08-28. 104일차(일)14명81위162,500원
2022-08-29. 105일차(월)13명68위122,500원
2022-08-30. 106일차(화)13명83위125,200원
16주차2022-08-31. 107일차(수)10명39명96위94,000원425,099원
2022-09-01. 108일차(목)5명86위61,500원
2022-09-02. 109일차(금)4명82위37,599원
2022-09-03. 110일차(토)6명94위75,000원
2022-09-04. 111일차(일)12명68위139,000원
2022-09-05. 112일차(월)1명77위5,000원
2022-09-06. 113일차(화)1명78위13,000원
16주차2022-09-07. 114일차(수)2명47명93위26,000원485,000원
2022-09-08. 115일차(목)-명-위-원
2022-09-09. 116일차(금)13명76위129,000원
2022-09-10. 117일차(토)14명67위138,500원
2022-09-11. 118일차(일)8명78위98,000원
2022-09-12. 119일차(월)5명80위44,500원
2022-09-13. 120일차(화)5명78위49,000원
합계누적관객수 12,693,415명 / 누적매출액 131,298,796,478원[1]


개봉하자마자 예매율 1위에 올랐다.[2] 영화 기생충 이후 한국영화 사전 예매율 신기록을 달성했다.#1 #2

첫날 관객수가 46만명이다. 전작 범죄도시의 오프닝 기록인 16만 4399명을 2.8배 이상 넘었다. 펜데믹 기간 흥행한 한국 영화인 반도(35만명), 다만 악에서 구하소서(34만명), 모가디슈(12만명)보다 더 높고, 1600여 만명의 관객으로 역대 국내 개봉 영화 중 두번째로 많은 관객수를 자랑하는 극한직업(36만명)의 오프닝 기록보다 높다.

개봉 전 프리미어 상영회 덕분에 개봉 2일차에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 해적: 도깨비 깃발, 신비한 동물들과 덤블도어의 비밀,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에 이은 4번째 2022년 100만 돌파작이다.

개봉 4일차에 무려 103만 관객을 동원하며 200만 관객을 돌파하며 4일 만에 손익분기점을 달성했다! #

그리고 5월 22일, 300만 관객 돌파에 성공한다.[3] 24일에는 400만 관객을 넘어섰으며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 개봉 이전인 6월 1일까지 큰 경쟁작이 없다보니, 5월 27일에는 코로나 19 이후 최초로 500만 관객을 돌파한 한국 영화가 됐다. # 정확히는, 기사에 나온대로 2019년 당시 상영한 백두산 이후 882일만에 국내영화가 500만 관객을 돌파했다.

5월 28일,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의 관객 수를 넘어서면서 2022년 대한민국 박스오피스 1위로 당당히 올라섰다.닥스를 털어버린 길가메시

5월 29일, 600만을 돌파했다. # 600만 돌파 감사 영상

5월 31일, 700만을 돌파하여 1편의 최종 관객 수[4]를 개봉한 지 2주 만에 넘어섬과 동시에 소포모어 징크스를 극복한 작품으로 당당히 등극했다. #

12일차에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에게 예매율 1위를 넘겨주었다. 하지만 개봉 후 쥬라기 월드의 일부 평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다시 1위를 탈환할 가능성이 있다.

15일차에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의 개봉으로 2위로 내려갔지만 16일차에 다시 1위를 탈환했다.[5] 동시에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을 누르고 코로나 이후 1위로 올랐으며 써니를 넘고 역대 5월 개봉 한국영화 흥행 2위로 올라섰다.[6]

6월 4일, 오전 9시 기점으로 800만을 돌파하였다.# 이후 2019년 마동석 자신이 나왔던 백두산의 관객수도 뛰어넘었다. 심지어 아직 고작 17일 차이다. 그리고 코로나19 여파 이후에 개봉한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의 최종 관객 수를 넘어섰다.

마침내 6월 6일 오전 9시 기점으로 1,000만 돌파의 마지막 관문인 900만 돌파까지 성공하였다.[7] #1 #2

6월 9일 23일차에 누적 매출액 1,000억원을 돌파했다. 22일차에는 브로커에게 일별 박스오피스 순위에 2위로 내러갔다지만 개봉 후 브로커 역시 쥬라기 월드와 마찬가지로 일부 평이 좋지 못하기 때문에 또 다시 1위를 탈환할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예상대로 바로 다음 날인 6월 9일에 다시 1위를 탈환했다.

3주 연속 박스오피스 1위에 성공했다. 도굴 이후 2년 만에 3주연속으로 1위를 한 한국영화이다. 끝내 코로나 19이후 최초로 4주연속 1위도 달성하였다.

마침내 6월 11일 개봉한 지 3주 만에 1,000만 돌파를 하였다. 천만 관객수 돌파한 영화는 코로나19 이후로 처음이다. 이로써 코로나 이후 부진했던 영화시장 내에 한 줄기 빛이 되었다. 특히 6월 1일 개봉해 범죄도시2와 경쟁을 할 것이라 예상되었던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6월 8일 개봉한 브로커가 부진으로 드롭하게 되어서 경쟁작을 모조리 밀어낸 덕에 4주 이상 연속 1위 타이틀까지 거머쥐었고[8] 역대 개봉 영화 TOP 순위권에 도전할 자격이 주어졌다.[9] 천만 영화를 달성하면서, 2019년 7월 기생충 이후 약 2년 11개월 만의 국내 1,000만 관객 영화라는 타이틀을 가졌다. 해외 영화를 포함해도 2019년 12월 겨울왕국 2 이후 약 2년 6개월만의 1,000만 관객 영화라는 타이틀까지 갖게 되었다. 앞서 언급했던 코로나 19 사태 이후 최초의 천만 관객 영화 + 2020년대 최초의 천만 관객 영화라는 타이틀은 덤.

6월 12일에는 1050만 관객을 돌파하며 영화 기생충의 관객수를 넘고 역대 5월 개봉 영화 흥행 1위로 올라섰다.

마녀2, 탑건: 매버릭, 버즈 라이트이어에 밀려 예매율 4위로 내려갔다. 상영관도 소폭 줄것으로 예상된다. 그러나 버즈를 밀어내고 기어이 3위를 또 차지한다.좀비도시 그래도 추이로 보아 전만큼의 추진은 못해도, 최종적으로 1,100만은 물론이고 1,200만대는 제법 유력해보인다. 500만도 엄청난 선전이라고 평했던 여론이 대부분이었다는 걸 생각하면 엄청난 대박이다.[10] 1200만이면 코로나 이전의 기록 중에서도 연도별 박스오피스 1위작의 관객수로도 자연스러울 만큼 큰 스코어다.

29일차에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에 밀려 2위로 내려갔다.

6월 17일1,1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새로운 영화들의 개봉으로 이전만큼의 추이를 보여주지는 못 하지만 현재 속도로는 6월 26일 안에 1,200만까지는 무난하게 도달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와중에 아직도 2위를 유지하고 주말 관객수가 20만 대인 걸 보면 인기가 식지 않았다는 걸 잘 보여주고 있다. 6월 18일에는 실미도,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의 관객수를, 6월 19일에는 변호인해운대의 관객수를, 6월 21일에는 마동석 본인이 출연한 부산행의 관객수를 돌파했고 6월 24일에는 태극기 휘날리며의 관객수를 넘겼다.

개봉 5주차에 들어선 시점에서 <겨울왕국2>의 상영 규모를 넘어서 최초로 누적 30만회 상영에 도달하며 역대 가장 많이 상영된 영화로 기록되었다. 범죄도시2의 흥행력을 증명하는 지표이기도 하지만 관객 쏠림 현상이 심하다는 증거이기도 하다.

6월 26일 1,200만 관객을 돌파하였다. 헤어질 결심이 6월 29일에 개봉한 데다 토르: 러브 앤 썬더가 예매를 시작해 예매율과 관객수가 떨어졌으나 6월 30일에 택시운전사의 관객수를 넘겼다. 7월 2일에는 1,234만 관객을 돌파하며 마동석 본인이 출연한 작품 중 하나인 신과함께-인과 연의 관객수도 넘어섰고, 왕의 남자, 광해, 왕이 된 남자의 관객수도 넘어 역대 흥행 순위 13위에 올랐다.

7월 6일 토르: 러브 앤 썬더의 개봉으로 평일 관객수가 1만명, 평일 매출액이 1억원 대로 떨어졌고, 7월 13일 이후부터 명탐정 코난: 할로윈의 신부, 엘비스, 더 킬러: 죽어도 되는 아이가 개봉하면서 평일 관객수가 1만명 미만, 평일 매출액이 1억원 미만으로 떨어졌으며 20일부터는 외계+인 1부, 미니언즈 2가 개봉하여 평일 관객수가 1천~2천명대로 줄었다가 7월 27일 한산: 용의 출현이 개봉하여 상영종료 상태에 들어갔다. 55일차에 1260만 돌파와 함께 매출액 1300억원을 찍으면서, 극한직업(1396억원)와 명량(1357억원) 다음으로 한국에서 3번째로 가장 많은 매출액을 낸 영화가 되었다. 더불어서 제작비 10배 이상의 수익을 번 몇 안되는 한국 영화가 되기도 했다.

7월 20일 VOD가 출시되었다.[11]

7월 26일 처음으로 일별 박스오피스에서 10위 밖으로 밀려났다.

2022년 한국 영화중 마녀(魔女) Part2. The Other One, 육사오(6/45), 한산: 용의 출현, 헤어질 결심, 헌트, 공조2: 인터내셔날, 올빼미와 함께 손익분기점을 넘은 작품이다.

헤어질 결심이 VOD 공개되기 전까지 온라인 이용순위 1위를 차지했으며, 헤어질 결심에 밀리기도 했지만 다시 1위를 유지하다가 8월 17일부터 탑건: 매버릭에 밀렸다. 이후에 외계+인 1부, 미니언즈 2에게도 밀려 순위가 내려갔으나 다시 1위를 탈환했고, 9월 8일부터 토르: 러브 앤 썬더에게 온라인 이용순위에서 밀렸으나 다시 1위를 차지했고, 헌트가 VOD 출시되며 내려갔다.

최종 관객수는 12,693,415명으로 2022년 국내 개봉 영화 중 최다 관객수를 기록했다. 최종 매출액은 131,298,796,478원으로, 2022년 국내 개봉 영화 중 아바타: 물의 길에 이은 2위.


5. 북미[편집]


  • 2022년 5월 20일 제한적 상영으로 개봉해 $812,859의 수익을 기록하였다.


6. 홍콩[편집]




7. 일본[편집]


  • 2022년 11월 3일 개봉하였으며, 일본판 타이틀은 영문판 타이틀을 섞은 범죄도시 THE ROUNDUP. 상영등급은 PG12(12세 이상 관람가).


  • 일본 야쿠자 전문 배우 오자와 히토시도 재미있게 봤다며 극찬했다. # 마동석의 별명 마블리를 거론한 건 덤.


8. 동남아시아[편집]



  • 베트남은 폭력적인 장면이 많다는 이유로 심의 반려 조치를 내렸다. 독재국가인 베트남에서 자국 이미지와 배경으로 나오는 자국의 도시 호찌민 시의 이미지가 훼손될 수 있다고 여겨 베트남 공산당이 이러한 조치를 내렸다는 분석도 있다. #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9. 오세아니아[편집]





10. 기타 국가[편집]



[1] 2023년 1월 7일 기준 [2] 2위는 닥터 스트레인지: 대혼돈의 멀티버스(13.9%), 3위는 쥬라기 월드: 도미니언(7.8%), 4위는 그대가 조국(1.4%), 5위는 안녕하세요(1.1%) [3] 펜데믹 기간 1위인 스파이더맨: 노 웨이 홈도 300만을 돌파하는데 7일이 걸렸다는 점을 고려하면 매우 빠르다.[4] 6,880,546명.[5] 예매율도 다시 1위를 탈환했지만 바로 브로커에 밀려 다시 2위이다.[6] 1위는 2019년 천만 관객을 돌파한 기생충.[7] 현충일 연휴 특수를 제대로 누려서 이틀만에 100만 명이 관람한 덕분이다.[8] 명작으로 평가받는 탑건: 매버릭의 개봉 연기도 한 몫했다.[9] 거기다 전편이 상영을 70일 동안이나 한 걸 보면 이번 편 역시 상영할 기간이 충분할 것으로 보인다.[10] 당장 매출액과 제작비를 비교해봐도 거의 10배 가량 차이 난다.[11] 구글의 서비스인 Google TV, 유튜브에서는 대여만 가능하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541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54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6 17:32:13에 나무위키 범죄도시2/흥행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