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15항공단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 공군의 비행단에 대한 내용은 제15특수임무비행단 문서
제15특수임무비행단번 문단을
제15특수임무비행단# 부분을
, 상징명칭(불사조)이 같은 부대에 대한 내용은 불사조부대 문서
불사조부대번 문단을
#s-번 문단을
불사조부대#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제1101공병단 · 지상정보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수도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1군지사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5군지사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군사경찰단
인사사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근무지원단
3사교근무지원단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포병단 | 정보통신단 | 공병단 | 군수지원단 | 항공단 | 방공단 | 경비단 | 특수임무단 | 동원지원단 | 근무지원단 |}}}}}}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제15항공단
第15航空團
The 15th Aviation Group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21215010131.jpg
공중화력과 기동력! 지상작전에 기여하는 15항공단!
창설일1950년 10월 25일(제15항공단)
상징명칭불사조부대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5군단[1]
종류
역할5군단 항공지원
단장대령 공석 (육사 55기)

1. 개요
2. 소개
3. 예하 부대
4. 출신 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부대가
6. 사건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제5군단 직할 항공지원부대이다.[2]


2. 소개[편집]


대한민국 육군의 항공 부대. 제5군단 소속 부대이다.

5군단 직할부대로써 부대 마크는 5군단 마크를 사용한다.

2018년 9월 말에 공식적으로 육군항공사령부에서 제5군단으로 직할부대로 변경 되었다.


3. 예하 부대[편집]


  • 제103항공대대
경기도 가평군에 위치하고 있다.
AH-1S 운용
  • 제201항공대대
경기도 포천시 포천비행장에 위치하고 있다.
KUH-1 운용
  • 제513항공대대
경기도 포천시 포천비행장 이동비행장에 위치하고 있다.
MD500 운용

4. 출신 인물[편집]



4.1. 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15항공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단장
00대박인수예) 대령단장
00대장대상예) 준장육군항공학교
13대이영환예) 대령육사 42기단장
00대김용대대령단장
18대윤병기대령단장
00대000대령단장공석


4.2. 장교/부사관[편집]


최점현 태권도9단, 전 육군중령, 국민의힘 전 선대위 보훈 상임위원장

4.3. 병[편집]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5.2. 부대가[편집]


15 항공단가

눈부신 태양아래 젊음을 싣고
푸른창공나래 펴는 성난독수리
영원 무궁 조국에 첨병이되어
번개치고 뇌성쳐도 날아오른다
보아라 자랑스런 15항공단
싸우면 이기는 15항공단


6. 사건사고[편집]



7. 여담[편집]


17년도 이전까지는, UH-1 휴이가 15 항공단의 주력기종이었다. 격납고 시설이 거의 없어서, 대부분의 기종이 활주로에 주기되어 있는 모습을 볼 수 있었다. 22년 현재는, 대부분 KUH-1 수리온으로 기종이 전환되었으며, 거대한 격납고 시설도 완비되어 있다.

헬기 운용을 주로 하는 부대지만, 지역 내에서 가장 큰 활주로를 가지고 있다보니, 공군소속의 C-130 허큘리스 수송기가 착륙하는 경우도 있다. 하지만, 흔한 광경은 아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57:10에 나무위키 제15항공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변경.[2] 항공단 야전 군단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