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 버스 182

덤프버전 :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35-1678
91011151617
202223242627
2930313333-136[A]
37[A]38[A]39404142
4344464950[A]51
525455[A]
55-1[C]
55-257
58[A]58-259616263
6768707173[B]77
80818283
83-1[A]
85
86878888-190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펼치기 · 접기 ]

153051
58-1[a]
58-2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부산 버스 182_5733.jpg
파일:부산182(1).jpg
부일여객 차량부산여객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3.1. 구.182번
3.2. 구.1006번
4. 특징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
4.2.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밑줄 처리 된 구간은 양방향 같은 정류소를 경유하므로 행선지를 잘 살펴 봐야 한다.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
기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모전초등학교)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6:48
막차22:00막차23:45
평일배차출퇴근 25분 / 평시 30분주말배차30분
운수사명부산여객 / 부일여객인가대수8대[공동배차]
노선청강리공영차고지 - (→ 내리 → 동해선 송정역송정터널부흥고.해운대백병원 → 화목아파트 → 좌동재래시장 → 해운대문화회관 → 장산역 → 벽산아파트 → 부흥고.해운대백병원송정터널동해선송정역 → 내리 → 청강리공영차고지입구 →) - 기장읍행정복지센터.기장119안전센터 - 기장시장 - 교리입구 - 기장경찰서 - 일광해수욕장입구 - 동해선일광역 - 횡계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동해선 좌천역 - 장안제일고등학교 - 원자력의학원 - 부산프리미엄아울렛 - 기장구조대 - 강변마을 - 달산초등학교 - 정관읍행정복지센터.기장소방서 - 한진해모로 - 정관초등학교.정관중학교 - 평전마을 - 신정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 부산해마루학교 → 모전초등학교 → 모전마을 → 현진에버빌 → 이후 역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2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기점부산광역시 기장군 기장읍 청강리(청강리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기장군 정관읍 모전리(모전초등학교)
종점행첫차22:45기점행첫차00:25
막차22:45막차00:25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부산여객 / 부일여객인가대수1대[1]
노선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68.9km이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3.1. 구.182번[편집]


이 노선은 현재 폐지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 버스 182.jpg


3.2. 구.1006번[편집]


이 노선은 현재 폐지되었습니다.

이 문서에서 서술하는 노선은 현재 폐지되어 더 이상 운행을 하지 않습니다.


파일:부산1006(구).jpg
파일:external/cafefiles.naver.net/dscf0291_hispace04.jpg









4. 특징[편집]











4.1.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2230.43
2015년2455.00△ 224.57
2016년2391.00▽ 64.00
2017년2421.00△ 30.00
2018년2558.71△ 137.71
2019년2450.85▽ 107.86


4.2.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2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정관1로
모전마을 ▼▲ 모전초등학교
정관로모전로
동일스위트3차정문 ▼
모전1길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
모전로
현진에버빌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2로
정원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정관로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 신정초등학교
정관3로
산막입구 ▼▲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용수로
평전교 ▼▲ 평전마을
정관4로
동일스위트1차 ▼▲ 계룡리슈빌 후문
정관로
정관홈플러스 ▼▲ 한진해모로
정관5로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
용수로
덕산마을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중앙중학교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달산초등학교 ▼▲ 구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좌천로
원자력의학원 ▼▲ 좌동리교차로
좌동길
장안제일고등학교 ▼▲ 좌동리교차로
좌천로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좌천초등학교
기장대로
화전교차로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이화로
동해선일광역 ▼▲ 삼덕입구
일광로
메가마트 기장점 ▼▲ 후동입구
기장대로
교리입구 ▼▲ 기장체육관
반송로
기장도서관 ▼▲ 교리입구
차성동로
기장시장 ▼▲ 기장지구대
읍내로
기장초등학교 ▼▲ 기장시장
차성로
기장읍사무소 ▼▲ 대라리사거리
대청로
기장2주공 ▼▲ 청강사거리
기장대로
기장대로▲ 내리
해운대로
▲ 송정1단지주공
좌동로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로
▲ 장산역
양운로
▲ 해운대문화회관
좌동로
▲ 좌동재래시장입구
세실로
해운대로
▲ 장산역.화목아파트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좌동로
해운대로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182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정관1로
모전마을 ▼▲ 모전초등학교
정관로모전로
동일스위트3차정문 ▼
모전1길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
모전로
현진에버빌 ▼▲ 현진에버빌후문사거리
정관2로
정원초등학교 ▼▲ 현진에버빌
정관로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 신정초등학교
정관3로
산막입구 ▼▲ 정관신도시 롯데캐슬
용수로
평전교 ▼▲ 평전마을
정관4로
동일스위트1차 ▼▲ 계룡리슈빌 후문
정관로
정관홈플러스 ▼▲ 한진해모로
정관5로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 신동아파밀리에 정문
용수로
덕산마을 ▼▲ 정관읍사무소 기장소방서
정관덕산길
중앙중학교 ▼▲ 덕산마을
구연방곡로
달산초등학교 ▼▲ 구연마을
정관로
▲ 부산장안고등학교
기장대로좌천로
원자력의학원 ▼▲ 좌동리교차로
좌동길
장안제일고등학교 ▼▲ 좌동리교차로
좌천로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 좌천초등학교
기장대로
화전교차로 ▼▲ 청광.아시아드컨트리클럽
이화로
동해선일광역 ▼▲ 삼덕입구
일광로
메가마트 기장점 ▼▲ 후동입구
기장대로
교리입구 ▼▲ 기장체육관
반송로
기장도서관 ▼▲ 교리입구
차성동로
기장시장 ▼▲ 기장지구대
읍내로
기장초등학교 ▼▲ 기장시장
차성로
기장읍사무소 ▼▲ 대라리사거리
대청로
기장2주공 ▼▲ 청강사거리
기장대로
기장대로▲ 내리
해운대로
▲ 송정1단지주공
좌동로
▲ 신도시시장.아세안문화원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해운대로
▲ 장산역
양운로
▲ 해운대문화회관
좌동로
▲ 좌동재래시장입구
세실로
해운대로
▲ 장산역.화목아파트
좌동순환로
▲ 부흥고등학교 해운대백병원
좌동로
해운대로
▲ 브라보주유소
기장대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6:50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8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공동배차] 부산여객 6대 / 부일여객 2대[1] 두 회사가 격일교대로 배차[2] 해운대에 있었던 스펀지가 센텀시티 상권이 급격하게 발달하자 해운대 신시가지에서 조차도 롯데백화점, 신세계 백화점이 있는 센텀시티에게 수요를 몽땅 빼앗기면서 결국 폐업했다. 센텀시티에는 부산 도시철도 2호선이 다니는건 물론이고, 벡스코, 롯데백화점, 신세계백화점, 홈플러스가 있다.[3] 1007번이 센텀시티를 거쳐서 시청으로 운행했으므로 좌천~일광, 기장으로 돌아가는 1006번보다 자동차전용도로로 빠르게 가는 1007번 타고 센텀에서 환승하는 편이 더 빠르기에 1006번 수요가 줄어드는게 당연한 결과였다. 심지어 목적지가 해운대 신시가지라 하더라도 1007번을 타고 가서 센텀에서 해운대행 노선 혹은 2호선으로 갈아타는 게 훨씬 빨랐다. 환승저항을 감안해도 말이다.[4] 1011번도 구.1006번보다 수입금이 낮은데 인지도가 높은 반면에 입석금지라는 핸디캡이 있어 논외. 게다가 1011번은 1001번과 마찬가지로 환승수요가 많아 이용객 수 대비 운송수입금이 낮은 노선이다.[5] 심지어 해당 지역구 의원까지 나섰다.[6] 당시 일광여객 해운대영업소(당시 36번, 63번, 307번 차고지)는 KT 해운대지사(구 해운대전화국) 옆에 따로 있었다.[7] 특히 장산역정관신도시 가려고 이 버스를 타려는 승객들로 장사진을 이룬다. 장산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가 몇 없기 때문.[8] 정 이렇게 바꾸려면 182번 운수업체를 세진여객으로 이관시키고 승무원들 역시 세진여객 소속으로 그대로 고용승계시켜야 할 것이다. 아니면 세익, 일광여객이 182번을 운행하게 하고 송정종점에서 출발하도록 조치하고, 장산역을 양방향 경유함과 동시에 36번이나 200번의 일부 차량을 부산여객 혹은 부일여객이 운행하도록 트레이드시켜야 할 것이다. 하지만 송정종점은 31, 307번 차량만 수용할 수 있는 규모라 이건 불가능하다.[9] 일광로로 돌아가기 때문에 182번보다 소요시간이 조금 길지만 대부분 승객들은 잘 신경쓰지 않고 아무거나 탄다.[정관] A B 정관방면만 정차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