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삼성 라이온즈/2011년

덤프버전 :

||
[ 펼치기 · 접기 ]

19821983198419851986
2위
4위2위
1위
[[1985년 삼성 라이온즈 통합우승|{{{#fecd00 }}}]]
2위
19871988198919901991
2위
3위
4위
2위

3위
19921993199419951996
4위
2위
5위5위6위
19971998199920002001
4위
3위
4위
3위
2위
20022003200420052006
1위
[[200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4위
2위
1위
[[2005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06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072008200920102011
4위
4위
5위2위
1위
[[2011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0122013201420152016
1위
[[2012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3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1위
[[2014년 한국시리즈|{{{#white,#191919 }}}]]
2위
9위
20172018201920202021
9위6위8위8위3위
20222023202420252026
7위8위?위?위?위
: 우승: 준우승 | : 포스트시즌 진출




2011년 KBO 리그 정규시즌 우승 - 삼성 라이온즈2011년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 - 삼성 라이온즈
파일:2011페넌삼성.jpg파일:삼성 라이온즈 우승 엠블럼 V5.svg
한국프로야구 유일무이 트레블 시즌
페넌트레이스 우승 - 한국시리즈 우승 - 아시아시리즈 우승



삼성 라이즈 2011 시즌
YES, WE CAN!
최종 순위
1
승차승률
794500.00.612

1. 스토브리그
1.1. 갑작스런 감독 교체
1.2. 코칭스태프 이동
1.3. 선수 이동
1.4. 군 입대 및 군 제대
1.5. 신인 지명
1.6. 외국인 선수
2. 전지훈련
3. 2011 정규시즌
6. 시즌 총평
7. 선수별 개인 성적
7.1. 투수
7.2. 타자
8. 수상 및 기록
8.1. 투수
8.2. 타자
9. 여담
10. 관련 문서
11. 둘러보기 틀



1. 스토브리그[편집]



1.1. 갑작스런 감독 교체[편집]


2010년 12월 30일 선동열 감독이 전년도 통합 꼴찌를 기록해서인지 용퇴하고 류중일 작전코치가 제 13대 감독으로 취임했다. 많은 삼성의 올드팬들은 과거 라이벌이었던 해태 출신의 감독에 대해 거부감이 있었고, 기존의 공격야구에서 지키는 야구로 팀컬러가 변화한 것을 못 마땅해하거나, 양준혁의 소극적 기용에 불만을 가졌던 상황이었기에 대체로 환영했다. 반면 5년의 재계약을 한지 1년만에 갑자기 단행된 인사이동[1]함께 에 의문을 품거나, 그동안 선동열 감독의 리빌딩 과정을 긍정적으로 생각하던 팬들은 이에 대해 반발을 했다.

1.2. 코칭스태프 이동[편집]


감독이 교체되기 전 김성래 오릭스 버팔로즈 2군 타격코치를 1군 타격코치로, 한화 이글스에 있던 성준 투수코치를 재활군 코치로 영입했다.

타네다 히토시 1군 타격코치와 전병호 재활군 코치와의 재계약을 포기했고, 이후 감독이 바뀐 이후에도 대다수 코치들은 유임됐다.

김한수 2군 수비코치를 1군 보조 타격코치로, 트레이닝코치란 직함을 달았지만 실질적으로는 주루·작전을 맡았던 김재걸은 정식으로 3루 및 주루코치를 맡게 됐고, 요미우리 자이언츠에서 트레이닝 분야 코치 연수를 받고 온 김현욱은 본래부터 재직하던 코야마 진 코치와 트레이닝코치를 분담한다. 류중일의 감독 승격으로 인해 공석이 된 1군 수비코치에는 김용국을 영입했다.

장효조 2군 수석코치가 2군 감독으로 직함만 바꿔달았고[2], 김한수의 보직 변경에 따라 공석이 된 2군 수비코치 자리에는 김호를 영입했다.


1.3. 선수 이동[편집]


2010년 시즌 후 김진웅, 박진만, 심광호, 임동규, 임익현, 정홍준, 채형직, 최천수가 방출됐다. 박진만은 당시 주전 자리에서 밀려났는데 고액연봉자라 트레이드 카드로 쓰기도 어려워서, 조건 없는 방출 형식으로 고향팀인 SK 와이번스로 이적했다. 방출된 심광호LG 트윈스로 이적했다. 신고선수 김지호, 송주호, 이만기, 전준호 등도 신고선수 해지로 방출됐다.

2010년 10월에 KIA 타이거즈에서 방출된 문현정이 테스트를 받고 정식선수로 입단했다.

배영수FA로 풀렸다. 일본 진출을 선택하면서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즈와 계약 직전까지 갔으나, 선천적으로 높은 간수치 때문에 메디컬 테스트에서 탈락했고 결국 계약도 결렬되면서 배영수는 삼성과 2년 재계약했다.

2011년 초에 정민우가 개인사로 임의탈퇴됐다.


1.4. 군 입대 및 군 제대[편집]


상무에서 복무한 김경모, 김기태, 김동영, 모상기가 복귀했다. 이동걸도 군복무를 마쳤다.

김현우백상원허승민이 상무에, 양지훈경찰 야구단에 입대했다. 길태곤홍효의공익근무요원으로 입대했다.


1.5. 신인 지명[편집]


  • 포지션은 지명 당시 기준.
이름포지션경력계약금
1라운드심창민투수경남고2억원
2라운드윤영삼투수장충고1억 3000만원
3라운드오태선투수김해고1억원
4라운드임현준투수대구고 - 경성대8000만원
5라운드김헌곤외야수제주관광고 - 영남대7000만원
6라운드김준희[3]내야수서울고 - 경희대6500만원
7라운드유원선포수충암고5000만원
8라운드조원태외야수상원고5000만원
9라운드이경록외야수동산고 - 대불대4000만원
10라운드정우양포수충암고 - 경희대4000만원
신고선수김정혁내야수포철공고 - 동국대 - 상무
김태욱[4]외야수휘문고 - 한일장신대
명재철투수인천고 - 한양대
신희섭투수동성고 - 송원대
정명현내야수경주고 - 영남대
황수범투수배명고 - 한민학교


1.6. 외국인 선수[편집]


프란시스코 크루세타팀 레딩과의 재계약을 포기했다. 감독이 교체되기 전 라이언 가코를 영입했지만 다른 외국인 선수를 정하지 못했는데, 재일교포 카네무라 사토루를 영입하려다 결국 SK 와이번스에서 활동한 카도쿠라 켄을 영입했다.


2. 전지훈련[편집]



1월 8일부터 3월 6일까지 괌-오키나와에서 전지훈련을 실시했다.

당초 외야수로 분류됐던 라이언 가코는 결국 외야수비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3. 2011 정규시즌[편집]


류중일 코치가 감독으로 된 첫 해. 삼성은 작년까지의 그 삼성이 맞나 싶을 정도로 스타일이 확 바뀌었다. 선동열 체제에서의 수비적인 야구에서 벗어나 삼성 본연의 모습이라고 할 수 있는 공격야구로 스타일을 회귀하였으며, 무엇보다도 이해에 삼성이 거두었던 79승 중 절반 이상인 41승이 역전승이었다. 그 중에서 11승은 8회 이후에 해낸 것으로, 이에 삼성팬들은 약속된 승리의 8회라고 칭하며 굉장히 좋아했다. 이로 인해 선동열 전 감독에 대한 인식이 더욱 악화되었는데, 선동열 감독은 5회까지 리드를 잡지 못하면 2,3점 차에도 패전조를 올리는 일명, '포기하는 야구'를 해왔기 때문.

하지만 선동렬 감독의 유산도 분명 있었다는 평이 많다. 선동렬 감독이 임기 내내 공을 들이며 완성하려 했던 강력한 불펜진은 아이러니하게도 류감독 부임 해였던 2011년에서야 꽃을 피웠다는 것이다. 물론 류중일 감독이 선감독과 다르게 선발투수를 오래 끌고 가며 불펜 투수들의 체력도 적절하게 관리해준 점 역시 간과해선 안될 것이다. 당시 불펜진은 조까 라인이라 불리며 무시무시한 위용을 자랑했다. 특히 삼성의 마무리 오승환이 완벽히 부활, 몬스터 시즌을 보내며 삼성라이온즈에 큰 힘이 되었다.[5]

다만, 시즌 초반에는 그렇게 공격력이 좋은 편도 아니었고, 투타 밸런스도 영 맞지 않는 모습이 많았다. 게다가 신진 3인방 중 한 명이던 채태인5월 3일 경기에서 세기의 지름길 개척을 시전하면서 이 때부터 채태인의 평이 급격히 나빠지기에 이른다. 그래도 시즌 초반부터 류중일 감독이 선수들의 부상 관리를 철저히 해주었고, 또한 때마침 4강권에 두산 베어스누구 때문에 자멸하는 모습을 보이는 등 상대적으로 2012년보다는 상위권에서 시즌 초반을 보냈다. 그러다가 여름이 오자 역시 올라갈 팀은 올라갔다.

6월 28일, 1위로 올라섰다. 이후 전반기 막판까지 KIA와 1위 다툼을 했으나, 후반기가 시작된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광주에서 KIA를 상대로 3연전을 싹쓸이하면서 1위를 재탈환하였고, 이후 롯데, KIA, SK가 2위 쟁탈전을 벌이는 사이에 2위 그룹과 승차를 더욱 벌려 거의 1위를 굳힌 상태. 별 이변이 없는 한 5년 만의 한국시리즈 직행이 유력해졌다.

한편, 2011년 8월 10일 삼성의 프랜차이즈였고 류중일과 환상의 키스톤 콤비였던 강기웅을 16년만에 다시 불러들였다. 1996년 트레이드 파동으로 은퇴하고 이 일 저 일 다하면서 먼 길을 갔던 강기웅을 다시 데려온 것이다. 류중일 감독의 힘도 컸겠지만 2011년 들어서 프랜차이저들을 대거 코치로 기용하고 챙기려는 삼성의 행보에 팬들의 환호도 컸다. 강기웅은 2군 타격코치로 활동하게 되었다. 이로써 1루수 김성래, 2루수 강기웅, 유격수 류중일, 3루수 김용국으로 이어지는 철벽 내야 수비진이 다시 힘을 합치게 되었다.

9월 27일, 두산을 5:2로 꺾으면서 2011년 페넌트레이스 우승을 확정지었다. 이로써 2006년 이후 5년만에 한국시리즈 직행이 확정되었다.

4. 2011 한국시리즈[편집]


삼성 라이온즈 왕조의 시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1년 한국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1년 한국시리즈에서 SK 와이번스에게 4승 1패로 통합우승을 달성해내며, 왕조의 시작을 알렸다!


5. 2011 아시아 시리즈[편집]


KBO 구단들 중 유일무이한 아시아 제패.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11 아시아 시리즈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011 아시아 시리즈 결승전에서, 소프트뱅크 최정예 1군을 상대로 5:3으로 승리해내며 KBO 프로야구팀 사상 최초이자 마지막 우승을 차지했다!

6. 시즌 총평[편집]


삼성 라이온즈 왕조의 시작이자, 페넌트레이스 - 한국시리즈 - 아시아시리즈 3관왕을 이루어낸 시즌이다.

2011년 삼성은 류중일 감독 체제 이후로 나름대로 "공격적인 야구"를 추구했다. 그러나 이미 타선은 선동열 전 감독의 지휘 하에 막장이 되어있던 상황.[6] 이에 류중일 감독은 "달리는 야구"로 타선을 어느 정도 만회했고, 이는 2011 시즌 삼성이 팀 도루 1위(163개)로 2위 두산(130개)를 크게 앞질렀다는 기록이 증명한다. 거기에 강화된 타선의 집중력으로 팀 타율은 6위임에도 불구하고 팀 득점 2위로 시즌을 마무리했다.

파일:2011삼성불펜.jpg
투수 부문에서 류중일은 오치아이 코치에게 전권을 위임했고, 오치아이 코치는 선동열 전 감독과 달리 선발을 최대한 길게 끌고 가는 스타일. 초반에는 투수 교체 타이밍이 늦어 삼성 팬들에게 욕을 많이 먹었지만 어쨌든 시즌 내내 불펜진은 과부하가 걸리지 않음으로써 최상의 컨디션을 유지했고 이에 오승환의 부활이 더해져 한국프로야구 역사상 최강의 불펜진을 구성했다. JOKKA 라인만큼은 리그에서 전지전능에 가까웠다고 보면 편하다.

선발에서는 딱히 눈에 띄는 에이스가 없었지만 그렇다고 선발진이 탄탄하지 못한 것은 아니었다. 윤성환은 전년도 부진을 떨쳐냈으며 차우찬과 원투펀치로 활약했다. 류중일 감독은 시즌 내내 5~6선발 체제를 고집했고, 그 결과 배영수를 제외하면 모두 양호한 성적이었다. 정인욱은 선발로써 충분한 가능성을 보여주었다.

야수진에서는 최형우가 홈런왕을 차지했으며, 김상수도 한 단계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또한, 주전 중견수이자 1번타자인 배영섭을 발굴했으며, 배영섭은 2011년 신인왕에 올랐다.


7. 선수별 개인 성적[편집]


  • 진한 표시는 리그 5위내 성적. 붉은 글씨는 1위 입상 성적.
  • 투수는 이닝이 많은 순서대로, 타자들은 타수가 많은 순서대로.
  • 타자들의 포지션에서 괄호 안은 선발출장 수. 포지션 순서는 선발출장이 많은 순서대로.

7.1. 투수[편집]


  • 우완
 이름경기수선발등판이닝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1윤성환2423137⅓14
(5위)
5003.54
(5위)
1513383
25배영수251710368015.421273347
16카도쿠라161686⅓56004.07923662
28안지만4758611
(8위)
5017
(7위)
2.83742477
40정인욱3198062002.25563660
19정현욱59072⅓43124
(2위)
2.36703452
44매티스101064⅓52002.52593432
21오승환540571047
(1위)
00.63271176
42이우선3505100003.35471735
45권오준53048⅓110112.79481252
35저마노8845⅓51002.7845629
41임진우11014⅓00004.4017610
46김효남604⅓00000.00414
39이규대203⅓00000.00310
95명재철201⅔00000.00130
55이동걸201⅓00000.00000
37곽동훈201⅓000020.25300

  • 좌완
 이름경기수선발등판이닝세이브홀드ERA피안타사사구탈삼진
23차우찬2424148⅔106003.69
(7위)
15665114
13장원삼252111588004.151393768
47권혁58048⅓13019
(4위)
2.79382427
57임현준29017⅓20023.1220129
48박민규706⅔00008.10963
61문현정20300009.00521


7.2. 타자[편집]


  • 포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포지션
20진갑용112286.27378701042261C 100경기(87)
38채상병63109.193211139111C 62경기(29)
27현재윤3861.21313100570C 37경기(16)
32이정식85.4002000010C 8경기(1)

  • 내야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포지션
18박석민128457.27812724
(9위)
31586
(4위)
74
(8위)
33B 97경기(92)
1B 35경기(21)
DH 12선발
7김상수128406.278113164
(7위)
2475329
(6위)
SS 126경기(121)
14신명철117331.2086911223938132B 114경기(99)
26조영훈98245.245601106343371B 60경기(48)
DH 14선발
LF 7경기(0)
5조동찬85208.216457042527183B 69경기(30)
2B 25경기(18)
SS 4경기(3)
35가코58189.2434680128210DH 40선발
1B 16경기(14)
17채태인53182.22040715282511B 47경기(46)
DH 5선발
6손주인63113.265305018903B 26경기(11)
2B 31경기(10)
SS 23경기(8)
49모상기3274.189143041170DH 14선발
1B 14경기(4)
9강명구8958.17210101522192B 32경기(6)
SS 15경기(1)
3B 13경기(0)
63김정혁32.0000000000-[7]

  • 외야수
 이름경기수타수타율안타2루타3루타홈런타점득점도루포지션
34최형우133480.340
(2위)
163
(3위)
37
(2위)
330
(1위)
118
(1위)
80
(4위)
4LF 89경기(89)
DH 44선발
33박한이121429.25611019243077
(6위)
8RF 118경기(110)
CF 8경기(5)
65배영섭99340.2941001502245133
(3위)
CF 71경기(59)
LF 58경기(20)
RF 20경기(9)
67이영욱111203.23247933203714CF 104경기(50)
24강봉규52146.2673971118143LF 36경기(22)
RF 19경기(9)
DH 4선발
1B 1경기(0)
59정형식5274.23017301594CF 31경기(19)
RF 17경기(0)
LF 13경기(0)
53오정복2426.1925100340RF 9경기(2)
LF 8경기(2)
4김헌곤1112.0831000000RF 5경기(3)
LF 4경기(0)
31김종호21.0000000000RF 1경기(0)


8. 수상 및 기록[편집]



8.1. 투수[편집]




8.2. 타자[편집]


  • 배영섭 : 신인상
  • 최형우 : 골든글러브 외야수 부문[8], 홈런 1위(30개), 타점 1위(118타점), 장타율 1위(.617)


9. 여담[편집]



  • 4월 16일 두산과의 경기 중 구장에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


  • 9월 7일 장효조 2군 감독이 간암으로 투병하다가 결국 별세했다. 공석이 된 2군 감독 자리는 양일환 투수코치가 겸했다.

10. 관련 문서[편집]




11. 둘러보기 틀[편집]


||







[1] 그룹 수뇌부가 교체되면서 이뤄진 인사이동로 보는 견해가 많다. 이학수 前 부회장의 완전한 용퇴와 이재용 삼성전자 부사장이 1년만에 사장으로 승진하면서(2년 후에는 부회장으로 다시 승진했다.) 그룹 내의 권력구도가 정립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이학수 인맥인 김응용 사장(부산상고) - 김재하 단장(제일모직) - 선동열 감독(고려대)이 전부 교체되었다는 것.[2] 타격코치 겸임[3] 원래 입단 계약을 맺었지만, 정규시즌 개막 전 음주운전으로 불구속되면서 그대로 방출됐다.[4] 대학 시절에는 외야수로 출장했는데, 삼성 입단 이후에는 내야수로만 출장했다.[5] 당시 1승 47세이브, 방어율 0.63. 블론세이브는 단 1회. 마무리 투수임에도최형우, 윤석민과 함께 시즌 MVP 후보에 오를 정도로 강력한 임팩트를 보여준 시즌이었다. 자세한 것은 항목참조[6] 2011 시즌 삼성의 팀 타율은 0.258로 전체 6위.[7] 대타 및 대주자로만 출장.[8] 삼성 선수로는 2007년 이후 4년만에 나온 골든글러브 수상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