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상무대 근무지원단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제1101공병단 · 지상정보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수도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1군지사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5군지사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군사경찰단
인사사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근무지원단
3사교근무지원단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포병단 | 정보통신단 | 공병단 | 군수지원단 | 항공단 | 방공단 | 경비단 | 특수임무단 | 동원지원단 | 근무지원단 |}}}}}}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상무대 근무지원단
尙武臺勤務支援團
Sangmudae Service Support Group
파일:육군교육사령부 부대마크.svg
창설일2011년 7월(상무대 근무지원단)
별칭상무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육군교육사령부
규모
역할상무대 근무 지원
단장대령 이찬우(육사 54기)
위치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3.1. 직할 부·실·대
4. 과거 부대
5. 출신 인물
5.2. 장교/부사관
5.3. 병
6. 기타
6.1. 근무환경
6.2. 단가
7. 관련 문서


상무대 5개 병과학교의 기간병 및 교육자원에 대한 수송지원
상무대 5개 병과학교의 기간병을 지원
상무대 주둔 부대에 대한 의무지원
상무대 주둔 부대에 대한 군악대 행사 지원
상무대 지역 경계 임무



1. 개요[편집]


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를 근거지로 하는 육군교육사령부 소속으로 2011년 7월에 창설되었으며 약칭은 상근단.


2. 상세[편집]


전라남도 장성군 상무대에 위치하고 있는 부대로 상무대에 주둔한 각 부대에 대한 지원임무를 맡는다.

상무대 근무지원단 전신은 육군보병학교 근무지원단이며 상무대에 위치한 육군보병학교, 육군포병학교, 육군공병학교, 육군기계화학교, 육군화생방학교들의 본부근무대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각 병과학교의 본부근무대를 분리, 통합시켜 단급 부대인 근무지원단으로 창설하였으며, 근무지원단장의 계급은 연대장과 같은 대령이다.

기존의 보병학교 근무지원단에 속한 수송, 의무, 군악, 경비중대에 더하여 각 학교의 본부근무대가 통합됨으로서 전투근무지원 및 행정지원업무를 완전히 전담하게 되었고 각 병과학교는 학교 본연의 교육훈련 임무에만 주력하게 되었다.

2011년도 7월, 부대개편이 되면서 소속이 육군교육사령부 예하로 바뀌면서 부대마크도 보병학교 마크에서 새로이 상급부대가 된 교육사령부 마크로 교체되었다.

5개 병과학교 뿐만아니라 제51군수지원단, 제190공병대대, 제57정보통신대대 등 상무대 영내에 위치한 부대에 대한 지원 업무도 맡고 있다.


3. 예하부대[편집]



3.1. 직할 부·실·대[편집]


  • 운영과
  • 시설과
  • 재정과
  • 군종실
  • 정보체계지원실
  • 지원대
  • 의무대
  • 군악대


3.2. 수송대대[편집]



상무대 근무지원단 수송대대는 계룡대 근무지원단 수송대대, 국방부 근무지원단 정비수송대대와 함께 전군에서도 손꼽히는 규모의 수송 부대로 대형버스만 해도 수십대 이상 보유하고 있다. 애초에 수송대대라는 이름에서 그 규모를 짐작할 수 있다.


4. 과거 부대[편집]



5. 출신 인물[편집]



5.1. 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상무대 근무지원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육사 00기단장
11대송병일예) 준장학군 25기[1]단장
12대임태규준장육사 46기제1공병여단#
13대조병윤준장육사 47기제7공병여단#
14대김태완대령육사 48기제5공병여단#
15대심보훈대령단장#
16대백인철대령단장
17대이인철#군인대령단장
18대이찬우대령육사 54기단장


5.2. 장교/부사관[편집]



5.3. 병[편집]



6. 기타[편집]



6.1. 근무환경[편집]



6.2. 단가[편집]


상무대 근무지원단가가 따로 존재하기는 하나 군악대 연주회 등의 특별한 행사를 제외하고는 들을 일이 거의 없으며, 점호나 일일방송 간에는 상급 부대의 부대가인 교육사령부가가 연주된다.


7.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15:12:50에 나무위키 상무대 근무지원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