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부산 버스 189-1

덤프버전 :

||
급행
좌석
일반
마을
심야
기장
[ 2번 ~ 99번 - 펼치기 · 접기 ]

235-1678
91011151617
202223242627
2930313333-136[A]
37[A]38[A]39404142
4344464950[A]51
525455[A]
55-1[C]
55-257
58[A]58-259616263
6768707173[B]77
80818283
83-1[A]
85
86878888-19096
96-1[A]
99
[A/B] 환승 대기시간 60분/90분 적용 노선
[C] 출근시간 전용 노선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여담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
4.3. 노선
5. 연계 철도역
6.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9-1번
[ 지도 노선도 보기 ]
파일:부산 189-1 노선도.svg
기점부산광역시 기장군 철마면 고촌리(고촌역.대진여객)종점부산광역시 연제구 연산동(연산교차로)
종점
첫차05:00기점
첫차05:50
막차22:40막차23:30
평일배차출퇴근 9분 / 평시 11분주말배차토요일 12분 / 공휴일 13분
운수사명대진여객인가대수14대[주말]
노선고촌역.대진여객 - 반송주공아파트 - _반송주공아파트입구_ - 반송시장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반여농산물시장 - ( ← 석대사거리[1] ← ) - 반석초등학교 - 장산성당 - 반여3동 - 반산초등학교 - 동부지청 - 재송역 - 부산원동역 - 안남초등학교 - 토곡한양아파트 - 연동시장 → 연산자이아파트[단독] → 연일시장 → 연산교차로 → 경동아파트 → 연동시장 → 이후 역순
가늘게 밑줄 친 구간은 양방향 모두 동일 정류장에 정차하므로 행선지를 확인하고 탑승해야 한다.

2. 개요[편집]


부산광역시의 시내버스 노선. 왕복 운행거리는 29.8km다. 전체 정류장 목록은 여기로

3. 역사[편집]


파일:189-1.jpg
위 차량은 두 번 대차되어 115-1번에서 운행중이다.
  • 1989년에 189번과 동시에 개통되었으며 반송 - 석대 - 금사사거리 → 충렬사 → 안락교차로 → 연산교차로 → 사직운동장 → 미남교차로온천장 → 서동고개 → 금사사거리 - 석대 - 반송을 운행하는 순환노선이었으며 189번의 금사입구~연산교차로 구간 역방향 노선으로 189번과 함께 대진여객의 간판노선이었다. 그러나 189번 쪽이 수요가 더 많았는지 운행대수는 189번보다 4대 적은 15대였다.

  • 2011년 4월 1일 부산 4호선에 따른 개통으로 반송 ~ 반여농산물시장을 구간을 제외한 전 구간의 노선이 바뀌어 반송주공 - 석대동 - 반여1동 - 반여2,3동 - 재송동 - 원동IC - 안남초교 - 연동시장 - 연산자이 - 연산교차로로 변경되었다. 동시에 같은 해 1대가 순감차되어 14대가 되었다.


  • 2015년 10월 양방향 경유 중인 반여로155번길을 연산동 방향만 경유하고 반송 방향에 한해 옆 이면도로인 반여로167번길로 변경해 운행 중이다.

  • 2020년 10월 21일부터 2020년 12월 15일까지 기점행 운행 시 공사로 인한 신촌입구 정류장이 임시 폐지됨에 따라 인지중학교와 강변자동차매매단지를 경유하였다.

4. 특징[편집]


  • 2011년 4월 1일의 개편 이후 초창기에는 반송시장에서 재송동까지 115-1번과 대다수 겹치고 반여3동, 재송동 지역에서도 5-1번이나 155번 등의 인지도가 높은 노선들보다 인지도가 낮아서 수요가 바닥이었다.

  • 반여동재송동에서 연산교차로 방향으로 최단거리로 이어줘 수요가 비교적 괜찮으며 안락동, 연산토곡 지역 주민들도 꽤 이용하고 있다. 재송동, 반여3동 지역에서는 타 노선들의 수요가 막강하여 고전하는건 사실이지만 그래도 꾸준히 운행한 덕분인지 승객들이 비교적 알아주고 현재는 해당지역에서 보조노선으로 수요를 꾸준히 확보하고 있다. 또한 윗반송을 올라가는 유일한 노선[2]이라 반여농산물시장역에서의 환승수요도 존재한다. 석대역에서 목격했을 때 평시에도 좌석은 다 채워서 지나가는 경우가 많다. 우려와 달리 전체적으로 잘 운행되고 있다. 반송시장 - 동부지청 구간은 115-1번의 하위호환으로써 보조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거기다 반여1동~연산역 구간에서 거리 상으로 더 최단거리인 36번이 저속주행을 심하게 하는데다 반여로로 올라가는 탓에 이 노선이 비록 재반로라는 굴곡구간이 존재하여도 36번보다 체감거리가 더 짧게 느껴질 정도다. 그래서 의외로 반여1동에서 연산교차로로 왕래하는 수요까지 생겨났다.

  • 안락뜨란채아파트, 안남초등학교 일대에서 연산교차로까지는 구.89번 노선과 판박이라서 구.89번의 대체노선으로 자리매김하였다. 배차간격도 준수해서 의외로 이용객이 많으며 재송동으로 돌아가는 노선이지만 소요시간을 따지지 않는 승객들도 제법 존재해서인지 반여1동의 이용률이 많다.[3] 결론은 우려와는 달리 이 노선은 2011년 부산 시내버스 개편의 실패작이 절대 아니다! 운송수입금으로는 오히려 형제 노선 189번보다 근소한 차이로 앞서고 있다.

4.1. 여담[편집]



  • 반송 - 연산동을 다이렉트로 이어주는지라 구.129번과 비등할 정도로 고정승객이 매우 많았다. 그러나 약 10년여동안 공사하였던 부산 도시철도 4호선2011년 3월 30일에 개통되었다.

  • 시내버스가 유일한 발이라서 반송 승객으로 미어터지던 반송지역 버스 노선들은 부산시의 4호선 이용 장려를 목적으로 129-1번을 제외한 모든 노선이 우회 조정되고 이에 따라 189-1번도 희생양이 된다. 허나 여기서 전혀 예상치 못한 노선조정안이 나오니, 이는 반여동, 재송동 우회 조정이었다. 그리고 연산자이의 입주로 연산자이로 버스노선을 놓아달라는 민원으로 189-1번 노선이 재송동을 지나 과정로를 경유하여 연산자이 → 연산교차로로 조정되었다. 또한 연산자이 구간은 단독 구간이라 소중한 발 역할을 하고 있으며 반송로(경찰전직지원센터(구.연산1치안센터) - 연산교차로)가 출퇴근시간은 물론 평시에도 정체가 심한 구간이기 때문에 연산자이 구간이 이를 우회해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연산교차로 바로 앞에서 회차하려면(P턴) 이렇게 가는 수 밖에 없다.

  • 노선번호 상으로는 189번과 형제지만 선형은 189번과 완전 딴판이 됐다. 96번/96-1번, 115/115-1번, 138번/138-1번, 148번/148-1번도 마찬가지다. 선형으로만 봤을 때는 서로 딴판이다. 2016년 3월 12일 개편으로 기종점이 동일하다. 다만 연산교차로는 정류소가 서로 달라서 연계가 안된다. 두 노선이 겹치는 구간은 기점부터 반여농산물시장까지이다.

  • 대체수단으로 연산교차로에서 99번을 타고 충렬사역(서원시장)에서 하차한 뒤 129-1번으로 환승하거나 연산교차로에서 105번 혹은 106번을 이용한 뒤 반여농산물시장역에서 하차한 뒤, 반송 행 노선으로 환승하면 된다. 다만 106번의 경우에는 일부 BRT 정류장에 미정차한다. 36번을 이용하면 비록 반여1동으로 돌아가지만 환승 없이 바로 갈 수 있다.

  • 연산교차로 방면의 경우 연산자이를 경유하기 위해 과정로343번길로 좌회전하는 특성상 경동아파트(13-062)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또한 반송 방면의 경우 토곡사거리에서 안락동 방면으로 좌회전하는 특성상 토곡한양아파트(13-077) 정류장을 무정차 통과한다.

4.2. 연간 일평균 승차량[편집]


  • 원 출처는 한국교통안전공단 국가대중교통DB이며, 노선별 이용인원의 자료를 재구성했다.
  • 소수점 셋째 자리에서 반올림했다.
  • 카드 승차량만 집계된다. (현금 승차량 제외)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4년7950.14
2015년7434.71▽ 515.43
2016년7908.86△ 474.15
2017년7952.71△ 43.85
2018년7578.85▽ 373.86
2019년7453.00▽ 125.85
2020년해당 연도 DB 미집계
2021년5647.71▽ 1805.29

4.3. 노선[편집]


파일:부산광역시 휘장_White.svg 부산광역시 일반시내버스 189-1번
[ 경유 도로 목록 펼치기 · 접기 ]

고분로
연산교차로 ▼▲ 연일시장
반송로쌍미천로
경동아파트 ▼▲ 연산자이아파트114동앞
과정로과정로343번길
▲ 연산자이아파트104동앞
과정로
토곡한양아파트 ▼▲ 토곡한양아파트
연안로
부산원동역 ▼▲ 뜨란채아파트
충렬대로
원동IC교차로 ▼▲ 부산원동역
해운대로
부일병원 ▼▲ 동해선 재송역
재송1로
동부지청 ▼▲ 재송시장입구
재반로
▲ 반여초등학교
반여로반여로155번길
장산성당 ▼▲ 신촌입구
반여로167번길선수촌로
중리 ▼
선수촌로
석대사거리 ▼▲ 반여농산물시장역
수영강변대로반송로
반여농산물도매시장 ▼
반송로
반송우체국(영산대역) ▼▲ 반송초등학교
아랫반송로
반송시장 ▼▲ 반송우체국(영산대역)
아랫반송로21번길
▲ 반송보건지소
반송로
본동 ▼
윗반송로
반송주공아파트입구 ▼▲ 송운초등학교
신반송로
대진여객 ▼▲ 반송주공아파트입구
윗반송로


5. 연계 철도역[편집]



6. 둘러보기[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1 05:07:01에 나무위키 부산 버스 189-1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주말] 토요일 13대 / 공휴일 12대 운행[1] 종점행만 정차하며, 115-1번과 189-1번만 정차하는 정류장이다.[단독] 이 노선의 단독 구간이다.[2] 나머지 하나는 189번이다.[3] 일반 승객들 중에선 굴곡이 지나치지 않은 이상 소요시간까지는 따지지 않는 승객들이 제법 많이 존재한다. 또한 반여1동은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의 선택 폭이 좁기로 악명높았던 것도 한 몫 한다. 2015년 12월 27일36번이 들어왔지만 반여로로 올라가는데다가 저속운행, 긴 배차간격 등으로 수요증가 속도가 더딘 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