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샤헤드-136

덤프버전 :




파일:Shahed-136.jpg
شاهد ۱۳۶

1. 개요
2. 제원
3. 실전
4. 평가
5. 관련 무기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샤헤드-136의 작동 원리
이란의 이란항공기제조산업공사(HESA)에서 개발 및 제조한 자폭드론이다. 페르시아어 발음은 샤히드이며, 우크라이나에서도 샤히드라 부른다. 샤히드(شاهد)는 직역하면 증인이라는 뜻인데 또 다른 의미로는 순교자라는 의미도 있다고 한다. 어떻게 보면 자폭 무인기라는 컨셉에 잘 들어맞는 이름이다.


2. 제원[편집]


۱۳۶ شاهد
전장3.5m
전폭2.5m
중량200kg[1]
엔진MD-550 피스톤 엔진
최고속도185km/h(추정치)
작전반경1,800~2,500km(추정치)
탄두중량30~50kg
유도방식위성 항법, INS
발사 플랫폼JATO


3. 실전[편집]



3.1. 예멘 내전[편집]


이란의 지원을 받는 후티 반군사우디군, UAE군, 요르단군, 쿠웨이트군 등의 아랍 연합군들을 상대로 사용했다고 한다.#


3.2.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편집]


2022년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 이후 러시아 측에 지원되어서 운용 중이다. 러시아 측의 제식명칭은 제라늄을 뜻하는 '게란-2(Герань-2)'이다.

우크라이나 측이 격추한 무인기의 잔해를 통해 샤헤드-136이 러시아에 지원된 것이 알려지게 되었다. 우크라이나 측은 이에 대해 크게 반발하며 이란과의 외교 관계를 격하했다.# 이후 이란과 단교를 추진하고 있다.#

샤헤드-136은 란쳇 무인기와 함께 레이더 시스템과 화포를 각각 노리는 식으로 운용된다고 하며, 우크라이나 제92기계화여단의 포병 사령관 쿨라긴 대령은 이란제 드론이 비교적 작아 우크라이나 방공시스템이 감지하기 어렵다고 설명했다.#

우크라이나 전선에서 목격담과 오토바이 소리 비슷한 소리를 들었다는 증언이 쏟아지고 있다.영상 10월 3일에는 젤렌스키 대통령의 고향인 크리비리흐를 공격했고#, 10월 6일에는 수도 키이우 인근의 빌라체르크바 시를 공격했다.#,#,#

상당수가 중간에 추락하여 테일 넘버를 식별할 수 있는 상태로 파괴되었다.테일 넘버 모음집 이란제 무기를 연구할 수 있는 기회이므로 이란의 적성국인 이스라엘에서도 본 무기에 큰 관심을 갖고 있다.

2022년 10월 10일 젤렌스키 대통령은 키이우 공습에도 샤헤드 드론이 쓰였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 오신트에 따르면 자폭드론(카미카제)으로 말하는 걸로 봐선 샤헤드-136이 거의 확정적이다.# 이후 우크라이나 언론의 정식보도로도 샤헤드-136이 확인됐다.#

10월 13일 키이우 공습에도 샤헤드-136이 쓰였다.# 또한 빈니차에서 우크라이나 전투기가 공중에서 1기를 요격하기 위해 미사일을 쏘는 영상이 게재됐다.# 이 영상의 MiG-29는 기술적 문제로 추락했다고 하며 5기의 샤헤드를 격추했다고 한다.#

날아오는 샤헤드에 우크라이나 대공 기관총이 사격을 퍼붓는 영상도 공개됐다.# 10월 15~17일에도 키이우에 샤헤드-136을 이용한 대규모 공습이 있었다. 상당수가 격추됐지만 그래도 피해를 누적시키고 있다.#,#,#,영상 한편 우크라이나 경찰이 날아오는 샤헤드에 소총을 쏴서 격추시키려 했지만 실패하고 인근에 떨어져 폭발하는 영상이 공개됐다.#

키이우 주민들과 경찰, 군인들이 소총과 기관총으로 화망을 구성해서 샤헤드를 격추시키려는 모습이 자주 포착되고 있다.#,#

EU는 이란의 고위 인사와 샤헤드 항공에 제재를 부과하기로 결정했다.#,#,# 한편 많은 수의 샤헤드가 격추됐으나# 미처 막지 못한 러시아의 미사일과 샤헤드의 공습으로 우크라이나 발전소가 상당한 피해를 보았다.# 한편 우크라이나는 이스라엘에 방공망을 요청했으나# 이스라엘은 러시아와의 관계를 생각해서 신중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우크라이나는 한달간 161기의 샤헤드-136을 비롯한 이란 드론 166기를 격추했다고 밝혔다.# 우크라이나는 3단계 방공망을 통해 샤헤드-136을 70%정도 격추했다고 밝혔다. 다만 전투기가 드론을 격추시키는 것은 효율적이긴 하지만 비싼 미사일로 드론을 격추시키는 것은 가성비가 맞지 않는다고 답답함을 토로하기도 했다.#

2022년 10월 13일, 스페인이 자국에서 퇴역한 호크 대공미사일 4개 포대를 무인기 대응용으로 우크라이나에 제공한다고 NATO를 통해 발표했다.#

2022년 11월 들어서는 잠잠했다가 12월에 들어서 다시금 나타나기 시작했다. 동결 문제가 있다가 러시아 측에서 이를 해결했다는 주장도 있고, 1차분이 다 소진되어서 2차분이 올 때까지 텀이 있었다는 주장도 있다. 러시아판 게란-2는 친절하게도 일련번호를 동체 날개에 큼지막하게 도색하고 있다. 12월에 발견된 기체가 일련번호가 500호대로 시작해 2차분일 것이라는 조셉 뎀시의 분석이 있다.[2]

러시아와 이란이 러시아 본토에 공장을 짓고 엔진 성능을 개량한 신형 샤헤드-136을 개발하기로 합의했다.#

2023년 5월 8일 우크라이나에 60여기의 샤헤드-136 공습이 있었다. 그 중 절반 가량인 36기가 키이우를 공습했다.# 5월 28일 ~ 29일 양일간 키이우에 최대규모의 순항미사일과 샤헤드 드론을 동원한 공습이 있었다. 우크라이나군은 대부분 격추했다고 발표했다.# 이 시기 게란-2의 일련번호는 1000호대이다. 500호대에 이은 추가 도입분으로 분석된다. #

이어 2023년에는 일련번호가 리셋되고 'Ы'이 붙은 게란-2(Ы002)가 식별되었다. 조셉 뎀시는 이것이 이란 직도입분이 아닌 러시아 자체 생산분에 대한 표기일 수 있다고 보았다. # 뉴욕타임즈가 8월 10일 러시아 자체 생산 샤헤드-136에 대한 기사를 내보냈다.#

우크라이나에서는 각종 기관총과 기관포를 이용해 샤헤드를 격추시키는 대드론 방공부대도 있다고 한다.#


4. 평가[편집]


폭발력이 그렇게 크지 않고 엔진은 오토바이에서 쓰는 엔진을 써서 소리가 크다. 실제 우크라이나군이 초반에 드론이 투입됐을 때는 상당한 피해를 봤으나 추적 노하우와 격추 전술을 학습하고 난 뒤에는 우크라이나의 격추율이 올라갔다.

그러나 신종우 한국 국방안보포럼(KODEF) 사무국장은 인터뷰에서 부품 자체가 첨단 장비는 아니지만, 가성비가 뛰어난 자폭드론이라고 평가했다.# 대당 2만 달러에 불과해 가성비가 좋고# 가용범위가 960km에 달해 전략적 측면에서 러시아에 유용할 것이라고 평가되지만, 크고 속도가 느려서 기관총 같은 사격 무기에 취약한 단점도 있다.#

샤헤드가 우크라이나군에게 진짜 골치아픈 이유는 상대측인 러시아에서 싼 가격에 우크라이나를 공격할 수 있는 또다른 수단이 생겼기 때문이다. 싼게 비지떡이라고 싸구려에 걸맞게 공격용 드론으로서 성능은 빈약하지만 대량생산시 '1만 달러'까지 떨어지는 생산가#가 큰 장점이다. 즉 성능이 부족해도 그냥 많이 날려보내면 문제가 해결되기 때문.

우크라이나에서 방공망을 발동시켜서 족족 샤헤드를 격추시키려다가 저런 저가 드론을 격추시키려고 쓰는 돈이 훨씬 더 많이 들어서 수지타산이 맞지 않자 방공망 활용에서 지휘통제로 기관총 집중 사격을 통한 격추 방식으로 바꾼 것도 이 때문. 물론 수도 키이우 등 공격을 마냥 허용하기엔 피해가 더 큰 중요한 핵심 지역이나 기간 시설 등에서는 여전히 방공망을 활용해서 완벽한 격추를 추구하고 있지만 우크라이나에서도 상대적으로 값싼 드론을 격추하는 데 이용되는 방공미사일 등의 비용이 너무 커 고심하고 있다.# 한편 이렇게 격추 비용을 아끼기 위해 우크라이나 민방위 부대가 대공 사격용으로 맥심 기관총열화상 카메라도트 사이트를 이용해서 샤헤드-136 격추용으로 쓴다고 한다.#

5. 관련 무기[편집]


  • 샤헤드-131은 러시아군에 의해 '게란-1'로 명명되어 사용중이다.# 샤헤드-131은 136의 소형화 버전으로 위력은 좀 더 약하지만 가성비는 더 좋다.# 샤헤드-131의 탄두를 더 큰 피해를 주도록 새롭게 개조한 것이 확인되었다.#

  • 터보제트 엔진을 채용한 개량형이 공개됐다.#

  • 2023년 11월 검은색 도장을 하고 탄소섬유로 외피를 덮어 레이더 전파를 흡수해 방공망을 방해하는 신형 샤헤드 드론이 발견됐다.#


6. 둘러보기[편집]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현대 러시아군 항공병기 둘러보기
[ 펼치기 · 접기 ]

러시아 연방군 (1992~현재)
Вооружённые Силы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
회전익기다목적 헬기Mi-2R, Mi-6R, Mi-8(MT/MTV/PP), Ka-27/29/32, {Ka-60}
수송헬기Mi-26, Mi-38
공격헬기Mi-24, Mi-24(D/K/P/R/VP), Mi-35, Mi-28N, Ka-50/52, 카잔 ANSAT
대잠헬기Mi-14(BT/PL)
전투기
레시프롭기I-15bisR, DITR
4세대 / 4.5세대MiG-29(A/C/S/UB/M/M2/SMT/K)/MiG-35, MiG-31(M/BM), Su-27(SM/UB)해·공, Su-30(M2/SM)해·공, Su-33, Su-35S, Su-47, MiG-MFI
5세대Su-57/{Su-57K}, MiG-LMFS?, {Su-75}
6세대{MiG-41}
공격기Su-24(M/MP/MR)해·공, Su-25(SM/SM3/UB해·공), Su-32FN, Su-34
폭격기전략폭격기3MSN-1R, Tu-16R, Tu-95MS/MSM, Tu-22M3/MR, Tu-160, {PAK-DA}
수송기An-12해·공, An-12BP, An-22, An-24해·공, An-26, An-26B, An-32, An-72, An-124, Il-18(D/V), Il-62M, Il-76(M/MD/TD), Il-476, Il-114, {PAK-TA}
지원기조기경보기A-50, {A-100}
해상초계기Be-12, Tu-142, Il-38. A-40 알바트로스
정찰기Su-24MR, Il-20, Il-24, Tu-214(R/ON)
공중지휘기Il-22, Tu-214(PU/SR)
통신중계기Tu-214SUS
공중급유기Il-78M
인명구조 및 소방용 항공기Be-200ES
무인기UAV오리온, Grusha, 옐레론-3, 그라나트-4, 오를란-2, 오를란-10, 포르포스트, S-100, 란쳇-1, 란쳇-3, GSV-37 Breeze, Korsar, Fazan, BPV-500 VTOL, Ka-137, 게란-1, 게란-2, 샤헤드-129, 샤헤드-191
UCAV미코얀 스카트, {오를란-E}, {S-70 아호트니크}
훈련기프롭Yak-152
제트L-39, Yak-130
※ 윗첨자R: 퇴역 및 의장용 기종
※ 윗첨자L: 임대 기종
취소선: 개발 또는 도입 취소 기종
※ {중괄호}: 도입 예정 기종
※ 윗첨자?: 도입여부가 불확실한 기종
※ 윗첨자각군: 해당 군 운용, 별도 표기 없을 시 항공우주군





✈️ 항공병기 둘러보기
⠀[ 현대 1991~ ]⠀

북미 파일:미합중국 공군 라운델.svg
미 공군 | 미 해군
파일:캐나다 공군 라운델.png
캐나다
파일:멕시코라운델.png
멕시코
중미/카리브
파일:도미니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도미니카 공화국
파일:쿠바 라운델.svg
쿠바
파일:엘살바도르 공군 라운델.svg
엘살바도르
파일:온두라스 공군 라운델.svg.png
온두라스
남미파일:브라질라운델.png
브라질
파일:우루과이 공군 라운델.svg
우루과이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아르헨티나
파일:칠레라운델.png
칠레
파일: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볼리비아
파일:파라과이 공군 라운델.svg
파라과이
파일:페루 공군 라운델.svg
페루
파일:에콰도르 공군 라운델.svg
에콰도르
파일:콜롬비아 공군 라운델.svg
콜롬비아
파일:베네수엘라 공군 라운델.svg
베네수엘라
서유럽파일:영국 공군 라운델.svg
영국
파일:프랑스 항공우주군 라운델.svg
프랑스
파일:네덜란드 라운델.svg
네덜란드
파일:2000px-Roundel_of_Belgium_svg.png
벨기에
파일:아일랜드 라운델.svg
아일랜드
파일:룩셈라운델.svg.png
룩셈부르크
중부유럽파일:독일 공군 라운델.svg
독일
파일:폴란드 공군 라운델.svg
폴란드
파일:체코 공군 라운델.svg
체코
파일:슬로바키아 국장.svg
슬로바키아
파일:스위스 공군 라운델.png
스위스
파일:오스트리아 라운델.svg
오스트리아
파일:헝가리 공군 라운델.png
헝가리
남유럽파일:이탈리아 공군 라운델.svg
이탈리아
파일:스페인 공군 라운델.png
스페인
파일:포르투갈라운델.png
포르투갈
파일:그리스 공군 라운델.svg
그리스
파일:루마니아 공군 라운델.svg
루마니아
파일:불가리아 공군 라운델.svg.png
불가리아
파일:슬로베니아군 라운델.svg
슬로베니아
파일:크로아티아군 라운델.svg
크로아티아
파일:세르비아 라운델.svg
세르비아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공군 라운델.pn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파일: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몬테네그로
파일:북마케도니아군 라운델.svg
북마케도니아
파일:알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알바니아
파일:아르헨티나 공군 라운델.svg
키프로스
파일:튀르키예 공군 라운델.svg
튀르키예
파일:세르비아 몬테네그로 공군 라운델.svg
신유고 연방
북유럽파일:스웨덴 공군 라운델.svg
스웨덴
파일:노르웨이 공군 라운델.png
노르웨이
파일:덴마크 공군 라운델.svg
덴마크
파일:핀란드 공군 라운델.svg
핀란드
동유럽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svg
러시아
파일:우크라이나 공군 라운델.svg
우크라이나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벨라루스
파일:몰도바 공군 라운델.svg
몰도바
파일:바그너 그룹 로고.svg
바그너 그룹
동아시아파일:대한민국 국군 라운델.svg
대한민국
파일:항공자위대 라운델.svg
일본
파일:중국 인민해방군 공군 라운델.svg
중국
파일:대만 국장.svg
대만
파일:북한 공군 라운델.png
북한
파일:몽골 공군 핀 플래시.svg
몽골
동남아시아
파일:태국 공군 라운델.svg
태국
파일:베트남 공군 라운델.png
베트남
파일:말레이시아 공군 라운델.svg
말레이시아
파일:싱가포르 공군 라운델.svg
싱가포르
파일:인도네시아라운델.png
인도네시아
파일:필리핀 공군 라운델.svg
필리핀
파일:브루나이 공군 라운델.svg.png
브루나이
파일:미얀마 라운델.svg
미얀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50px-Royal_Cambodian_Air_Force_roundel.svg.png
캄보디아
파일:라오스 공군 라운델.svg
라오스
중앙아시아
파일:카자흐스탄 공군 라운델.svg
카자흐스탄
파일:우즈베키스탄 공군 라운델.svg
우즈베키스탄
파일:러시아 공군 라운델(1943-1991–2010).svg
타지키스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Air_Force_of_Kyrgyzstan.svg.png
키르기스스탄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공군 라운델.svg.png
투르크메니스탄
남아시아파일:인도 해군 라운델.png
인도
파일:파키스탄 라운델.png
파키스탄
파일:방글라데시 라운델.png
방글라데시
파일:스리랑카 공군 라운델.svg
스리랑카
파일:네팔 육군항공대 라운델.svg
네팔

아프가니스탄 (~'21)
서아시아파일:조지아 공군 라운델.svg
조지아
파일:아르메니아 공군 라운델.svg
아르메니아
파일:480px-Roundel_of_Azerbaijan.svg.png
아제르바이잔
파일:이스라엘 공군 라운델.svg
이스라엘
파일:이란 라운델.svg
이란
파일:이라크 공군 라운델.svg
이라크
파일:쿠웨이트 공군 라운델.svg
쿠웨이트
파일:시리아 공군 라운델.svg
시리아
파일:레바논 공군 라운델.svg
레바논
파일:요르단 공군 라운델.svg
요르단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공군 라운델.svg
사우디아라비아
파일:아랍에미리트 공군 라운델.svg
아랍에미리트
파일:카타르 공군 라운델.svg
카타르
파일:480px-Roundel_of_Bahrain.svg.png
바레인
파일:오만 공군 라운델.svg.png
오만
파일:예멘 라운델.svg
예멘
오세아니아
파일:호주 공군 라운델.svg
호주
파일:뉴질랜드 공군 라운델.svg
뉴질랜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Papua_New_Guinea_roundel.svg.png
파푸아뉴기니
북아프리카
파일:이집트 공군 라운델.png
이집트
파일: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리비아
파일:튀니지 공군 라운델.svg
튀니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00px-Algeria_A-F_Roundel.svg.png
알제리
파일:모로코 공군 라운델.svg
모로코
파일:자유 리비아 공군 라운델.svg
자유 리비아 (~'11)
동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of_the_Sudanese_Air_Force.svg.png
수단
파일:에티오피아 공군 라운델.svg
에티오피아
파일:지부티 공군 라운델.svg
지부티
파일:소말리아 공군 라운델.svg
소말리아
파일:케냐 공군 라운델.svg
케냐
파일:탄자니아 공군 라운델.svg.png
탄자니아
파일:모잠비크 공군 라운델.svg
모잠비크
파일:우간다 공군 라운델.svg
우간다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Roundel_Rwanda.svg.png
르완다
파일:마다가스카르 공군 라운델.svg
마다가스카르
파일:코모로 공군 라운델.svg.png
코모로
서아프리카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400px-Roundel_of_the_Nigerian_Air_Force.svg.png
나이지리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Roundel_of_the_Senegalese_Air_Force.svg.png
세네갈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20px-Roundel_of_the_Niger_Air_Force.svg.png
니제르
파일:말리 공군 라운델.svg
말리
파일:기니 공군 라운델.svg
기니
파일:모리타니 공군 라운델.png
모리타니
파일:가나 공군 라운델.svg
가나

토고
중아프리카
파일:차드 공군 라운델.svg
차드
파일:카메룬 공군 라운델.svg.png
카메룬

가봉
파일:콩고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 공화국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공군 라운델.svg
콩고민주공화국
파일:앙골라 공군 라운델.svg
앙골라
남아프리카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공군 라운델.svg.svg
남아공
파일:보츠와나 공군 라운델.svg
보츠와나
파일:나미비아 공군 라운델.svg.png
나미비아
파일:레소토 공군 라운델.svg
레소토

잠비아
파일:짐바브웨 공군 라운델.svg
짐바브웨

⠀[ 제트전투기의 계보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0:08:25에 나무위키 샤헤드-136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탄두 포함[2] 북한의 경우 화성-12 등에서 미사일 일련번호를 뒤섞는 등 별의별 기만전술을 펼친 바 있는데, 이에 비하면 러시아군이 순진(...)하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