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 버스 58-2

덤프버전 :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35-1678
91011151617
202223242627
2930313333-136[A]
37[A]38[A]39404142
4344464950[A]51
525455[A]
55-1[C]
55-257
58[A]58-259616263
6768707173[B]77
80818283
83-1[A]
85
86878888-190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펼치기 · 접기 ]

153051
58-1[a]
58-2106
141[a]
182
183[a]
508
1000[a]
1001
1002[a]
1003[a]
1004[a]
1008
[a] 주간노선과 심야노선의 경로에 차이가 있는 노선



파일:부산 버스 58-2D.pn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신도색 디젤차량 투입
4.2. 두동차고지 시절 공차회송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
4.4.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8-2번
기점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사하구청.당리역)
종점
첫차04:50
기점
첫차05:55
막차22:20
막차23:30
평일배차출퇴근 12분 / 평시 13분주말배차13분
운수사명태영버스인가대수17대[주말]
노선강서공영차고지 - 태광금속 - 삼성전기 - DSR - 송정다리 - 영도산업 - 용원사거리 - 경제자유구역청 - 부산지방벤처기업청 - 신호하수처리장 - 신호부영아파트 - 르노자동차남문 - 퀸덤1.2단지 - 롯데캐슬아파트 - 남명초등학교 - 명지환승센터 - 명지대방노블랜드/호반베르디움 - 명지스위트팰리스(12-600)[단독] - 경일고교 - 을숙도.문화회관 -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 대광고등학교 → 당리새마을금고 → 사하구청.당리역 → 낙동초등학교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2 노선도.svg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2번
기점부산광역시 강서구 화전동(강서공영차고지)종점부산광역시 사하구 당리동(사하구청.당리역)
종점
첫차23:00
기점
첫차00:05
막차23:00
막차00:05
배차간격1일 1회
운수사명태영버스인가대수1대
노선주간 노선과 동일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입석/심야)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54.1km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개편 전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58-2 노선도.png



4. 특징[편집]















4.1. 신도색 디젤차량 투입[편집]





4.2. 두동차고지 시절 공차회송[편집]






4.3.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7613.43
2015년7986.57△ 373.14
2016년8773.71△ 787.14
2017년9322.00△ 548.29
2018년8315.14▽ 1006.86
2019년9021.28△ 706.14

4.4.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58-2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대로
낙동대로▲ 사하구청(당리역)
다대로
괴정로
▲ 대광고등학교
제석로
▲ 영락교회
낙동대로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명지초교.명지중학교 ▼▲ 명지새동네
명제국제11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명지국제5로
중흥1차.부영동문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법원검찰청사거리 ▼▲ 더에듀팰리스부영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녹산하수처리장
녹산화전로
태광금속 ▼▲ 우진목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서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사거리 ▼▲ 용원사거리
용원로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심야버스 58-2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낙동대로
낙동대로▲ 사하구청(당리역)
다대로
괴정로
▲ 대광고등학교
제석로
▲ 영락교회
낙동대로
하단역 ▼▲ 낙동초등학교
낙동남로
명지시장 ▼▲ 부산현대미술관
르노삼성대로
명지초교.명지중학교 ▼▲ 명지새동네
명제국제11로
금강펜테리움2차아파트.호반베르디움2차아파트 ▼▲ 명지국제신도시입구
명지국제5로
중흥1차.부영동문 ▼▲ 대방노블랜드아파트
명지국제7로
법원검찰청사거리 ▼▲ 더에듀팰리스부영
명지국제3로
행복마을 ▼▲ 명원초등학교
명지오션시티1로
남명초등학교 ▼▲ 행복마을
명지오션시티11로
▲ 극동스타클래스아파트
명지오션시티2로
퀸덤1.2단지 ▼
명지오션시티10로
신호대교 ▼▲ 퀸덤1.2단지
명지오션시티1로
삼성자동차남문 ▼▲ 신호대교
르노삼성대로
윌아파트 ▼▲ 삼성자동차남문
신호산단2로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 신호초등학교사거리
신호산단5로
의창수협 ▼▲ 신호부영3차.5차아파트
신호산단1로
신호하수처리장 ▼▲ 부영2차아파트
르노삼성대로
▲ 신호하수처리장
녹산산업대로
녹산하수처리장 ▼▲ 녹산하수처리장
녹산화전로
태광금속 ▼▲ 우진목재
녹산산업중로
풍영산업 ▼▲ DSR
가락대로
▲ 경제자유구역청
녹산산단178로
경제자유구역청 ▼
가락대로
부산프라스틱공업 ▼▲ 풍영산업
녹산산업중로
용원서병원 ▼▲ 영도산업
만금로
용원사거리 ▼▲ 용원사거리
용원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하단역환승센터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ㆍ접기 ]

급행2000
좌석58-1
일반3555858-26168[a]
123124128-1161171
강서구
마을
3799-19-212
131415161720
21
김해시220
음영표기: 하단역이 시•종착이 아닌 노선
[a]강서구 미경유 노선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명지신도시 경유 버스 노선
[ 펼치기 · 접기 ]

급행100510091011[a]2000[a]
좌석58-1
일반355-155-258
58-261122124
128-1520171161
마을강서 9-2강서 14강서 17강서 20
강서 21
김해 914
음영표기: 국제신도시 경유 노선
[a]르노삼성대로로 운행하는 노선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11:39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58-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16대 / 공휴일 15대[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1] 58-2번 막차(사하구청 23:15)도 하단역에서 23:20 경에 출발하기 때문에, 58-1번 심야버스 출발시간과는 1시간 20분의 공백이 있었다.[2] 즉, 녹산산업중로의 경우 기존대로 경유하는 건 똑같지만 상하행이 바뀐다.[3] 기존 용원사거리 버스 정류장(12-055, 12-224)에서 이 노선을 이용하는 승객들은 서쪽으로 90m 정도 걸어가야 한다.[4] 현재 버스 관련 문서 중 NPOV가 적용된 문서는 경산버스, 안동시 시내버스/문제점 및 비판이 끝이다. 이 문서에 NPOV가 적용된 이유는 노선 굴곡을 어떤 관점으로 서술할지 문제로 토론이 심해져 중립적 관점으로 서술하기로 했기 때문이다.[5] 다른 노선은 55-2번. 개편 전에는 이 노선 이외에도 50-2번, 51-2번, 73-2번, 111-2번, 129-2번이 있었으나 50-2번, 51-2번, 129-2번은 폐선, 73-2번과 111-2번은 신설 이후 본선노선 폐선으로 각각 73번111번으로 번호가 변경됐다. 과거에는 58-3번도 있었다. 현 55번과 유사한 노선이며, 폐선후 강서16번으로 전환됐다는 말이 있다.[6] 58-1이 남포동까지 운행되던 시절엔 그래도 매번 입석을 달고다니는 등 수요가 탄탄했으나, 하단 종착으로 바뀐 이후에는 용원, 녹산 주민의 준 급행 수준으로 이용되고 있다.[7] 2023년 7월 29일 개편 이후로는 58번도 경유하나 구간이 다르다.[8] 2023년 7월 29일부로 다른 58번 시리즈와 동일하게 하단역 환승센터에서 끊기게 되었으나, 동년 11월 4일부로 다시 사하구청까지 연장되었다.[9] 3번과 168번의 신설 의도가 58-2번의 승객 혼잡도를 분산시키려는 의도에서였다.결국 출퇴근 시간대에는 모두 터져나간다.[10] 하지만 먼저 간 차들 때문에 배차 간격이 크게 벌어지거나 6시 5분쯤에 퇴근을 하려는 사람들과 아트몰링에서 쇼핑을 마치고 집으로 (명지로) 돌아가려는 승객들이 쌓이면 그동안 쌓인 사람들을 모두 한 차가 감당해야 하기 때문에 문 계단까지 사람들이 들어차서 입석 승객들은 잡을 손잡이나 기둥마저 없어 사람들에게 지탱하여 타기도 한다. 실제로 문 한짝에 수많은 사람들이 타려고 전쟁을 하는 모습을 보면 진풍경이다. 다음 차량을 타는 것이 현명하다.[11] 녹산행 노선 대부분이 배차간격 30분을 초과하고 있다. 그나마 나은 게 30분 간격의 58-1번, 강서9-1번과 배차간격이 30분 이내인 124번이다. 여기서 2000번은 애초에 거제행을 위한 노선이며 환승도 안 되기 때문에 논외.[12] 다만 부산 도시철도 1호선 노포행 막차와 연계는 불가능하지만 낙동초등학교 정류장에서 1000번 심야노선, 1001번 주간노선 막차와 바로 연계된다.[13] 당시 부산의 천연가스버스 투입 비율은 절반도 채 되지 않았다.[14] 부산시 측에서 디자인 가이드라인에 어긋난다는 이유로 사명 표기 제거를 권고했다고 한다. 이를 안 버스 동호인들은 이런데까지 간섭하냐며 부산시를 많이 비난했다. 아이러니하게도 2020년 이후 대도운수시민여객이 사명 폰트를 붙이고 운행을 하는데 정작 이들은 별 말이 없다.[15] 이와 비슷한 경우로 부산-거제 시내직행좌석버스가 있다.[16] 55번, 520번창원시의 허가를 받지 않아서 부산 강서구 송정공원 쪽을 정식 기점으로 하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