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귀포시(선거구)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이 문서는 국회의원 선거구에 대해서 다루고 있습니다.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서귀포시 문서
서귀포시번 문단을
서귀포시#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관련 문서 아이콘.svg   관련 문서: 서귀포시/정치
,
,
,
,
,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국회선거구
파일:국회휘장.svg
서귀포시
대륜동, 동홍동, 남원읍, 표선면 등
西歸浦市
Seoguipo
||
파일:국회선거구 서귀포시.svg
선거인 수181,386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제주특별자치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서귀포시 전역
대륜동, 동홍동, 서홍동, 대천동, 송산동, 영천동, 예래동, 정방동, 중문동, 중앙동, 천지동, 효돈동, 남원읍, 대정읍, 성산읍, 안덕면, 표선면
신설년도2008년
이전 선거구서귀포시·남제주군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위성곤




1. 개요[편집]


2006년 제주특별자치도 출범에 따라 신설된 선거구다. 이전의 선거구인 서귀포시·남제주군과는 행정구역상 차이가 없다. 현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위성곤 의원이다.

대한민국 국회의원 선거구 중 최남단 선거구이다. 선거관리위원회의 선거구 리스트에서 가장 마지막에 오며[1] 선거방송에서도 결과 발표가 제일 늦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강보성
ta-hash-start=w-8afc0327c6d499ed20c99d2a2502c7b9[[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서귀포시·남제주군
14대변정일
무소속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
15대
ta-hash-start=w-b4a3c653ae58ddb2b96bd00536fb0620[[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
16대고진부
ta-hash-start=w-26c2cea56d0bc574a2215095b727b56e[[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
17대김재윤
ta-hash-start=w-8f047b38280e17991af74f09b722e28d[[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
18대
ta-hash-start=w-b9bfa33d7db02d23b9ee762672dbf850[[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서귀포시
19대
ta-hash-start=w-faabf1c1f629e5ab72fcc8f11b462df5[[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5년 11월 12일[2]
20대위성곤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대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2.1. 서귀포시·남제주군 (13~17대)[편집]



2.1.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일원, 남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지순(姜志淳)34,518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1.92%낙선
2강보성(姜普性)43,8851위

ta-hash-start=w-e41ca9097b60bdb7c752d6d8867781a8[[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53.30%당선
3김홍수(金弘守)3,9223위

ta-hash-start=w-947772e76300bb2081fa5931075b645a[[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4.76%낙선
선거인 수99,782투표율
83.85%
투표 수83,663
무효표 수1,338


2.1.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일원, 남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보성(姜普性)34,6882위

ta-hash-start=w-39ea40e164f970c54b0530436d5a9f7a[[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0.25%낙선
2강승훈(姜勝勳)11,6783위


13.55%낙선
3변정일(邊精一)39,8111위

무소속

46.19%당선
선거인 수109,242투표율
80.03%
투표 수87,422
무효표 수1,245


2.1.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일원, 남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변정일(邊精一)28,3631위

ta-hash-start=w-4ceefb51ae9ec399a69540c895f4519f[[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34.12%당선
2고진부(高珍富)25,8452위

ta-hash-start=w-580dd25a73c667f68717d0c233bb1ae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31.09%낙선
3강익조(姜益造)3,5385위
4.25%낙선
4김문탁(金文卓)20,2533위
24.36%낙선
5김용기(金容基)5896위
0.70%낙선
6오진우(吳鎭宇)4,5324위
5.45%낙선
선거인 수114,068투표율
75.16%
투표 수85,732
무효표 수2,612
참고로 이 선거가 현재까지 해당 선거구에서 보수정당 후보가 당선된 마지막 선거이다.


2.1.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남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변정일(邊精一)34,9672위
43.68%낙선
2고진부(高珍富)43,2631위
54.04%당선
4조현필(趙玹弼)1,8213위
2.27%낙선
선거인 수116,758투표율
69.86%
투표수81,571
무효표수1,520


2.1.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남제주군
서귀포시, 남제주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변정일(邊精一)28,1642위
40.44%낙선
3김재윤(金才允)41,4661위
59.55%당선
선거인 수116,377투표율
61.49%
투표 수71,562
무효표 수1,932

2.2. 서귀포시 (18대~현재)[편집]



2.2.1.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
서귀포시 일원[舊서귀포시][舊남제주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윤(金才允)28,8551위
43.53%당선
2강상주(姜相周)26,3332위
39.73%낙선
3오영삼(吳永三)2,5334위
3.9%낙선
4현애자(玄愛子)7,6493위
11.54%낙선
6신명수(申明秀)8635위
1.3%낙선
선거인 수117,236투표율
57.00%
투표 수66,820
무효표 수532

18대 총선 제주 서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김재윤강상주현애자
득표수
(득표율)
28,855
(43.53%)
26,333
(39.73%)
7,649
(11.54%)
+2,522
(△3.80)
57.00%
송산동45.59%46.77%5.61%▼1.1851.96
정방동41.17%52.19%4.37%▼11.0247.78
중앙동48.86%43.98%4.28%△4.8849.54
천지동44.34%42.77%10.82%△1.5752.22
효돈동[3]82.35%13.45%2.64%△68.9070.17
영천동51.67%38.92%6.33%△12.7555.62
동홍동52.65%39.82%5.54%△12.8355.31
서홍동[4]46.44%44.87%6.09%△1.5752.04
대륜동[5]34.75%57.45%6.10%▼22.7062.90
대천동38.34%49.85%10.16%▼11.5157.83
중문동42.58%47.19%8.08%▼4.6155.59
예래동41.05%49.79%6.94%▼8.7461.71
대정읍25.79%31.22%39.44%▼8.2255.84
남원읍[6]47.79%27.60%7.17%△20.1958.02
성산읍38.62%45.35%10.67%▼6.7352.71
안덕면36.69%43.45%15.68%▼6.7658.34
표선면45.89%34.75%10.27%△11.1454.18
후보김재윤강상주현애자격차
부재자투표40.94%39.78%12.33%△1.16

2.2.2.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
서귀포시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지용(姜志勇)22,7283위
31.24%낙선
2김재윤(金才允)26,9921위
37.10%당선
6문대림(文大林)23,0252위
31.65%낙선
선거인 수121,095투표율
60.78%
투표 수73,603
무효표수858

19대 총선 제주 서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강지용김재윤문대림
득표수
(득표율)
22,728
(31.24%)
26,992
(37.10%)
23,025
(31.65%)
+3,967
(▲5.45)
60.78%
송산동48.98%34.77%16.25%△14.2155.11
정방동51.26%32.22%16.52%△19.0446.72
중앙동46.37%35.57%18.06%△10.8051.19
천지동46.16%35.77%18.07%△10.3952.79
효돈동16.42%78.17%5.41%▼61.7570.39
영천동38.29%41.38%20.33%▼3.0957.43
동홍동35.19%44.14%20.67%▼8.9557.87
서홍동36.73%41.50%21.77%▼4.7756.13
대륜동41.99%37.93%20.08%△4.0659.22
대천동34.56%38.29%27.15%▼3.7361.30
중문동30.53%37.33%32.14%▲5.1958.32
예래동37.28%34.33%28.39%△2.9561.03
대정읍13.83%11.74%74.43%▽60.6071.39
남원읍30.21%48.08%21.71%△2.5961.32
성산읍37.01%34.42%28.57%▼11.9155.61
안덕면23.99%22.99%53.02%▽29.0363.00
표선면28.01%35.31%36.68%▼1.3759.91
후보강지용김재윤문대림격차
국내부재자투표23.52%52.81%23.67%▲29.14
국외부재자투표26.98%57.14%15.87%▼30.16
강정마을 해군기지 논란이 이 지역 선거의 주요 이슈로 떠올랐고, 그 여파로 새누리당 지지율이 바닥으로 떨어졌다. 그 결과 야권 분열이라는 변수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7] 강지용 후보는 당선되지 못하였고, 무소속 문대림 후보에게도 밀려 3위를 기록했다.

2.2.3.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
서귀포시 일원[舊서귀포시][舊남제주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지용(姜志勇)37,0972위
46.47%낙선
2위성곤(魏聖坤)42,7191위
53.52%당선
선거인 수135,767투표율
59.79%
투표 수81,185
무효표 수1,369

20대 총선 서귀포시 개표 결과
정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강지용위성곤
득표수
(득표율)
37,097
(46.47%)
42,719
(53.52%)
-5,622
(▼7.05)
59.79%
송산동51.59%48.41%△3.1857.59
정방동50.74%49.26%△1.4851.48
중앙동51.02%48.98%△2.0454.38
천지동49.19%50.81%▼1.6256.29
효돈동46.60%53.40%△6.8065.00
영천동44.38%55.62%▼11.2458.92
동홍동35.28%64.72%▼28.3461.35
서홍동40.87%59.13%▼18.2659.57
대륜동45.79%54.21%▼8.4261.32
대천동41.96%58.04%▼16.0856.98
중문동43.37%56.63%▼13.2658.11
예래동52.64%47.36%△5.2857.06
대정읍56.49%43.51%△12.9852.82
남원읍47.92%52.08%▼4.1659.34
성산읍55.34%44.66%△10.6854.06
안덕면50.66%49.34%△1.3261.15
표선면54.14%45.86%△8.2855.25
후보강지용위성곤격차
거소·선상투표53.48%46.52%△6.96
관외사전투표34.59%65.41%▼20.82
국외부재자투표34.62%65.38%20.76

2.2.4.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
서귀포시 일원[舊서귀포시][舊남제주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위성곤(魏聖坤)53,3451위
55.48%당선
2강경필(姜景弼)41,6892위
43.36%낙선
7문광삼(文光三)1,1093위
1.15%낙선
선거인 수152,676투표율
63.88%
투표 수97,530
무효표 수1,387

국회의원 선거 (서귀포시)
정당[include(틀:더불어민주당)][include(틀:미래통합당)]격차
(1위/2위)
투표율
(선거인/표수)
후보위성곤강경필
득표수
(득표율)
53,345
(55.48%)
41,689
(43.36%)
+ 11,656
(△12.12)
97,530
(63.88%)
구 서귀포시
득표율57.73%41.23%△16.5062.47%
송산동54.56%44.50%△10.0658.53
정방동56.27%42.82%△13.4459.58
중앙동53.88%45.09%△8.7954.63
천지동56.82%42.00%△14.8360.83
효돈동[8]54.89%44.43%△10.4665.58
영천동57.17%41.88%△15.2962.20
동홍동63.64%35.41%△28.2360.11
서홍동[9]61.75%37.38%△24.3761.54
대륜동59.89%39.34%△20.5566.20
대천동58.05%40.50%△17.5559.81
중문동51.09%47.48%△3.6167.95
예래동[10]43.52%55.00%▼11.4967.41
구 남제주군
득표율51.13%47.58%△3.5560.60%
대정읍[11]49.86%48.29%△1.5762.11
남원읍55.70%43.36%△12.3461.79
성산읍[12]46.08%52.80%▼6.7257.82
안덕면[13]54.05%44.74%△9.3059.47
표선면[14]49.39%49.41%▼0.0260.88
기타 투표
거소·선상투표58.86%36.94%△21.92
관외사전투표61.09%37.76%△23.34
재외투표76.82%21.95%△54.88
더불어민주당에서는 현역 의원 위성곤이 재출마한다.

미래통합당에서는 공직선거법 위반으로 피선거권을 상실한 강지용 전 후보 대신, 강경필 전 의정부지검장이 출마하며 현역 의원에 도전하게 되었다.

선거 결과, 위성곤 후보가 12.12% 차이로 재선에 성공하였다.

2.2.5.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서귀포시
서귀포시 일원[舊서귀포시][舊남제주군]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가장 위에 있는 것은 서울특별시 종로구.[2] 의원직 상실.[舊서귀포시] A B C D 송산동, 정방동, 중앙동, 천지동, 효돈동, 영천동, 동홍동, 서홍동, 대륜동, 대천동, 중문동, 예래동.[舊남제주군] A B C D 대정읍, 남원읍, 성산읍, 안덕면, 표선면.[3] 김재윤 후보의 고향[4] 현애자 후보의 고향[5] 강상주 후보의 고향[6] 남원읍에서는 오영삼 후보가 3위를 기록했다. (13.78%)[7] 민주통합당 김재윤 후보가 37%, 무소속 문대림 후보가 31%로 야권 득표가 분산되었다.[8] 쇠소깍이 있는 동네[9] 천지연폭포, 외돌개가 있는 동네[10] 강경필 후보의 고향[11] 가파도, 마라도가 있는 동네[12] 섭지코지, 휘닉스 제주 섭지코지, 아쿠아플라넷 제주가 있는 동네[13] 산방산이 있는 동네[14] 해비치 호텔&리조트 제주가 있는 동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