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브라질군

덤프버전 :




브라질군
Forças Armadas Brasileiras
Brazilian Armed Forces
파일:Brazil_Forcas_armadas1.jpg
국가
파일:브라질 국기.svg

상비군334,500명
예비군1,340,000명
병역제도징병제
육군력
[ 펼치기 · 접기 ]

전차469대
장갑차
(APCs/IFVs)
1,845대
자주포136문
다연장로켓78문
수송 차량6,676대

해군력
[ 펼치기 · 접기 ]

해군 전투함 총합134척
주력 수상함
호위함7척
초계함8척
잠수함
SSN(+1척)
SSK7척(+2척)

공군력
[ 펼치기 · 접기 ]

4.5세대 전투기7기(+33기)
3세대 전투기42기
조기경보관제기
(AWACS)
5기
공중급유기2기(+2기)
항공기 총합676기

예산
국방비 총합192억 달러

1. 개요
2. 상세
3. 예산과 경제규모
4. 수뇌부
4.1. 브라질군 합참의장
5. 징집
6. 구성
6.1. 육군
6.2. 해군
6.3. 공군
7. 관련 문서
8.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브라질군대.


2. 상세[편집]


발전한 항공우주산업을 바탕으로 프롭 기본훈련기 분야에서도 스위스의 필라투스와 함께 세계 시장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 중이며 최근에는 KC-390이라는 중형 수송기를 개발할 예정에 있다. 그리고 브라질은 중남미에서 가장 강한 군사력을 보유한 군사 강국이다.[1] 아르헨티나와의 관계가 좋지 않다보니 서로를 가상의 주적으로 늘 대비하는 훈련을 하며 대응한다.[2] 하지만 해군의 현대화는 비참한 수준으로 대만, 대한민국과 함께 2000년대까지 기어링급 구축함을 사용한 국가 중 하나였다. 2022년 현재까지도 21세기 해군력의 척도중 하나인 VLS를 탑재한 함선이 없는 건 물론이고, 대공미사일을 가진 함선조차 니테로이급과 22형이 전부라 상황이 좋지 않다. 그나마도 전투체계와 미사일이 현대전에는 맞지 않는 구형인 탓에 개함방공은 가능할지 의심스러운 수준.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타만다레급과 같은 신형함을 건조하려는 중이나, 코로나19 발 경제 위기로 인해 건조 작업이 조금씩 지연되고 있다고 한다.

공군력도 공중급유기(KC-135R), 조기경보기, 공격헬기 Mi-35,이탈리아와 공동개발한 공격기인 AMX 등 비교적 괜찮은 수준이긴 하나, 정작 중요한 전술기 등이 부실한 것이 단점. 2017년 1월 현재, 브라질의 전투기F-5 개량형 43대로 부실한 수준이다. 이러한 사정으로 브라질 공군은 차기 전투기로 2013년 12월 그리펜 36대를 구매하기로 결정하였으며, 추가도입 가능성도 시사하고 있다. 사브에서는 해군용 그리펜에 대한 언급도 나오고 있다.

브라질은 해외에도 유엔평화유지군을 보내는 나라인데, 아이티에서는 10년동안 평화유지군을 주둔시키다가 2017년 8월 31일에 주둔임무를 끝냈고 중앙아프리카공화국에 평화유지군파병을 준비중이다.#

하지만 2012년부터 브라질 정부가 경제난으로 국방예산을 축소하고 있어 브라질 군대도 사정이 좋지 않다.# 2018년 대통령 선거에 더 강력한 군대를 공약으로 내세운 자이르 보우소나루가 당선돼서 이야기가 달라지긴 커녕, 경제난이 더 심해져서 군비 축소는 여전하지만 아직까진 약한 군대는 아닌 셈.

2018년에 영국 해군이 퇴역시키는 오션급 강습상륙함을 구매했다.

한국처럼 징병제 국가지만 다만 인구가 대한민국보다 많고 병력도 적어 징집대상자의 95.5%가 군대면제를 받는다. 사실상 모병제에 가까운 셈.

프랑스의 기술지원으로 알바로 알베르토급 핵잠수함 건조에 들어갔다.#


3. 예산과 경제규모[편집]


(2000년~2014년) 브라질명목 GDP [3], 경제성장률, 국방비 흐름[4]
종류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추정치
전체 명목 GDP(10억달러; 약 1조원)6445545065526638821,0891,3661,6531,6222,1422,4742,2472,2462,244
경제성장률(%)4.3%1.3%2.6%1.1%5.7%3.1%3.9%6.0%5.1%-0.3%7.5%2.7%1.0%2.4%0.3%
영어위키 국방비 자료[5]: SIPRI(10억달러; 약 1조원)11.310.89.68.39.713.516.420.424.425.634.036.933.131.5

군사력과 경제력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어서 국가의 경제규모나 경제력이 떨어지면 군사력도 쇠락하기 마련이다. 따라서 군사력의 예산 항목을 볼 때는 해당 국가의 경제성장률, 명목 GDP도 함께 보아야 한다. 이것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GDP 대비 국방비도 국방예산의 중요한 참고자료이다. 신흥공업국브릭스의 하나인 브라질은 지속적으로 경제규모가 확대되었지만 2011년을 정점으로 경제와 국방예산이 축소되는 국면에 빠졌다. 경제성장률은 양호한 편이나 2011년 이후 일시적인 저성장 상태이다. 전체적으로 경제규모가 정체되면서 국방비도 정체되는 추세다.


4. 수뇌부[편집]


대통령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 시우바
국방장관월터 소우자 브라가 네토
합참의장라에르테 드 소우자 산토스 대장

4.1. 브라질군 합참의장[편집]


브라질군의 제복군인 중 최선임은 합참의장(Chefe do Estado Maior Conjunto das Forças Armadas - EMCFA)이다. 이 자리는 2010년 8월 25일에 신설되었다. 계급은 대장이다.

대수이름군종재임기간비고
1대호세 카를로스 드 나르디[6]육군2010-2015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2대아데미르 소브리뇨[7]해군2015-2019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3대라울 보텔료[8]공군2019-2021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4대라에르테 드 소우자 산토스[9]육군2021-위키백과 프로필 사진


5. 징집[편집]


브라질 1988년 헌법 제143조에 의하면 브라질의 남성들은 병역 의무가 있으나 양심적 병역거부를 행사 가능하다. 여성들과 성직자들은 병역 의무에서 배제된다. 신병들은 소집하기 전에 심사 과정에서 95%의 병역 대상자들이 면제를 받으며 또한 신병들의 3분의 2는 자원병들로 구성되며 날이 갈수록 자원병의 비율은 높아지는 추세다. 넓은 국토의 특성상 입대한 장병들은 대부분 집 근처의 육군 수비대에서 1년 동안 복무하게 되며 고졸을 못한 사람들은 9개월 복무이다.

전역 이후의 민간인들은 45세까지 예비군 명단에 이름이 남아있게 된다.

6. 구성[편집]



6.1. 육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라질 육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2. 해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라질 해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3. 공군[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브라질 공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관련 문서[편집]




8. 둘러보기[편집]


{{{#!wiki style="word-break: keep-all;" {{{#!wiki style="margin: -5px -10px; padding: 7px 10px; background-image: radial-gradient(circle, #002776 39.9%, transparent 40.1%), linear-gradient(45deg, #009C3B 20%, #ffdf00 20%, #ffdf00 80%, #ffdf00 80%, #009C3B 80%)" {{{#!wiki style="display: inline-table; text-align: left"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브라질|[[파일:브라질 국기.svg|height=35&align=left]]]]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브라질
관련 문서
}}}}}}
<^|1><height=35><bgcolor=#ffffff,#1f2023>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상징국기 · 국장 · 국가
역사역사 전반 · 브라질 식민지 · 브라질 독립 전쟁 · 브라질 제국
정치정치 전반 · 브라질 헌법 · 브라질 대통령 · 브라질 부통령 · 브라질 국가의회(브라질 연방상원 · 브라질 대의원)
선거브라질 대통령 선거 · 브라질 국가의회 선거
외교외교 전반 · 브라질 여권 · 이베로-아메리카 공동체 · BRICS · G4 · G20 · TIAR
사회파벨라 · ENEM
경제경제 전반 · 크루제이로 · 헤알
국방브라질군 · 브라질 육군 · 브라질 해군 · 브라질 공군
치안·사법브라질 경찰
교통LATAM 브라질 항공 · 골 항공 · 철도 환경
문화문화 전반 · 요리 · 페이조아다 · 슈하스쿠 · 카샤사 · 리우 카니발 · 삼바 · 보사노바 · 브라질 축구 연맹 · 브라질 축구 국가대표팀 · 브라질 영화 · 브라질 포르투갈어
인물펠레 · 룰라 다 실바 · 자이르 보우소나루 · 호나우두 · 호나우지뉴 · 호마리우 · 히바우두 · 네이마르 주니오르 · 지쿠 · 카카 · 소크라치스 · 카푸 · 베베투 · 호베르투 카를루스 · 둥가
지리아마존강 · 행정구역
민족브라질인(브라질 백인/파르도/브라질 흑인) · 포르투갈계 브라질인 · 브라질계 미국인 · 독일계 브라질인 · 이탈리아계 브라질인 · 스페인계 브라질인 · 프랑스계 브라질인 · 네덜란드계 브라질인 · 미국계 브라질인· 아르메니아계 브라질인 · 레바논계 브라질인 · 시리아계 브라질인 · 폴란드계 브라질인 · 리투아니아계 브라질인 · 우크라이나계 브라질인 · 그리스계 브라질인 · 한국계 브라질인 · 일본계 브라질인 · 중국계 브라질인 · 아일랜드계 브라질인 · 크로아티아계 브라질인 · 영국계 브라질인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아프리카 ]⠀





파일:브라질 국기.svg 현대 브라질군 기갑차량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기타전차L3/35R, Carros de assaltoR, M3/M5 스튜어트R, M3 리R, M4R, M4 하이브리드R, M4A1R, M4A1E9R
MBT2세대레오파르트 1(A1/A5 · A5GR), M60A3 TTS
3세대EE-T1 오소리오
경전차M41B/CR, SK-105 퀴라시어R, X1AM/R, X1A1M/R, X1A2M/R, MB-3 타모요
장갑차차륜장갑차M8 그레이하운드R, EE-9 카스카베우, EE-11 우루투, VBTP-MR 과라니, 센타우로 II
궤도장갑차Sd.Kfz. 6/7/8R, M3 하프트랙R, M59R, M113A2/BR, AAV-7A1
차량오토바이혼다 CBR1000 헌병 오토바이 · XRE300 정찰용 오토바이,
야마하 R1 헌병 오토바이 · XT660R 정찰용 오토바이
소형닷지 WCR, 윌리스 MBR, EE-43R, M151, VBM, 랜드로버 디펜더,
포드 F 시리즈, 토요타 하이럭스 · 랜드 크루저, 미쓰비시 파제로,
JPX 몬테즈, 아그랄 마후아, 티그르, {AV-(VB4 · VBL)}, {JLTV}
트럭M37R, CCKWR, M35, EE-50, UAI-테렉스 M1,
메르세데스-벤츠 2028A · 아테고 · 악소르 · 우니모크 U 100L · U 1700L,
이베코 트래커, 포드 카고 2629
자주포자주곡사포M108APM/R, M109(A3/A5+)
대공 차량자주대공포게파트 A2, 판치르-S1
단거리 대공미사일마르더 롤란드R
다연장로켓ASTROS II, AV-SS 12/36R
지원 차량구난차량BPz 2
전투공병차량PiPz 2 닥스
교량차량M3 자주도하장비
※ 윗첨자R: 퇴역 차량
※ 윗첨자M: 개조 차량
취소선: 계획되었으나, 취소된 차량
※ {중괄호}: 도입 예정 차량




파일:브라질라운델.png 현대 브라질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브라질군 (1822~현재)
Forças Armadas Brasileiras
회전익기 다목적 헬기AS550, H-36, AS565
수송헬기H-36, AS532
공격헬기AH-2 세이버R
대잠헬기Mk.21A 씨 링스, S-70B, H-36
전투기1세대글로스터 미티어R, P-80 슈팅스타R
2세대F-5R
3세대미라주 IIIR, F-5E/FM
4세대 / 4.5세대F-39 그리펜
공격기AF-1B, AMX 인터내셔널 AMX, A-29A 슈퍼 투카노
수송기C-130M, KC-390
지원기조기경보기E-99M
대잠초계기S-2E 트래커해/R, P-3CAM, P-95
정찰기R-99
공중급유기KC-130H, {KC-30}
무인기UAVIAI 헤론, 헤르메스 450, 헤르메스 900
훈련기프롭EMB 312 투카노, A-29B 슈퍼 투카노
제트AMX 인터내셔널 AMX, F-5FM
※ 윗첨자R: 퇴역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 윗첨자X: 연구 목적 도입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공군










[1] 물론 중남미 국가들의 군사력이 GFP에서 하위권일 정도로 약한것도 있지만 브라질은 중남미는 물론 유럽 국가들과 비교해도 큰 차이가 없을 정도이며 현재 군사 강국으로 여겨진다.[2] 하지만 아르헨티나는 경제난과 함께 서방권의 무기 수출 제한으로 인해 군사력이 크게 약화된지라 브라질이 압도하는 상황이다.[3] (2000년~2014년)브라질의 명목 GDP, 경제성장률 흐름[4] 스웨덴 스톡홀름 국제평화연구소(Stockholm International Peace Research Institute, SIPRI)-군비자료[5] List of countries by past and projected military expenditure (current US$)[6] 1944년생.[7] 1952년생.[8] 1957년생. 항공정찰과 탐색구조를 주로 담당했던 파일럿 출신이다. 보우소나루는 흑인이 모는 헬기는 위험하다고 했지만, 헬기를 몰았던 흑인을 합참의장으로 임명하는 데 거부감은 없었던 모양.[9] 2021년 5월에 임명되었다. 1958년생이다. 1974년 육군후보생예비학교에 입학해, 브라질 아굴라스 네그라스 육군사관학교를 졸업하고 1980년에 임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