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흥군

덤프버전 :

||


瑞興郡 / Sŏhŭng County

서흥군
瑞興郡 / Sŏhŭng County
국가북한
광복 당시 면적914㎢
광역시도황해북도
광복 당시 행정구역1읍 10면
시간대UTC+9


1. 개요
2. 역사
3. 기타
4. 출신 인물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



1. 개요[편집]


북한 황해북도의 군.

한서 기온차가 심하기 때문에 사과가 많이 생산되며, 지하자원으로는 석회, 슬레이트 등이 생산된다. 교통면으로는 경의선(평부선) 철도가 지나간다. 신막 부근은 석회암 지대로 카르스트 지형이 나타난다.

2. 역사[편집]


삼국시대고구려가 이곳을 차지해 오곡군(五谷郡)을 설치했다.

신라가 이곳을 차지한 후 신라 경덕왕 때 오관군(五關郡)으로 개칭했다. 일단 삼국사기 지리지의 기록상으로는 신라 9주 5소경한주에 속했는데, 신라 후기에 한주와 구분되는 특수 행정구역 패강진을 신라 서북면에 설치했다는 설을 긍정한다면 이 곳도 위치상 패강진 관할이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 성종 때는 농서라는 별칭이 있었으며, 후에는 동주(洞州)라 불렀다.

해방 이전부터 존재했던 군. 1940년 서흥면에서 철도와 가까운 신막읍으로 군청을 옮겼다. 광복 전에는 1읍(신막) 10면으로 구성되었으나, 북한 행정구역상 서흥군은 신막읍·서흥면·매양면·용평면·내덕면·목감면·율리면 일대에 해당한다.


3. 기타[편집]


여담으로 거창군 농어촌버스 회사 서흥여객 회사명의 어원이 이 지역인데, 창업주의 고향이 서흥군이라고 한다.


4. 출신 인물[편집]


  • 박영섭
  • 이회창[1]
  • 이협[2]
  • 이수근(북한)
  • 연병해


5. 이북 5도 기준 행정구역[편집]


||


파일:서흥군기.png
파일:서흥군.jpg

광복 당시 1읍 10면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06:05:23에 나무위키 서흥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아버지 이홍규가 판사였던지라 당시 아버지 부임지였던 황해도 서흥군에서 태어났다. 실제로 유년기를 보낸 곳은 외가가 있는 전라남도 일대며, 대외적 고향은 아버지 고향인 충청남도 예산군이다.[2] 전 전북 익산 갑 국회의원[3] 서흥역(북한:석현역)이 있기는 했지만 용평면 소재지에 있었고, 서흥면 명의리와는 3km의 거리가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