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북구 을(광주)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북구 을(광주).svg
선거인 수208,908명 (2020)
상위 행정구역광주광역시
관할구역
[ 펼치기 · 접기 ]
북구 일부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신용동, 양산동
신설년도1992년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형석



1. 개요[편집]


제14대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 신설된 선거구이다. 1992년 임동, 용봉동, 동운1동[1], 동운2동, 서산동[2],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3]이 분구되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때 인구과밀로 상대적으로 낙후된 임동과 오치1동, 오치2동이 북구 갑으로 이동했다.

북구 갑 지역에 비해 신규 주거 단지가 많고 전남대학교가 있어 민주당계 정당의 영향력이 매우 강한 편이었다. 정치 지형이 바뀐 현재는 갑, 을 지역구 모두 양당 득표율은 서로 비슷하다. 정확히는 을 지역구가 보수 정당 득표가 조금 더 높은 정도. 하지만 진보 정당의 영향력은 북구의회에 겨우 의석을 배출할 정도로 약하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이형석 의원이다.

2. 광주광역시 북구 을의 저주[편집]


제16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광주광역시 북구 을 지역구에서 국회의원을 역임한 정치인은 마지막 임기 종료 후 몇 년 이내에 사망했다는 좋지 않은 징크스가 있다.

2.1. 사례[편집]



3.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서산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차상록(車相錄)6,5562위

ta-hash-start=w-89e7d05d94977c776e5200e7f24ba989[[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7.90%낙선
2이길재(李吉載)71,0221위


85.67%당선
3조영전(曺永詮)2,6194위

ta-hash-start=w-319f7715e00ca8383e1f8c642189583e[[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3.15%낙선
4김철희(金哲熙)2,7023위

무소속

3.25%낙선
선거인 수122,945투표율
68.06%
투표 수83,673
무효표 수774

3.2.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유동, 누문동, 북동, 임동, 신안동, 용봉동, 동운1동,
동운2동, 동운3동, 서산동, 오치동,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귀남(高貴男)6,1292위

ta-hash-start=w-1a13f50bb84f047a40d7834f97f3f8dd[[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6.21%낙선
2이길재(李吉載)88,3101위

ta-hash-start=w-e2144fe84da8a2bfdb7b9742702c9ce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89.53%당선
3유인상(柳寅相)3,4493위


3.49%낙선
4김천국(金天國)7394위

ta-hash-start=w-0bdfb1231eca53e69ca24c2de2eb6912[[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0.74%낙선
선거인 수154,501투표율
64.60%
투표 수99,809
무효표 수1,182

3.3.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서산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경구(姜景求)2,1083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2.54%낙선
2김태홍(金泰弘)73,4831위
88.49%당선
3김천국(金天國)1,1984위
1.44%낙선
4손민영(孫敏榮)6,2482위
7.52%낙선
선거인 수166,128투표율
50.39%
투표수83,705
무효표수668

3.4.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최경주(崔京柱)35,4462위
34.47%낙선
3김태홍(金泰弘)57,3171위
55.71%당선
4김천국(金天國)6476위
0.63%낙선
5최익주(崔翊柱)2267위
0.73%낙선
6안영돈(安泳敦)7,2993위
7.09%낙선
7손민영(孫敏榮)1,1644위
1.13%낙선
8이인호(李仁鎬)7725위
0.75%낙선
9지대섭(池大燮)사퇴
선거인 수176,357투표율
59.08%
투표 수104,318
무효표 수1,292

3.5.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균(金載均)62,5671위
79.23%당선
2김천국(金天國)5,4623위
6.92%낙선
4김현정(金賢貞)9,6432위
12.21%낙선
6양길문(楊吉文)1,2954위
1.67%낙선
선거인 수205,050투표율
38.87%
투표 수79,707
무효표 수740

3.6.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임동,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오치1동, 오치2동, 건국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임내현(林來玄)66,7791위
61.02%당선
4윤민호(尹敏皓)20,2003위
18.45%낙선
6안영돈(安泳敦)2,1394위
1.95%낙선
7김재균(金載均)20,3122위
18.56%낙선
선거인 수211,323투표율
52.30%
투표 수110,530
무효표 수1,100

3.7.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용봉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인호(李仁鎬)2,8334위
2.28%낙선
2이형석(李炯錫)44,1382위
35.55%낙선
3최경환(崔敬煥)68,6411위
55.29%당선
5윤민호(尹敏皓)4,9573위
3.99%낙선
6노남수(盧男洙)2,5515위
2.05%낙선
7이영수(李永洙)1,0176위
0.81%낙선
선거인 수198,674투표율
62.94%
투표 수125,036
무효표 수899

3.8.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형석(李炯錫)108,2291위
78.82%당선
3최경환(崔敬煥)15,2812위
11.12%낙선
6황순영(黄淳英)4,0864위
2.97%낙선
7윤민호(尹敏皓)4,5143위
3.28%낙선
8이재욱(李宰旭)6927위
0.50%낙선
9강휘중(姜煇中)1,2826위
0.93%낙선
10노남수(盧男洙)2,6915위
1.95%낙선
11김원갑(金源甲)5228위
0.38%낙선
선거인 수208,908투표율
66.55%
투표 수139,020
무효표 수1,723

[광주광역시 북구 을 동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북구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북구 을)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형석최경환(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08,229
(78.82%)
15,281
(11.12%)
+ 92,948
(△67.70)
139,020
(66.54%)
용봉동78.01%11.53%△66.4859.50%
운암1동76.93%14.39%△62.5470.28%
운암2동79.10%12.19%△66.9162.77%
운암3동76.28%14.64%△61.6366.76%
동림동81.35%9.79%△71.5663.24%
삼각동77.60%10.72%△66.8863.65%
일곡동76.65%10.69%△65.9665.50%
매곡동79.35%10.63%△68.7370.86%
건국동80.78%10.16%△70.6259.27%
양산동79.09%11.21%△67.8860.39%
후보이형석최경환격차
거소·선상투표68.31%14.80%△53.51
관외사전투표79.81%9.58%△70.23
재외투표84.46%5.82%△78.64


[광주광역시 북구 을 아파트별 개표 결과 보기]
광주광역시 북구 을 주요 아파트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
후보이형석최경환(1위/2위)
삼익아파트79.96%11.45%▲68.51
호반리젠시빌 1차79.34%10.69%▲68.65
서광 인텔파크78.52%9.88%▲68.64
벽산블루밍 메가씨티 3단지76.86%13.67%▲63.19
운암 현대76.63%14.45%▲62.18
삼각그린타운76.50%11.16%▲65.34
삼호76.40%14.43%▲61.97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이형석 후보가 전진숙 후보와의 경선에서 승리하여 공천을 받았다.

민생당에서는 현역 최경환 전 의원이 재선에 도전한다.

정의당에서는 황순영 광주시당 여성위원장이 출마했다.

민중당에서는 윤민호 광주시당 위원장이 북구 을에 3번째 출마를 하였다.

미래통합당에서 김무성 전 의원을 공천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김무성 전 의원의 부친인 김용주가 회장이었던 전남방직이 이 지역구에 위치해있기 때문이기도 하고, 호남에 상징적인 인물을 배치해야 한다는 전략적인 이유도 있었다. 하지만 황교안 전 대표가 직접 요청하면 응할 생각이었던 상황에서 황교안 전 대표가 요청을 따로 하지 않음으로서 무산되었다.

결과는 이형석 후보가 108,229표를 얻어 92,948표차로 최경환 후보를 꺾고 당선됐는데, 이는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최다 득표수와 최다 득표차 당선이다.

그리고 윤민호는 이번에도 낙선하면서 총전적 5전 5패를 기록하게 되었다. 게다가 본인이 소속된 민중당마저도 울산광역시 동구에서 김종훈이 낙선하여 원외 정당으로 전락하면서 정치적으로 앞날이 어둡게 되었다.

3.9.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북구 을
용봉동, 운암1동, 운암2동, 운암3동, 동림동,
삼각동, 일곡동, 매곡동, 건국동, 양산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1993년 동운3동이 분리되었고, 이후 동운1, 2, 3동이 운암동으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운암3동으로 이름이 바뀌면서 동림동이 떨어져 나갔다.[2] 1994년에 오치동, 1997년에 매곡동이 떨어져 나간 이후, 2003년에 삼각동과 일곡동으로 분리되면서 서산동이란 이름은 사라졌다.[3] 1998년에 본촌동, 우치동, 삼소동이 합쳐져 건국동이 된 다음, 2013년에 양산동, 2021년에 신용동이 분리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