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6군수지원단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제1101공병단 · 지상정보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수도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제800군사경찰단
I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제801군사경찰단
II제12항공단 · 제12방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제302경비단 · 제802군사경찰단
III제13항공단 · 제13방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제303경비단 · 제803군사경찰단
V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제805군사경찰단
VII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1군지사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제8군수지원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5군지사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 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항공단
동원사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50동원지원단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군사경찰단
인사사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교근무지원단
3사교근무지원단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포병단 | 정보통신단 | 공병단 | 군수지원단 | 항공단 | 방공단 | 경비단 | 특수임무단 | 동원지원단 | 근무지원단 |}}}}}}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제6군수지원단
第6軍需支援團
6th Logistic Support Group
파일:제1군수지원사령부 부대마크.svg
창설일2019년 1월 2일(제6군수지원단)
상징명칭
소속대한민국 육군
상급부대제1군수지원사령부
종류
역할경기도 중부전선 일대 군수지원
단장대령 OOO(학사 00기)
위치경기도 남양주시


1. 개요
2. 특징
3. 예하부대
3.1. 단 본부중대
3.2. 제6급양대
3.3. 제16보급대대
3.4. 제56탄약대대
3.5. 제606수송대대
3.6. 제76정비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6. 사건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제6군수지원단은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신도시에 위치한 제1군수지원사령부 소속의 제5군단, 제7군단 지역의 군수지원을 담당하는 단급 기행부대이다.


2. 특징[편집]


2019년 1월 1일, 제1야전군사령부제3야전군사령부가 통합되어 지상작전사령부가 창설되어 군수부대 개편에 따른 지휘구조 변경[1] 에 따라 제2군수지원사령부에서 일부 부대를 받아 1월 2일 창설되었다.

2022년 10월 1일, 제6군단이 해체되어 제5군단과 제7군단, 육군항공사령부 일부 부대의 지원부대로 변경되었다.

단장직은 대령이 보임된다.


3. 예하부대[편집]


단 본부중대, 6급양대, 16보급대대, 606수송대대, 56탄약대대, 76정비대대


3.1. 단 본부중대[편집]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동에 위치하고 있다. 舊 제71보병사단 사령부 및 연대들의 후적지에 자리잡았다.

6급양대 건물 좌측을 사용한다.

주 업무는 영내 주둔지와 6군지단본청을 경비하는 역할과 6급양대 식자재 운송 업무를 담당한다. 사실상 경비중대이다.


3.2. 제6급양대[편집]


경기도 남양주시 별내신도시에 있으며 6군수지원단 영내에 위치하고 있다. 본래는 퇴계원읍 진관교 앞에 있었으나 롯데그룹이 운영하던 성주 골프장에 사드가 배치되면서 이에 따라 부지를 교환했고, 급양대가 단 영내로 들어왔다.

2021년 12월에 제7급양대에서 제6급양대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원래 7군수지원단에 6급양대가 있고 6군수지원단에 7급양대가 있었는데, 지원 부대를 명확히 하고자 두 부대가 상호 간의 부대 명칭을 교환했다.

부대 특성상 상급부대인 단본부중대와 같은 영내에 있으므로 단본부중대의 훈련이 있을 경우 제6급양대도 훈련을 같이한다. 그리고 편제상 명목상으로는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중대가 없다.


3.3. 제16보급대대[편집]


경기도 양주시 덕정역에 위치하고 있다. 막사는 최근에 지어진 신막사라서 시설은 좋은 편이다.

그러나 2024년 양주신도시 택지지구 사업으로 인한 개발로 인해서, 6군지단 영내로 이전할 예정이다.

  • 본부중대
  • 162중대(2종보급)
  • 163중대(3종보급): 영외에 있는 독립 중대로서 단 본부 인근에 있으나 제6군수지원단 영지와는 떨어져 있다. 2023년 1월 1일 이전까지는 153중대로서 제5군수지원여단 예하부대로 있었으나, 부대 개편으로 덕정역에 있는 현 153중대와 상호교환 되었다.
  • 164중대(4종보급)


3.4. 제56탄약대대[편집]


경기도 남양주시 진접읍에 위치하고 있다.

  • 대대본부
  • 본부소대
  • 561중대
  • 562중대: 포천시 양문리에 떨어져 있는 독립 중대이다.
  • 경비중대

5군수여단 시절에는 3중대와 4중대도 있었다.

본래 5군수지원여단 소속 55탄약대대였으나 2021년 12월부로 소속이 6군수지원단으로 변경되면서 56탄약대대가 되었고 구 56탄약대대는 55탄약대대가 되었다


3.5. 제606수송대대[편집]


경기도 포천시 동교동에 있다.

포천이지만 양주 옥정 신도시 중심 상권까지 차로 20분 송우리 시내까지 10분, 의정부역까지 30분 내로 의정부에서도 출퇴근할 수 있다.

25년 남양주 별내로 주둔지 이전이 계획되어 있다.

3.6. 제76정비대대[편집]


인천광역시에 위치하고 있다. 2021년 5월 21일 90정비대대가 차량 무사고 3000일을 달성했다. 혼자 이상하게 인천에 떨어져 거의 독립대대 수준이다.

  • (구)제90정비대대: 2021년 5월 21일 90정비대대가 차량 무사고 3000일을 달성했다.

  • 제76정비대대: 2021년 12월 1일부로 부대개편으로 90정비대대에서 76정비대대로 부대명칭 변경되었다.


4. 출신인물[편집]


유튜버 개복어 2006~2008년에 제90정비대대에서 군복무.


4.1. 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6군수지원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차현석대령육사 50기단장前 75보병사단 참모장
2대김진평준장학군사관 00기단장
3대변구완대령학사장교 00기단장
4대홍종용대령학사장교 00기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5. 기타[편집]




6. 사건사고[편집]



7. 여담[편집]


  • 제71보병사단이 해체된 후, 사단 후적지에 단 본부가 신설되었다.
  • 과거 71사단 시절부터 운영되던 교회는 단 본부 뒤에 있으며[2], 성당은 사단 위병소 옆에 그리고 절은 독신숙소 근처에 있다.
  • 불암산 등산로 기점에 위치하고 있어 주말에는 등산객들이 부대 옆을 많이 지나간다.
  • 202, 1155, 81, 82B이 위병소 바로 앞을 지난다.
  • 원래 부대 주변은 평범한 농촌이었으나 2010년대 초반부터 바로 옆에 별내신도시가 들어서면서 부대 근처 분위기가 많이 달라졌다. 신도시와 바로 맞닿은 어떤 중대 생활관에서 근처 아파트가 보인다.
  • 같은 영내에 국군화생방방호사령부 예하 제23화생방대대가 자리한다. 시기 상 23대대가 도봉구에서 먼저 이전해왔고, 여기에 6군수지원단이 추가로 들어선 것이다.[3]
  • 탄약고에서 야간에 근무 서면서 얘기하면 앞에 있는 불암 아파트에 다 들린다.[4][5]
  • 초소 길이 산길이라 특정 초소와 초소 사이는 한 없이 긴 오르막길이 있고, 다른 초소와 초소 사이에는 계단이 많고, 중간에 하천도 있어 넘어지면 최소 응급실에서 운이 나쁘면 사망할 수도 있다.
  • 위의 초소 길은 행군 코스이므로 행군시 절대 뜀걸음을 하지 않으며, 천천히 바닥을 보면서 걸어야 한다. 다시 말하지만 조심히 걷지 않으면 응급실로 실려가며 길 특성상 차량 진입이 불가능하므로 부상 당해도 두 발로 걸어서 가야만 한다. 매 행군 때마다 발목을 접지르는 환자가 생긴다.
  • 영내 뒤에 불암유격장이 있는데 제7포병여단, 육군사관학교, 1군지사나 다른 군지여단 예하 부대 등이 유격훈련을 받으러 온다.
  • 군지단에 PX가 한개뿐인데 단본부중대, 6급양대와 23화생방대대 3개가 같이 써야 해서, 냉동을 먹는 게 헬게이트 수준이다. 사실 이건 3개 연대가 1개 PX를 공용하던 71사단 시절부터 이어진 문제이며, 이후에도 예전에 있던 PX를 그대로 확장하지 않으면서 생긴 문제이다.



[1] 야전군을 지원하는 사단급 기능사령부인 2, 3 군수지원사령부 해체 및 군단을 지원하는 여단인 1, 5 군수지원여단 개편. 그 과정에서 남는 부대들은 수도, 6, 7 군수지원단으로 개편하여 1군수지원사령부 예하로 편제.[2] 지금도 운영 중이다.[3] 舊 71사단 포병연대 후적지는 국군복지단에게 밀린 제55동원지원단이 구리에서 넘어와서 차지했다.[4] 불암아파트는 5공 시절에 71사단(정확히는 더 이전에 있던 57사단) 때문에 건설된 군인아파트로, 사단 및 예하부대 부지에 넓게 퍼져있다. 등산로 근처/영내/포병연대 근처로 나눠져 있다. 이후 71사단 해체 과정에서 영내 일부 동만 남겨서 리모델링했고, 영외 동들은 사실상 방치되고 있다. 마땅한 활용 방안도 없어서, 문제가 생기지 않을 정도로만 기초적인 관리만 하고 있다.[5] 아파트가 워낙 시설이 낙후된 탓에, 인근 육사 아파트에서 거주하며 출퇴근하는 간부들도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