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샤헤드-129

덤프버전 :




1. 개요
2. 개요
3. 제원
4. 상세
5. 실전
5.1. 2006년 레바논 전쟁
6. 사용 국가
6.1. 이란
6.2. 러시아
6.3. 시리아
6.4. 헤즈볼라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 개요[편집]


샤헤드-129 소개 영상
샤헤드-129는 이란이 개발한 최초의 UAV이다. 이란판 MQ-1 프레데터에 해당한다.
페르시아어 발음은 샤히드(شاهد)이며 직역하면 증인이라는 뜻인데 또 다른 의미로는 순교자라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3. 제원[편집]


분류무인 공격기
임무전투,정찰 임무
제조사이란항공기제조산업공사(HESA)
첫 비행2012년
승무원없음(무인기)
길이8m
높이3.1m
탑재량400kg,신형은 500kg
엔진Rotax 914 4기통
순항속도150km/h
최대속도350km/h
항속거리1,700km,신형은 3,000km


4. 상세[편집]


2005년에 개발을 시작하고 2012년에 테헤란에서 프로토타입이 공개되었는데 현재와 형태가 약간 달랐다.

이란의 HESA(이란 항공기 제조 산업 공사)가 MQ-1 프레데터를 참고하여 개발했으며, 뒤에 달린 3날 프로펠러가 추진력을 담당하고 엔진은 로텍스 914 4기통을 사용한다.항속거리는 1700 km로서, 24시간 비행할 수 있다.

2016년 2월에 현재 형태의 샤헤드-129가 공개되었다.이란 소식통에 따르면 UAV의 범위를 확장할 위성 항법 장치가 장착되어 있으며,탑재량은 100kg 증가하고 항속거리는 3000km로 늘어났다고 한다.

사디드-1 미사일 8발 또는 코사르 미사일 2발을 탑재할 수 있는데, 코사르는 무게 100 kg이므로 사디드-1은 무게 25 kg으로 추정할 수 있다. 이는 무게 20 kg인 그리핀 미사일 6발을 탑재하는 미국의 MQ-1 프레데터 보다 약간 대형임을 의미한다.

현재 많은 중동 국가에서 운용하고 있다.

미국의 RQ-170 추락사건에서 입수한 기체가 개발에 많은 도움이 됐다고 한다.#


5. 실전[편집]



5.1. 2006년 레바논 전쟁[편집]


레바논 전쟁에서 헤즈볼라가 코사르 미사일 2발을 발사하였는데 1발이 이스라엘의 INS 하닛 초계함을 명중하여 심각한 손상을 입혔다.

5.2. 시리아 내전[편집]


2017년 6월 8일에 샤헤드-129 1기가 알탄프 근처의 미군 주도의 연합군 기지에 대한 공습을 했으나 미국의 F-15E Strike Eagle에 의해 격추되었다.


6. 사용 국가[편집]



6.1. 이란[편집]


현재 총 40대가 주문되었으며 인도는 2024년까지 완료될 예정이다.1년에 약 3대가 제작되는 걸로 추정되고 있다.


6.2. 러시아[편집]


2022년에 약 46대의 드론을 공여받았다는 소문이 있으며 2023년 2월에 추가로 러시아 해군이 이란에게서 약 18대의 샤헤드-129와 샤헤드-191을 테헤란에서 공여받았다. # # 2022년 8월 5일 우크라이나 관리들은 러시아군이 우크라이나의 전투에서 이 드론을 운용하고 있음을 확인했으며, 그 중 일부는 샤헤드-129의 구형 모델로 보고되었다.


6.3. 시리아[편집]


시리아 정부군을 지원하는 이란이 2017년에 5대 이상의 샤헤드-129를 시리아에 배치하였다.현재는 20대 이상의 샤헤드-129를 운용중이다. 일부는 다마스쿠스에서 정찰 임무를 맡고, 일부는 시리아 내전에 투입시켰다.


6.4. 헤즈볼라[편집]


소정을 지원받아 운용중이다.


7. 둘러보기[편집]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Ka-60}
수송헬기Mi-26, Mi-38
공격헬기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MiG-29(A/C/S/UB/M/M2/SMT/K)/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Su-57/{Su-57K}, MiG-LMFS?, {Su-75}
6세대{MiG-41}
공격기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전략폭격기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PAK-DA}
수송기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PAK-TA}
지원기조기경보기A-50, {A-100}
해상초계기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Tu-214SUS
공중급유기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Be-200ES
무인기UAV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프롭Yak-152
제트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0:08:25에 나무위키 샤헤드-129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