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울여자대학교

덤프버전 :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
[ 펼치기 · 접기 ]
이원화캠퍼스 목록 / 분교 목록 /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대학별 캠퍼스
[ 펼치기 · 접기 ]







대한민국의 개신교 산하 대학
[ 펼치기 · 접기 ]

감리회, 그리스도의교회, 루터교회, 성공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감리회기독교대한감리회(기감)
파일:감리교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감리교신학대학교
파일:목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목원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1]
파일:협성대학교 UI.svg
신대원
협성대학교
감리회 계열 초교파[2]
파일:남서울대학교 UI.svg
남서울대학교
파일:배재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배재대학교
파일:이화여자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이화여자대학교
[1] 감리회 계열과 장로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2] 재단이 감리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이화여대, 배재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그리스도의교회그리스도의교회교역자협의회
(무악기파)
그리스도의 교회협의회
(유악기파)
파일:강서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강서대학교
파일:서울기독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기독대학교
파일:동서대학교 로고.svg
동서대학교
루터교회기독교한국루터회(기루)
파일:루터대학교 UI.svg
신대원
루터대학교
성공회대한성공회
파일:성공회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공회대학교

장로회 산하 [ 펼치기 · 접기 ]

장로회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백석)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신대원
연세대학교[4]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신대원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5]
파일:경성대학교 UI.svg
신대원
경성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신대원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4]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5]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연세대, 경성대, 김천대, 한남대는 재단과 별개로 신학대학원이 KAICAM과 인준하였다.

성결교회, 오순절교회, 침례회, 재림교회, 초교파 산하 [ 펼치기 · 접기 ]

성결교회기독교대한성결교회
(기성)
대한기독교나사렛성결회
(나사렛/나성)
예수교대한성결교회
(예성)
파일:서울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신학대학교
파일:나사렛대학교 UI.svg
신대원
나사렛대학교
파일:성결대학교 UI.svg
신대원
성결대학교
오순절교회기독교대한하나님의성회
(기하성)
파일:한세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세대학교
파일:순복음총회신학교 UI.svg
순복음총회신학교[3]
[3] 학사학력 인정 각종학교.
재림교회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
(재림)
파일:삼육대학교.svg
신대원
삼육대학교
침례회기독교한국침례회
(기침)
침례회 계열
초교파
[6]
파일:한국침례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한국침례신학대학교
파일:한양대학교 로고.svg
[6] 재단이 침례회 계열이지만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대학
초교파한국독립교회및선교단체연합회(KAICAM)
파일:계명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계명대학교
파일:명지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명지대학교
파일:아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아신대학교
파일:한국성서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한국성서대학교
파일:호서대학교 UI.svg
신대원
호서대학교
無교단 초교파[7]
파일:강남대학교_UI.svg
신대원
강남대학교
파일:부산외국어대학교 심볼.svg파일:세종대학교 교표.svg
파일:예수대학교 UI.svg
예수대학교
파일:차의과학대학교 심볼.svg
차의과학대학교
파일:한동대학교 엠블럼.svg
한동대학교
[7]: 어떤 교단에도 소속하지 않은 개신교 성향 대학

신대원
: 해당 교단의 목사를 양성하는 신학대학원 목회학과 설치

전문대학 목록 / 대학원대학 목록 / 대학 목록 / 원격대학 목록 / 평생교육기관 목록






파일:정부상징.svg
||

파일:SAF소속대학 로고.png
[[The Study Abroad Foundation|{{{#373a3c,#ddd The Study Abroad Foundation}}}]]
국제 교환,방문학생 프로그램
||



||
[ 펼치기 · 접기 ]

-1 ||<-2><tablewidth=100%><table bgcolor=#ffffff,#191919><colcolor=#fff><colbgcolor=#0B6138> '''[[아시아|{{{#fff,#ddd 아시아}}}]]''' || ||<width=100> [[파일:대한민국 국기.svg|width=20]] [[대한민국|{{{#fff,#ddd 대한민국}}}]] ||<colcolor=#000,#fff> [[경남대학교]] · [[경희대학교]] · [[고려대학교]] · [[광주교육대학교]] · [[광주대학교]] · [[국민대학교]] · [[군산대학교]] · [[대구교육대학교]] · [[동서대학교]] · [[동아대학교]] · [[동의대학교]] · [[목포대학교]] · [[목포해양대학교]] · [[부경대학교]] · [[부산대학교]] · [[부산외국어대학교]] · [[상명대학교]] · [[서울교육대학교]] · [[서울여자대학교]] · [[성결대학교]] · [[성균관대학교]] · [[성신여자대학교]] · [[숙명여자대학교]] · [[아주대학교]] · [[연세대학교]] · [[이화여자대학교]] · [[인천대학교]] · [[제주대학교]] · [[포항공과대학교]] · [[한국항공대학교]] · [[한국해양대학교]] · [[한남대학교]] · [[한양대학교/서울캠퍼스|한양대학교]] · [[호서대학교]] || || [[파일:대만 국기.svg|width=20]] [[대만|{{{#fff,#ddd 대만}}}]] || [[국립가오슝제일과기대학]] · [[국립타이완대학|국립대만대학]] · [[국립대만예술대학]] · [[국립대만해양대학]] · [[국립연합대학]] · [[국립윈린과기대학]] · [[국립자이대학]] · [[국립중앙대학]] · [[국립타이중교육대학]] · [[난타이과기대학]] · [[둥하이대학]] · [[슈더과기대학]] · [[징이대학]] · [[창룽대학]] · [[카이난대학]] || || [[파일:몽골 국기.svg|width=20]] [[몽골|{{{#fff,#ddd 몽골}}}]] || [[몽골과학기술대학교]] || ||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width=20]] [[방글라데시|{{{#fff,#ddd 방글라데시}}}]] || [[국제경영농업기술대학교]] · [[다카 대학교]] · [[다포딜 국제대학교]] || || [[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20]] [[베트남|{{{#fff,#ddd 베트남}}}]] || [[베트남상매대학]] · [[호찌민 교육대학]] · [[호찌민 사범대학]] · [[호찌민 인문사회과학대학]] || || [[파일:인도 국기.svg|width=20]] [[인도|{{{#fff,#ddd 인도}}}]] || [[공업경영대학교]] || ||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20]] [[인도네시아|{{{#fff,#ddd 인도네시아}}}]] || [[11월 10일 공과대학교]] · [[가자마다 대학교]] · [[다르마프르사다 대학교]] · [[반둥 공과대학교]] · [[붕 하타 대학교]] · [[사탸와차나 기독대학교]] · [[시아쿠알라 대학교]] · [[아이를랑가 대학교]] · [[우다야나 대학교]] · [[인도네시아 대학교]] · [[하사누딘 대학교]] || || [[파일:일본 국기.svg|width=20]] [[일본|{{{#fff,#ddd 일본}}}]] || [[간사이국제대학]] · [[고베가쿠인대학]] · [[고베국제대학]] · [[고베대학]] · [[고베쇼인여자학원대학]] · [[고베시간호대학]] · [[고베시외국어대학]] · [[고베신와대학]] · [[고베약과대학]] · [[고베여자대학]] · [[고베여학원대학]] · [[고베예술공과대학]] · [[무코가와여자대학]] · [[소노다학원여자대학]] · [[아시야대학]] · [[오테마에대학]] · [[유통과학대학]] · [[간세이가쿠인대학]] · [[코난대학]] · [[코난여자대학]] · [[코시엔대학]] · [[효고교육대학]] · [[효고대학]] · [[효고현립대학]] · [[히메지대학]] · [[히메지독쿄대학]] || || [[파일:중국 국기.svg|width=20]] [[중국|{{{#fff,#ddd 중국}}}]] || [[광둥공업대학]] · [[광둥외어외역대학]] · [[난징대학]] · [[난카이대학]] · [[내몽골대학]] · [[닝보대학]] · [[다롄이공대학]] · [[다롄해사대학]] · [[둥베이사범대학]] · [[베이징공업대학]] · [[베이징대학]] · [[베이징사범대학]] · [[베이징외국어대학]] · [[베이징체신대학]] · [[상하이해양대학]] · [[쑤저우과기대학]] · [[쑤저우대학]] · [[쑤저우시립대학]] · [[연변대학]] · [[자오칭대학]] · [[저장대학]] · [[중국의과대학]] · [[중국인민대학]] · [[중산대학]] · [[지린대학]] · [[톈진공업대학]] · [[톈진외국어대학]] · [[푸단대학]] · [[하이난대학]] · [[하이난사범대학]] · [[홍콩중문대학]] · [[화난사범대학]] · [[화둥사범대학]] · [[후난과기학원]] || || [[파일:태국 국기.svg|width=20]] [[태국|{{{#fff,#ddd 태국}}}]] || [[라차팟 수안두싯 대학교]] · [[수라나리 공과대학교]] · [[쭐랄롱꼰 대학교]] · [[치앙마이 대학교]] · [[타이니치 공과대학교]] · [[탐마삿 대학교]] || || [[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20]] [[필리핀|{{{#fff,#ddd 필리핀}}}]] || [[AMA 대학교]] · [[마닐라 아테네오 대학교]] · [[미리엄 칼리지]] · [[아시아 트리니티 대학교]] · [[어셤션 대학교]] · [[엔데룬 칼리지]] · [[필리핀 대학교]] || ||<-2> '''[[아메리카|{{{#fff,#ddd 아메리카}}}]]''' || || [[파일:미국 국기.svg|width=20]] [[미국|{{{#fff,#ddd 미국}}}]] || [[곤자가 대학교]] · [[세인트 마틴 칼리지]] · [[애리조나 대학교]] · [[에버그린 주립 칼리지]] · [[오거스타나 대학교]] · [[와이오밍 대학교]] · [[워싱턴 대학교]] · [[이스턴 워싱턴 대학교]] · [[일리노이 대학교/어배너-섐페인 캠퍼스]] · [[피츠버그 대학교]] · [[하와이 대학교]] || || [[파일:브라질 국기.svg|width=20]] [[브라질|{{{#fff,#ddd 브라질}}}]] || [[론드리나 주립대학교]] · [[파라나 연방기술교육센터]] · [[파라나 연방대학교]] || || [[파일:캐나다 국기.svg|width=20]] [[캐나다|{{{#fff,#ddd 캐나다}}}]] || [[퀸스 대학교(캐나다)|퀸스 대학교]] || || [[파일:UN기.svg|width=20]] [[유엔|{{{#fff,#ddd 유엔}}}]][br]{{{-2 ([[코스타리카|{{{#fff,#ddd 코스타리카}}}]])}}} || [[평화대학교]] || ||<-2> '''[[오세아니아|{{{#fff,#ddd 오세아니아}}}]]''' || || [[파일:뉴질랜드 국기.svg|width=20]] [[뉴질랜드|{{{#fff,#ddd 뉴질랜드}}}]] || [[와이카토 대학교]] · [[캔터베리 대학교]] || || [[파일:호주 국기.svg|width=20]] [[호주|{{{#fff,#ddd 호주}}}]] || [[그리피스 대학교]] · [[뉴사우스웨일스 대학교]] · [[머독 대학교]] · [[서호주 대학교]] · [[선샤인 코스트 대학교]] · [[에디스 코완 대학교]] · [[커틴 대학교]] · [[퀸즐랜드 공과대학교]] · [[퀸즐랜드 대학교]] · [[호주 노틀데임 대학교]] · [[호주해양대학]] ||






서울여자대학교
서울女子大學校
Seoul Women's University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설립이념기독교 정신에 기초를 둔 지식교육
상징
슬로건
우리는 나보다 똑똑합니다.
Learn to Share, Share to Learn
교색
[ 교색 펼치기 · 접기 ]
SWU PURPLE

SWU BLUE

SWU YELLOW

SWU SILVER

SWU GOLD

SWU GRAY1

SWU GRAY2

국가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분류사립대학
지역서울특별시
개교1961년 5월 20일 (63주년)
서울여자대학
설립바롬 고황경
대한예수교장로회
총장제9대 승현우[1]
재단학교법인 정의학원
주소서울특별시 노원구 화랑로 621 (공릉동)
재학생
학부생
7,624명(2016년)
대학원생
356명(2016년)
교직원
교원599명(2016년)
직원217명(2016년)
일반재정지원 선정대학(2021)
홈페이지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공식 홈페이지
소셜 미디어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네이버 블로그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 지도 펼치기 ]


본교

대학로캠퍼스

1. 개요
2. 설립
3. 홍보 영상
4. 역대 총장
4.1. 설립자 고황경
5. 재단
6. 상징
7. 교통
7.1. 시내버스
10. 학사제도
10.1. 필수과목
10.2. 기타
11. 성과
13. 이야깃거리
13.1. 학생활동 관련
13.2. 축제
13.3. 학교기관 관련
13.4. 기타
16. 장로회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우리는 나보다 똑똑합니다.

Learn to Share, Share to Learn

서울특별시 노원구 공릉동에 위치한 4년제 사립 여자대학교. 개신교 미션스쿨이다. 슬로건이 “잘 가르치는 대학”일 정도로 커리큘럼이 탄탄하며 “작지만 강한 대학”이다.

2016년 인서울 여자대학 중 최초로 소프트웨어 중심대학에 선정, 현재 관련 학과에 많은 지원을 하고 있다.

주택가와 왕릉 사이에 위치해[2] 주변이 조용한 편이다. '에코캠퍼스'[3]를 표방하고 있어서 교정이 사계절 내내 아름답다.

인근에 위치한 다른 대학교로는 가까운 순서대로 육군사관학교,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삼육대학교, 광운대학교, 인덕대학교가 있다.

부속어린이집, 부속유치원, 부속초등학교(화랑초등학교)도 운영하고 있다.

2. 설립[편집]


1923년 대한예수교장로회가 제12회 총회에서 여자대학 설립을 결의, 1924년 설립인가를 신청하였으나 보류되고, 1956년 재차 기성회를 조직하여 1960년 서울여자대학(4개 학과 / 사회학과, 가정학과, 농촌과학과, 기독교교육과) 설립을 인가받았다. 이듬해인 1961년 개교하여 고황경 박사가 초대 학장으로 취임하였고 1979년에 대학원이 설치되었으며, 1988년 단과대학에서 지금의 종합대학으로 개편되었다. 교육목적은 지(智), 덕(德), 술(術)을 갖춘 여성지도자 양성이다.

3. 홍보 영상[편집]


2014 서울여자대학교 홍보영상


2021 서울여자대학교 홍보영상[4]



4. 역대 총장[편집]



4.1. 설립자 고황경[편집]


바롬 고황경(1909~2000) 박사는, 세브란스 병원의사이자 남대문교회의 장로인 고명우[5]의 딸로, 친일반민족행위자로 분류된다. 일제강점기 후반에 여러 친일단체에 가담하여 협조하였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1937년 조선총독부 학무국에 의해 조직된 친일 단체 ‘조선부인문제연구회’에서 주관하는 순회강연에 참여하였다. 여자들의 금비녀·금가락지를 뽑아 일제의 국방비로 헌납하자는 전쟁협력단체 ‘애국금차회’가 조직되자 여기에 간사로 참여하였다. 1941년 조선 최대 민간 전쟁협력단체인 조선임전보국단이 결성되어 참여하였고, 이들은 조선의 청년과 처녀를 전쟁터와 정신대로 보내자고 주장했다.[6] 이럼에도 서울여대에서는 고황경의 호인 바롬을 바롬기념관, 바롬인성교육, 홍보바롬이, 바롬예비대학, 바롬국제프로그램, 바롬갤러리 등 각종 명칭에 적극 사용하고 있다. 심지어 바롬 정신을 함양하겠다는 원대한 포부까지 보여주는 모습을 보여준다. 바롬이 "바르게 생각하고 바르게 행동한다"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고는 하나, 친일반민족행위자인 설립자의 호를 이 정도로 남발하는 것은 역사의식의 큰 결여라고 보지 않을 수 없다. 이렇듯 친일반민족행위자를 기념하는 행보는 교내로부터 많은 비판을 받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설립자의 호를 기념하고자 하는 동문들의 의지가 큰 것은, 고황경 박사의 학장 재임 시절 학생들과의 깊은 유대와 관계 때문이다. 고황경 박사는 학장 재임 시절 기숙사 생활을 하는 학생들의 방을 매일 방문해서 한 사람, 한 사람의 손을 잡고 기도를 해주는 등, 학생들에 대한 애정이 각별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진정성이 학생들로 하여금 고황경 박사의 정신을 이어받고자 하는 의지로 표현된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이러한 진정성이 있다고 해서 친일행적을 포장할 수는 없다. 고황경 박사는 위에서 언급했듯이 조선의 처녀들에게 근로정신대를 강조한 사람이다. 여자대학교를 설립해 인성교육을 이끌어가고자 한 시대의 교육자가 시대의 비극에 놓인 당시 여성들에게 근로정신대에 가도록 권장한 것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이다. 따라서 '인성교육'에 무시할 수 없는 친일 행적을 가진 고황경 박사의 호가 붙는 것이 모순적이라는 비판이 꾸준히 이어지고 있다.

5. 재단[편집]


파일:hZxws9d.jpg

2014년 기준 재단의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이 11.2%로 전국 하위권에 속한다. 자산 96억에 연수입이 2억대. 이러한 이유로 법정부담금 0%대 학교의 목록에 매해 이름을 올린다.

2015년 사립대학 법인 수익용 기본재산 확보율 12.7%로 많이 낮은 편이다. (전국 평균 56.9%)

2014년 사립대학 등록금 의존율 현황 운용 수입 중 등록금 비율이 66.0%로, 전국 평균 63.2%보다 조금 높다.


6. 상징[편집]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파일:서울여대 서브심볼.jpg
메인심볼서브심볼
특이하게도 심볼이 2개이다. 메인심볼은 각종 증명서나 공문서, 임명장, 위촉장 등 공식적인 용도로 사용되며, 서브심볼은 안내문, 공고문, 온라인 배너, 학교팬시 등 다소 캐주얼한 용도로 사용된다. 메인심볼은 성경을 상징하는 알파와 오메가, 월계수로 이루어져 있으며, 서브심볼은 서울여대의 이니셜 SW와 붉은 마름모로 구성되어 있다.

7. 교통[편집]


거리상으로 화랑대역(서울여대입구)과 가장 가까워, 도보로 갈 때는 화랑대역 4번 출구(정문 방향) 또는 3번 출구(남문 방향)를 이용하면 된다. 그러나 15분 가량 걸리는 데다 남문(후문)으로 갈 경우에는 언덕을 올라야 하기 때문에, 전철 - 버스 간 환승 제도를 이용하여 6·7호선 태릉입구역에서 버스를 이용하는 것이 더 편리하다.

학기 중에는 태릉입구역 7번 출구에서 학생 통학 버스를 운행한다. 자세한 사항은 학교 홈페이지 '학교생활 TIP' 학생 통학버스 운행 시간표를 참고할 것.

정문 쪽에 철도역인 화랑대역(경춘선)이 있었으나, 2010년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개통으로 성북 - 화랑대 구간이 폐선되면서 폐역되었다. 역사(驛舍)는 등록문화재로 지정되어 보존되었으나 선로는 대부분 철거되었고, 최근에 옛 경춘선 철길을 공원화하는 사업이 진행되면서 6호선 화랑대역 근처까지 철길 공원이 만들어지기도 했으며 정식 명칭은 "경춘선 숲길"이다. 경춘선 숲길을 따라 걸으면 서울과기대를 거쳐 광운대까지 갈 수 있다. 1시간 넘게 걸어어야 하는 건 함정 따릉이 타고 가면 된다.


7.1. 시내버스[편집]




|| 공릉우방아파트 | 태릉현대아파트 (11135, 11136)
||



8. 캠퍼스[편집]



  • 캠퍼스가 아름다운 편이라 촬영장으로 자주 쓰인다. OTT별로 1년에 하나씩은 서울여대에서 촬영한 작품이 나올 정도.

  • 225,020㎡의 면적으로, 서울시내 36개 대학교 중 11번째로 크다.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자대학교/캠퍼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학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자대학교/학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학사제도[편집]



10.1. 필수과목[편집]


'바롬인성교육'이라는 특수한 교양필수 과목이 존재한다. 바롬은 '바르다'라는 순수한 우리말로, 초대 학장 고황경 박사의 호이기도 하다.

바롬1은 자아정체성, 바롬2는 공감적 의사소통, 바롬3는 사회참여가 주제로 각자의 개성을 찾는 것으로부터 출발해 점진적으로 공동체 구성원으로서의 의식을 다듬어가도록 짜여져 있다. 1학년 때는 3주, 2학년 때는 2주간 합숙과 함께 교육과정을 이수하며, 3학년 때는 합숙 없이 프로젝트형 수업을 한다. 각 1학점이나, 웬만한 3학점짜리 과목 못지않게 할 게 많아 시험 전 과제폭탄 기간과 겹치는 시기에 입사하게 될 경우 고생을 꽤 하게 된다. 전교생이 총 5주간 필수적으로 기숙생활을 해야한다는 점이 상당히 특이하나 이것도 많이 축소된 것으로, 개교 당시에는 1년(!)이었다. 1961년-1981년에는 현재의 국제생활관 건물에서 생활관 교육, 가정관리 실습을 통해 실기와 생활예절을 배웠으며, 1982년-1999년에는 여성의 지위와 역할이 변화한 것을 고려해 여성리더 양성을 목표로 한 학기 동안 걸스카우트 훈련, 4H 지도자 훈련, Y-teen 지도자 훈련, 사회구조 연구 훈련 등을 했다.

2000년도부터 현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창의적 여성리더 양성 프로그램으로 개편, 진화하여 바롬1, 바롬2, 바롬3의 3개 과정으로 나뉜 현재와 같은 커리큘럼이 되었다. 국내 최초의 레지덴셜 칼리지이자 전인교육의 시초로 그 역사가 긴 만큼, 학교 측에서는 바롬교육을 서울여대의 정체성의 큰 부분이자 자랑거리로 삼고 있다. 그러나 교육적 의의와는 별개로 친일인물의 호를 내걸고 있다는 점은 친일 미화 논란의 소지가 몹시 크다. 한 때 바롬I에 고황경 박사를 기리는 박물관인 바롬기념관을 방문하는 것이 포함되어 있어, 학생들의 계속된 반발 끝에 50주년기념관 건설 후에는 50주년기념관 앞을 방문하는 것으로 변경되기도 했다.

프로그램 자체는 중고등학교에서 실시하는 진로 탐색 교육+단체 액티비티 정도로 느껴진다. 신입생들은 입사하기 전에는 온갖 꼼수를 부려 빠지려 하거나 굉장히 욕을 많이 하지만, 대다수는 입사 동안 혹은 입사 후 태도가 어느 정도 바뀌게 된다.(...) 이유는 축소된 통학시간과 타과학생들과 스스럼없이 친해질 수 있다는 점. 또한 강제로 7시부터 2시간 가량동안 실시하는 바롬인성교육도 생각보다 알차고 재밌다는 게 그 이유. 그러나 합숙기간 동안 아르바이트나 외부활동이 힘들다는 점에서 불만을 토로하는 학생들도 많다.

바롬 1, 2, 3 이외에 대학영어 1, 2와 기독교개론, 채플이 교양필수 과목이다. 현재는 대학영어 1, 2는 대학영어(말하기 듣기)와 대학영어(읽기쓰기)로 이름이 바뀌었다. 채플 수업은 출석으로만 평가하는 Pass/Fail 과목으로 총 6학기를 수강해야 한다. 수업 내용의 대부분은 교내 개신교 동아리의 공연 또는 외부 인사의 강연이다. 매년 2학기마다 이 초청되어 '션을 3번 보면 곧 졸업한다'는 말이 생기기도 했다. 2015년 기준으로 무려 13년째라고. '기후변화와 녹색성장'이라는 또 하나의 필수과목이 있었으나 15학번부터 폐지되었다.

10.2. 기타[편집]


  • F학점이 이수 학점에 포함되지 않는 동시에 평점 평균에도 영향을 준다. 그러니 정 수업을 따라가지 못하겠으면 학기 초에 수강정정이나 수강중도포기를 하자. 예전에는 성적포기 제도가 있었지만 현재는 사라졌기 때문에 낮은 학점을 처리하고 싶다면 재수강밖에는 방법이 없다. 게다가 재수강한 과목은 성적증명서에 기록이 고스란히 뜬다. 단, 12학번 이전 학번은 해당되지 않는다.

  • 서울여대의 학위와 해외 대학의 학위를 동시에 취득할 수 있는 복수 학위 제도가 있다. 2011년도에는 美 인디애나 퍼듀 대학교와, 2013년도에는 美 카네기 멜런 대학교와 복수학위 협정을 체결했다. 2016년도에는 日 리츠메이칸대학과 복수학위 과정, 교환학생 및 취업 연계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일본 SW전문가 트랙의 운영 협약을 맺었다.

  • 교내 프로그램이 다양한 편이다. 서울여대의 외국어 교육 프로그램인 SWELL[7]은 학기 중에는 시간별 프로그램을, 방학 중에는 합숙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합숙 SWELL은 학교에서 지내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전부 영어만 공부하고 사용하기 때문에 회화 능력에 효과가 상당하다고. 타 학교 학생도 입사가 가능하다. 본교 재학생의 경우는 TOEIC 700점 이상일 경우[8] 학교에서 일부 등록금을 지원해주기도 한다.(>과거 장학금을 지급했으나 현재는 마일리지 형식으로 바뀜) 이외 지역사회기관 봉사활동 프로그램인 '서비스러닝(S-L)', 해외 문화 교류 겸 봉사활동 프로그램인 '세계문화체험과 봉사', 외국인 교환학생들과 함께 생활하며 진행되는 한국학 프로그램 BIP(Bahrom International Program), 일본의 협력대학들과 서로의 캠퍼스를 방문하여 문화 탐방 기회를 갖는 BSA(Bahrom Summer Abroad) 등의 프로그램이 있다.

  • 한국에서 교수학습센터가 가장 먼저 생긴 학교 중 하나이다. 교육심리학과의 박승호 명예교수(교수학습센터를 세계최초로 도입한 미시간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가 미국에서의 경험을 살려 한국 최초로 도입했다고 한다. 잘 가르치는 대학이라는 수식어가 괜히 나온게 아니다.

11. 성과[편집]


작지만 강한 대학을 지향해 내실이 좋은 편이다. 최근 정부기관에서 주관하는 대학 재정지원사업 및 평가에서 다수의 실적을 얻고 있다.

  • 2010년 잘 가르치는 대학(ACE대학) 선정(140억)
  • 2014년 잘 가르치는 대학(ACE대학) 연속 선정(64억)
  • 2014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전국 6위, 중소형규모 대학 전국1위 선정(16억)
  • 2014년 대학 특성화사업(CK사업) 5개 사업단 선정(90억)
  • 2014년 교육부 지정 정보보호 영재교육원 선정(매년 2억)
  • 2015년 정보보호 특성화대학 지원사업 선정(6년간 총 33억)
  • 2015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11억)
  • 2015년 대학구조개혁평가 A등급
  • 2016년 소프트웨어 중심대학 선정(110억)
  • 2016년 고교교육 정상화 기여대학 지원사업 선정(9억)
  • 2016년 대학 특성화사업(CK사업) 중간평가 결과 5개 사업단 전체 '우수'
  • 2022년 교육부 ‘2022~2024년 고교교육 기여대학 지원사업’ 15년 연속 선정
(2008년 ‘입학사정관제 지원사업’을 시작으로 2022년까지 15년 연속으로 지원사업 진행)

  • 2022년 정부 부처 협업형 인재양성사업(개인정보보호 분야 혁신인재양성사업)에 선정(전국 대학 최초)

12. 출신 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자대학교/출신 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3. 이야깃거리[편집]



13.1. 학생활동 관련[편집]


  • 과거에 학부생들을 슈먼이라 지칭했으나 요즘 들어서는 학생들끼리 슈니[9]라는 호칭을 더 많이 사용한다. 주로 익명 게시판에서 서로를 칭하는 말은 슈니이며, 학교의 공식 프로그램 같은 곳에 쓰이는 말은 슈먼 혹은 슈를 넣은 명칭이 많은 편. 이는 서울여대의 영문명인 Seoul Women's University의 이니셜 SWU를 응용한 것으로, 입학멘토그룹인 슈가멘토, 국제학생 서포터즈 슈버디, 학생성장지원시스템 서포터즈 슈퍼바이저 등 다양한 그룹 명칭에 응용된다.

  • 재학생 수가 8,000여 명인 중소 규모 대학임에도 동아리활동이 활발한 편이며, 몇몇 동아리들은 특히 활발하게 활동하는 모습을 보인다. 대표적으로 록밴드 S.E.L., 댄스팀 TIPSSY, 응원단 SWURS가 있다. 동아리 활동으로 유명한 학교라고는 말할 수 없으나 활발한 동아리에서는 활발하게 하는 편이다. 특히 댄스 동아리와 밴드 동아리가 활발하며 각종 준동아리나 새로운 동아리가 생겨나는 등 점점 활동이 왕성해지고 있다. 33개의 동아리와 여러 준동아리가 있으며, 학과 내 소학회도 200여 개로 상당히 활성화되어 있다.

  • 서울여대생만을 위한 커뮤니티인 슈먼닷컴이 있다. 특히 쉬크릿은 익명 닉네임을 기반으로 운영되고 있어 학교 생활 이외에도 진로, 가정사 등 개인적인 고민에 관련된 다양한 이야기가 오고 간다. 허나 요새는 슈먼닷컴보다는 에브리타임을 많이 이용하는 편이다.

  • 바롬교육에서 다른 학과 학생들과 친해지는 경우가 많다. 보딩스쿨에서 기숙사 프로그램을 통해 다른 전공 학우들과 휴먼네트워크를 쌓는 것과 유사한 효과. 단체활동이라는 것 때문에 거부감을 가졌던 학생들도 프로그램 이후의 인맥에는 만족하는 편이다.


13.2. 축제[편집]


  • 봄에 열리는 서랑제와 가을에 열리는 학술제가 있다. 서랑제가 더 크게 열리는 편.
  • 서랑제는 먹거리 장터와 플리마켓, 동아리공연, 가수 공연, 학과부스 등으로 구성된다. 과거 주점이 허용되는 시절에는 각종 이벤트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편이었다고 하지만(놀이기구가 설치되기도 했었다고 한다!) 교육부에서 교내 음주를 금지한 이후로는 공연과 플리마켓 위주로 이루어지는 편이다.
  • 학술제는 서랑제보다는 간소하게 재학생들의 참여위주로 열린다.

13.3. 학교기관 관련[편집]


  • 정부 주관 사업에 자주 선정되는 편이다. 덕분에 마일리지 장학금 같은 독특한 프로그램이 여럿 갖추어져 있다. 학교 홈페이지 공지사항을 매의 눈으로 주시하자. 조교 언니가 더 빠를때도 많다

  • 학교 부속기관으로 유치원과 화랑 초등학교가 있다. 중학교도 있었다고 하는데, 지금은 없다. 있었는데요, 없어졌습니다.

  • 충남 만리포에 수련원이 있다. 학과 사무실을 통해 공적인 용도로 대여 가능하다. 네이버지도 기준 세시간 반 걸린다. 사실상 차 없으면 못간다.

  • 이광자 총장(서울여대 사회학과 61)은 2001년부터 2012년까지 3번 총장을 연임했다. 4선에 출마하려는 움직임을 보이자 일부 교수진이 반대 성명서를 제출하여 논란이 되었으나, 2013년 2월을 끝으로 총장 자리에서 물러나고 이사로 재임 중이다. 현재 9대 총장은 승현우 총장이다.

  • 대학로 캠퍼스가 있으나 실질적인 의미의 이원화 캠퍼스는 아니다. 재학생보다는 동문과 외부인들을 주 대상으로 하는 별도의 프로그램인 플로라 아카데미(보타니컬 아트, 꽃꽂이 강좌 운영), 세미나 등을 위한 보조적인 장소로만 이용되기 때문이다. 대학로 캠퍼스의 존재를 모르는 학생도 많다.

  • 부속 한국어교육부와 평생교육원이 50주년 기념관 3층에 있다.


13.4. 기타[편집]


  • 이 학교 2대 총장이었던 정구영 총장은 총장 취임 당시[10] 최연소 총장이었다. # 다만, 이후 정 총장은 개인적으로 개신교계에서 이단으로 분류하는 이재록만민중앙교회에 들어가게 되면서[11] 학교에서는 약간 흑역사 취급하는 분위기이다. 실제로 학교 홈페이지의 역대 총장란에 다른 총장들의 프로필은 현재의 프로필로 갱신이 되지만, 유일하게 정구영 총장의 프로필만은 총장 재임 당시의 프로필에서 멈춰 있다. 정식 개신교 대학으로써 이단 교회에서 활동하는 사항을 게제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12]


14.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자대학교/사건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5. 동아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서울여자대학교/동아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6. 장로회 둘러보기[편집]


대한민국의 장로회 산하 고등교육기관
[ 펼치기 · 접기 ]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개혁국제)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고신)
파일:개신대학원대학교 UI.svg
신대원
개신대학원대학교
파일:국제신대 UI.jpg
신대원
수도국제대학원대학교
파일:고신대학교 심볼.svg
신대원
고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대신석수)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순장)
파일:안양대학교 UI.svg
신대원
안양대학교
파일: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png
신대원
대한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jpg
신대원
서울성경신학대학원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백석)
파일:백석대학교 UI.svg
신대원
백석대학교
파일:백석문화대학교 심볼.svg
백석문화대학교
파일:백석예술대학교 UI.svg
백석예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제신)
대한예수교장로회[1]
(예장중앙)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피어선)
파일:제신대 UI.png
신대원
제네바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온석대 UI.png
신대원
온석대학원대학교
파일:평택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평택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통합)
파일:광주보건대학교 UI.svg
광주보건대학교
파일:기독간호대학교 심볼.svg
기독간호대학교
파일:경안대학원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경안대학원대학교
파일:대전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전신학대학교
파일:부산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부산장신대학교
파일:서울여자대학교_UI.svg
서울여자대학교
파일:서울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장신대학교
파일:숭실대학교 엠블럼.svg
숭실대학교
파일:숭실사이버대학교 엠블럼.svg
숭실사이버대학교
파일:연세대학교 문장.svg
연세대학교[2]
파일:영남신학대학교 교표.svg
신대원
영남신학대학교
파일:장로회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장로회신학대학교
파일:한남대학교 UI.svg
한남대학교
파일:한일장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일장신대학교
파일:호남신학대학교 UI.svg
신대원
호남신학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한영)
대한예수교장로회
(예장합신)
한국기독교장로회
(기장)
파일:서울한영대학교 UI.svg
신대원
서울한영대학교
파일:합신대 UI.gif
신대원
합동신학대학원대학교
파일:한신대학교 UI.svg
신대원
한신대학교
대한예수교장로회(예장합동)
파일:광신대학교 UI.svg
신대원
광신대학교
파일:대신대학교 UI.svg
신대원
대신대학교
파일:총신대학교 엠블럼.svg
신대원
총신대학교
파일:중부대학교 UI.svg
중부대학교
파일:칼빈대학교 UI.svg
신대원
칼빈대학교
파일:대전과학기술대학교 UI.svg
대전과학기술대학교
장로회 계열 초교파[3]
파일:경성대학교 UI.svg
경성대학교
파일:김천대학교 UI.svg
김천대학교
파일:대구대학교 UI.svg
대구대학교
파일:대구사이버대학교 UI.svg
대구사이버대학교
파일:신한대학교 UI.svg
신한대학교
파일:전주대학교_심볼.svg
전주대학교
파일:창신대학교 UI.svg
창신대학교
파일:경민대학교 교표.svg
경민대학교
파일:경북과학대학교 심볼.svg
경북과학대학교
파일:선린대학교 심볼.svg
선린대학교
파일:숭의여자대학교 UI.svg
숭의여자대학교
파일:신안산대학교 UI.svg
신안산대학교
파일:전주기전대학 UI.svg
전주기전대학
파일:전주비전대학교 UI.svg
전주비전대학교
[1] 백기환 목사가 창립한 정통교단.
[2] 장로회 계열과 감리회 계열이 공동 운영함.
[3] 재단이 장로회 계열이지만 어느 교단에도 소속되지 않은 대학. 그러나 예장합동과 연관있는 경성대와 예장고신과 연관있는 창신대를 제외하면 모두 예장통합과 연관있다.





[1] 본교 설립 이래 선임된 첫 남성 총장이다.[2] 그나마 공트럴파크맛집, 카페들이 있으나, 대학가 치고는 그리 번화하지 않다. 놀려면 석계역, 노원역 등으로 나가야 한다.[3] 환경부가 추진하는 그린캠퍼스 사업. 선정 대학교는 서울대학교, 인천대학교, 한양대학교, 상명대학교, 경기대학교, 고려대학교 등이 있다.[4] 2021년 11월 8일 공개[5] 농촌에서 의료 봉사도 하였다. 6.25 전쟁 중 납북되었다고 한다.[6] 고황경의 주요 발언: "어머니 자신이 먼저 황국신민(천황이 다스리는 나라의 백성)된 신념을 가지고 아이들에게 어릴 때부터 자장가 속에라도 나라의 관념을 넣어 주며 길렀으면 합니다. 즉 어머니의 재교육이 필요합니다" (매일신보, 1942.06.01 '임전보국단 부인대 주최 좌담회2-자장가 들릴 때에도 충군애국의 뜻 담아’)[7] Seoul Women's University English Language License[8] 졸업인증제도를 실시하는 학과들의 어학 성적 커트라인이 TOEIC 750점 또는 800점인 것을 감안하면 상당히 후한 조건이다.[9] SWU+언니[10] 취임 당시는 단과대학이었으므로 정확히는 학장.[11] 정구영 총장이 만민교회에 등록한 것으로 추정되는 90년대 중반에도 이미 만민교회는 최초 소속교단(예수교대한성결교회, 약칭 '예성')으로부터 이단으로 제명+이재록 목사가 목사직에서도 파직된 후였다. 다만, 그렇게 소속 교단으로부터 제명된 후에도 이재록 목사는 교계에서 부흥사로 이름을 떨쳤고, 기독교방송극동방송 등에 라디오 설교를 하기도 했다. 따라서 당시에는 만민교회가 이단인 줄 몰랐을 수도 있다. 만민교회가 한국의 개신교계와 완전히 교류가 끊기게 된 것은 MBC 습격 사건이 발생한 1999년 이후이다.[12] 만민교회 등록 당시 집사였던 정 총장은 이후 권사 직분을 받고, 이후에는 만민교회의 교단인 예수교대한연합성결교회(약칭 '예성연합')에서 목사 안수를 받고 현재는 만민교회의 무인가신학교인 MIS(만민국제신학교)의 총장직을 맡고 있다. 참고로 만민교회의 또 다른 무인가 신학교인 연합성결신학교와는 전혀 다른 곳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