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아시아인

덤프버전 :



서아시아인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튀르크 깃발.svg
튀르크
[ 펼치기 · 접기 ]

민족
보편 튀르크시베리아돌간인 | 쇼르인 | 알타이인 | 사하인 | 유고족 | 차탕족 | 소요트 | 출름 | 토파 | 투바인 | 하카스인
킵차크노가이인 | 바시키르인 | 발카르인 | 우룸인 | 카라임 | 카라차이인 | 카라칼파크인 | 카자흐 | 쿠만 † | 쿠미크인 | 키르기스 | 타타르 (립카 타타르 | 크림 타타르)
카를루크우즈베크 | 위구르
오구즈가가우즈인 | 살라르족 | 시리아 튀르크멘 | 아제르바이잔인 | 이라크 튀르크멘 | 카슈카이족 | 튀르키예인 | 투르크멘 | 페체네그 † | 호라산 튀르크
아르구할라지인
오구르불가르 † | 아바르 † | 추바시인 | 하자르
국가 및 지역
독립국파일:북키프로스 국기.svg 북키프로스 (미승인)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 |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 |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자치 지역파일:가가우지아 기.svg 가가우지아 |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나흐츠반 |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국기.svg 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 | 파일:사하 공화국 국기.svg 사하 공화국 | 파일:중국 국기.svg 신장 위구르 자치구 | 파일:중국 국기.svg 키질수 키르기스 자치주 | 파일:중국 국기.svg 일리 카자흐 자치주 | 파일:알타이 공화국 국기.svg 알타이 공화국 | 파일:2000px-Flag_of_Chuvashia.svg.png 추바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국기.svg 카라차예보-체르케시야 공화국 | 파일:카라칼팍스탄 국기.svg 카라칼팍스탄 | 파일: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국기.svg 카바르디노-발카리야 공화국 |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 |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svg 투바 공화국 | 파일:하카시야 공화국 국기.svg 하카시야 공화국
다수 거주지파일:이란 국기.svg 이란령 아제르바이잔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Flag_of_the_Bayan-%C3%96lgii.png 바잉울기
사회문화
언어튀르크어족
신화쾨로을루 신화 | 텡그리 신앙
외교 및 사상범튀르크주의 (튀르크어권 국가 기구) | 파일:동튀르키스탄 깃발.svg 동튀르키스탄 독립운동 | 파일:남아제르바이잔 기.svg 남아제르바이잔 분리독립



인도아리아인-이란계 민족
[ 펼치기 · 접기 ]

이란계 민족페르시아인(파르시 | 라르인 | 타지크 | 아이마크인) | 파미르인(와키인 | 사리콜리인 | 슈그니인) | 쿠르드족(자자족 | 야지디족) | 페르시아계 유대인 | 발루치인 | 파슈툰인 | 오세트인 | 부하라 유대인 | 산악 유대인 | 타트인 | 탈리시인 | 하자라인 | 소그드인 † (야그노비인) | 루르인 | 길란인 | 마잔다란인 | 셈난인 | 스키타이인 † | 메디아인 † | 파르티아인
누리스탄인
인도아리아인다르드인(카슈미르인 | 파샤이인) | 신드인 | 펀자브인(사라이키인) | 벵골인(로힝야) | 싱할라인 | 칼라쉬인 | 자트인 | 네팔인 | 구자라트인 | 구자르인 | 몰디브인 | 마라티인 | 라지스탄인(라지푸트) | 힌두스탄인(무하지르) | 비하르인 | 아삼인 | 오디아인 | 콘칸인(고안 가톨릭) | 집시 | 미탄니인
독립국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 |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 |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 |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 파일:몰디브 국기.svg 몰디브 | 파일:모리셔스 국기.svg 모리셔스 | 파일:남오세티야 국기.svg 남오세티야(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쿠르디스탄(파일:로자바 상징기.svg 로자바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이라크 쿠르디스탄 | 튀르키예령 쿠르디스탄 | 이란령 쿠르디스탄) | 파일:북오세티야 국기.svg 북오세티야-알라니야 공화국 | 파일:1599px-Flag_of_Balochistan.svg.png 발루치스탄(파키스탄령 발루치스탄 | 시스탄오발루체스탄 | 아프가니스탄령 발루치스탄)
사회문화
언어인도이란어파
사상범이란주의 | 범아리아주의 | 파일:쿠르드족 깃발.svg 쿠르디스탄 독립운동
신화페르시아 신화 | 인도 신화 | 오세트 신화



셈족
[ 펼치기 · 접기 ]

표시가 된 것은 사라진 민족
독립국
비아랍권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 | 파일:에리트레아 국기.svg 에리트레아 |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에티오피아
독립국
아랍권
파일: 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 |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 |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 |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 |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 |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 | 파일:바레인 국기.svg 바레인 |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 파일:오만 국기.svg 오만 |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 |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 |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 파일:수단 공화국 국기.svg 수단 |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 |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 |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 |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 | 파일: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국기.svg 사하라 아랍 민주 공화국 (미승인국)
자치 지역 및 다수 거주지아라비스탄 | 하타이 | 잔지바르 | 코모로다수 거주국가
언어 및 문화
언어셈어파
사상범셈족주의 | 아랍 민족주의 | 시오니즘
신화아랍 신화 | 유대 신화 | 메소포타미아 신화(아카드 신화) | 바빌로니아 신화(칼데아 신화) | (아시리아 신화) | 가나안 신화 (아람 신화)| 페니키아 신화 (카르타고 신화)







1. 개요
2. 설명
2.1. 튀르키예, 캅카스, 키프로스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아시아인은 서아시아(서남아시아)에 거주하는 사람을 뜻한다. 서남아시아인이라고도 부를 때도 있으나 현재는 '서남아시아'라는 용어가 남아시아를 가리키는 용어로 쓰이다보니 요즘은 서남아시아 대신 '서아시아'를 붙여 서아시아인이라고 부르며, 과거에 서남아시아로 표기되는 일들이 많았다보니 지금도 여전히 '서남아시아인'으로 언급하는 경우도 적지 않다.

아랍인, 아프가니스탄인(파슈툰인)[1], 이란인, 유대인 등이 있다.[2]


2. 설명[편집]


이란 고원에서는 이란의 페르시아인페르시아어를 쓰고, 아프간 북부에서 타지키스탄까지 이르는 타지크인들은 타지크어다리어를 쓴다. 아프가니스탄 남부의 파슈툰인들과 이란 동남부의 발루치인들은 이란계 민족이지만 페르시아인은 아니다. 튀르키예 동남부, 이란 서북부, 이라크 동북부, 시리아 동북부에는 쿠르드인들이 거주하고 있다.

캅카스, 키프로스, 이란, 튀르키예, 이스라엘, 아프가니스탄, 쿠르디스탄 등 쿠르드족 거주 지역을 제외한 아라비아 반도와 서남아시아 대부분이 아랍인들이다. 물론 아랍도 거주하는 지역마다 다른 문화를 가진 경우도 있다. 팔레스타인의 경우 이집트와 가까워서 이집트 등 북아프리카와 비슷한 문화를 가진 곳도 있고, 시리아, 이라크 등은 벽안을 가진 아랍인들도 있다. 아라비아 반도에도 서쪽의 예멘은 에티오피아 등 동북아프리카와도 가까웠던 이유로 에티오피아계들이 이곳으로 이주하여 정착했던 적도 있었고, 지금도 에티오피아계들이 거주하고 있다. 그 외 소말리아 에서 아라비아로 이주해온 주민들도 있다. 또한 아라비아에도 극소수의 소수민족 중 아랍 부족에 해당되지 않는 민족도 있다.

팔레스타인 지역 대다수 및 인근에 세워진 이스라엘에는 유대인들이 거주하게 되었고 이들은 이스라엘인이라고도 불리지만 이스라엘인은 이스라엘에 사는 사람들을 가리키는 단어로 유대인 뿐 아니라 이스라엘 무슬림이스라엘 아랍인들도 여기에 해당된다. 현재 이집트가 되찾은 시나이 반도에도 일부 이스라엘인들이 거주하는데, 이는 옛날에 이스라엘이 점령했거나 이스라엘과 가까이 접한 지역이라는 이유도 있지만 이집트와 이스라엘 사이의 평화 협정과 외교 관계를 맺었기 때문이다. 유대인들은 이스라엘과 인정받지 못한 점령 지대인 골란고원 외에도 다른 중동 국가들에도 거주하며, 이란에도 많은 유대인들이 거주한다. 이란 외에 인근 캅카스, 투르키스탄에도 거주했으며 이들은 산악 유대인부하라 유대인으로 나눠지게 된다.


2.1. 튀르키예, 캅카스, 키프로스[편집]


튀르키예, 북키프로스와 남캅카스의 아제르바이잔의 튀르키예인, 아제리인은 중앙아시아의 투르키스탄의 투르크족과 관련이 깊지만 아나톨리아, 아제르바이잔 지역에서 수많은 이란계 민족들과 혼혈되면서 백인화되어 외모는 이란계 등 백인에 가깝다. 남캅카스의 조지아는 카르트벨리어족, 아르메니아는 아르메니아인이 거주한다. 튀르키예, 캅카스는 다른 서아시아 지역들과는 달리 사회적 생활, 경제적 등으로 많이 다르다보니 캅카스인, 유럽인 등으로 보는 경우가 많다.

키프로스는 그리스계들과 튀르키예계 주민들이 살고 있으며, 합법 정부로 인정받는 곳은 그리스계의 남부 키프로스다. 키프로스도 유럽연합에 가입돼 있어서 다른 서아시아 지역과는 달리 유럽인으로 많이 보고 있다.


3. 관련 문서[편집]



[1] 다리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타지크인들이다. 아프가니스탄 서부의 타지크인들이 쓰는 페르시아어 또는 타지크어는 다리어라고 불린다.[2] 남캅카스의 민족들, 튀르키예인, 아제르바이잔인, 키프로스인도 서아시아인에 포함되기도 하지만, 대부분은 유럽인으로 분류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