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소냐 헤니

덤프버전 :

소냐 헤니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1908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19201920 안트베르펀파일:스웨덴 국기.svg 마그다 율린
동계 올림픽
1회1924 샤모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2회1928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회1932 레이크플래시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회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5회1948 생모리츠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6회1952 오슬로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7회1956 코르티나담페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8회1960 스쿼밸리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
9회1964 인스브루크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10회1968 그르노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11회1972 삿포로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12회1976 인스브루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
13회1980 레이크플래시드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14회1984 사라예보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15회1988 캘거리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16회1992 알베르빌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17회1994 릴레함메르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18회1998 나가노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리핀스키
19회2002 솔트레이크시티파일:미국 국기.svg 사라 휴즈20회2006 토리노파일:일본 국기.svg 아라카와 시즈카
21회2010 밴쿠버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22회2014 소치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23회2018 평창파일:오륜기.svg 알리나 자기토바24회2022 베이징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5회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26회?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 다보스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12회1907 빈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3회1908 트로파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4회1909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5회1910 베를린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16회1911 빈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7회1912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18회1913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19회1914 생모리츠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20회1915취소WWI
21회1916취소WWI22회1917취소WWI
23회1918취소WWI24회1919취소WWI
25회1920취소WWI26회1921취소WWI
27회1922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28회1923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9회1924 맨체스터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0회1925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1회1926 스톡홀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32회1927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3회1928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4회1929 부다페스트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5회1930 뉴욕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6회1931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7회1932 몬트리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38회1933 스톡홀름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9회1934 오슬로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0회1935 빈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1회1936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2회1937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43회1938 스톡홀름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44회1939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
45회1940취소WWII46회1941취소WWII
47회1942취소WWII48회1943취소WWII
49회1944취소WWII50회1945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6취소WWII52회1947 스톡홀름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3회1948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54회1949 파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55회1950 웸블리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56회1951 밀라노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57회1952 파리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58회1953 다보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59회1954 오슬로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쉬60회1955 빈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61회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2회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3회1958 파리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64회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5회1960 밴쿠버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66회1961 프라하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1962 프라하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68회1963 코르티나담페초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69회1964 도르트문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70회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버카
71회1966 다보스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2회1967 빈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3회1968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74회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75회1970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76회1971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77회1972 캘거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78회1973 브라티슬라바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
79회1974 뮌헨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80회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더레이우
81회1976 예테보리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82회1977 도쿄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3회1978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4회1979 빈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5회1980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6회1981 하트퍼드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87회1982 코펜하겐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88회1983 헬싱키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89회1984 오타와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0회1985 도쿄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1회1986 제네바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92회1987 신시내티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3회1988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4회1989 파리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이토 미도리
95회1990 핼리팩스파일:미국 국기.svg 질 트레나리96회1991 뮌헨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97회1992 오클랜드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98회1993 프라하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99회1994 치바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사토 유카100회1995 버밍엄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 펼치기 · 접기 ]

40회(1930년) ~ 50회(1940년)
[ 펼치기 · 접기 ]

40회1930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프리치 버거
41회1931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2회1932 파리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3회1933 런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4회1934 프라하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5회1935 생모리츠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46회1936 베를린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7회1937 프라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48회1938 생모리츠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49회1939 런던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50회1940취소WWII

51회(1941년) ~ 100회(1990년)
[ 펼치기 · 접기 ]

51회1941취소WWII52회1942취소WWII
53회1943취소WWII54회1944취소WWII
55회1945취소WWII56회1946취소WWII
57회1947 다보스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58회1948 프라하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9회1949 밀라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에바 폴릭60회1950 오슬로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61회1951 취리히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62회1952 빈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63회1953 도르트문트파일:영국 국기.svg 벌더 오스본64회1954 볼자노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시
65회1955 부다페스트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에이글66회1956 파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잉그리드 벤들
67회1957 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에이글68회1958 브라티슬라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잉그리드 벤들
69회1959 다보스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한나 월터70회1960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71회1961 서 베를린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72회1962 제네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73회1963 부다페스트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74회1964 그르노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75회1965 모스크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레진 하이저76회1966 브라티슬라바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레진 하이저
77회1967 류블랴나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78회1968 베스테로스파일:체코 국기.svg 한나 마스코바
79회1969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80회1970 레닌그라드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81회1971 취리히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82회1972 예테보리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83회1973 쾰른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84회1974 자그레브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85회1975 코펜하겐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86회1976 제네바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데 레이우
87회1977 헬싱키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88회1978 스트라스부르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89회1979 자그레브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90회1980 예테보리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91회1981 인스브루크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92회1982 리옹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클라우디아 크리스토픽스 바인더
93회1983 도르트문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4회1984 부다페스트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5회1985 예테보리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6회1986 코펜하겐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7회1987 사라예보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98회1988 프라하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9회1989 버밍엄파일:독일 국기.svg 클라우디아 라이슈트너100회1990 레닌그라드파일:동독 국기.svg 에블린 그로스만

101회(1991년) ~
[ 펼치기 · 접기 ]

101회1991 소피아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102회1992 로잔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103회1993 헬싱키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104회1994 코펜하겐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105회1995 도르트문트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106회1996 소피아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107회1997 파리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108회1998 밀라노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109회1999 프라하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110회2000 빈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111회2001 브라티슬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112회2002 로잔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부티르스카야
113회2003 말뫼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114회2004 부다페스트파일:헝가리 국기.svg 율리아 세바스티앙
115회2005 토리노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116회2006 리옹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117회2007 바르샤바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118회2008 자그레브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119회2009 헬싱키파일:핀란드 국기.svg 라우라 레피스퇴120회2010 탈린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121회2011 베른파일:스위스 국기.svg 사라 마이어122회2012 셰필드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
123회2013 자그레브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카롤리나 코스트너124회2014 부다페스트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125회2015 스톡홀름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리자베타 툭타미셰바126회2016 브라티슬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127회2017 오스트라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128회2018 모스크바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129회2019 민스크파일:러시아 국기.svg 소피야 사모두로바130회2020 그라츠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코스토르나야
131회2021 자그레브취소COVID-19132회2022 탈린파일:러시아 국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133회2023 에스포파일:조지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구바노바134회2024 부다페스트파일:국기.svg ?
135회2025 자그레브파일:국기.svg ?136회2026 셰필드파일:국기.svg ?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노르웨이선수권 여자 싱글 챔피언
파일:노르웨이 빙상연맹.jpg
인그리드 걸브랜드센
(1924)
소냐 헤니
(1925~1929)
에델 렌덤
(1930)


파일:Sonja Henie.png
이름소냐 헤니 (Sonja Henie)
국적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
출생1912년 4월 8일
오슬로
사망1969년 10월 12일 (향년 57세)
신체155cm
종목피겨 스케이팅
페어
파트너
아르네 라이
1. 개요
2. 선수 경력
2.1. 어린 시절
2.2. 페어 경력
2.3. 싱글 경력
3. 은퇴 이후
4. 평가
5. 나치 논란
6. 커리어
7. 여담



1. 개요[편집]


파일:Sonja_Henie.png
노르웨이의 여자 前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며, 최초이자 현재까지 유일하게 여성 선수로서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3연패를 달성한 인물이다.[1] 이외에도 남녀 싱글 통틀어 유일하게 세계선수권 10연패 및 유럽선수권 6연패를 달성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어린 시절[편집]


아버지 빌헬름 헤니는 젊은 시절 사이클링 세계선수권 우승자로 그의 아이들에게 어렸을 때부터 스포츠를 접할 수 있게 해주었다고 한다. 특히 소냐는 운동신경이 매우 좋아 손꼽힐 정도의 발레, 수영, 스키, 승마, 테니스를 두로 섭렵했고 피겨 스케이팅을 하던 오빠에게 이끌려 피겨 스케이팅을 시작했다.

2.2. 페어 경력[편집]


아르네 라이와 팀을 결성해 활동했으며 1926년부터 1928년까지 노르웨이선수권 3회 우승, 1926 세계선수권 5위의 경력이 있다.

2.3. 싱글 경력[편집]


1924 샤모니 동계올림픽 8위, 1924 세계선수권에서 5위에 오르며 국제 무대 데뷔를 치렀다. 2년 뒤인 1926 세계선수권 은메달을 시작으로 메달 적금에 가입했다. 아닌 게 아니라 1927 세계선수권[2]부터 1936년까지 9년 간 올림픽, 세계선수권, 유럽선수권, 노르웨이선수권에서 계속 1위를 차지했다.

3. 은퇴 이후[편집]


1936 세계선수권을 마지막으로 은퇴를 선언했지만 세상은 이 대스타를 가만두지 않았다. 은퇴하자마자 할리우드에서 러브 콜이 쇄도를 했던 것. 각종 피겨 영화 주연으로 캐스팅되고 당시 할리우드의 대세는 코미디 뮤지컬이었던지라 영화를 찍은 뒤 뮤지컬에도 진출해 호평을 받았다. 그 후에도 전문 기술이 필요한 피겨 스케이팅 관련 영화에 출연하면서 동시에 영화 음악, 제작 등 다방면에 걸쳐 활약과 함께 은퇴 후에도 성공적인 삶을 이어나갔다.

또한 은퇴 이후 아이스 쇼의 역사도 다시 썼다. 초창기의 아이스 쇼는 코믹하거나 기예단 같은 곡예적 기술에 의존했다. 한마디로 그냥 얼음 위에서 하는 서커스였다. 따라서 위에서 말했듯 소냐 헤니 이전의 엄격하고 예의 바른 피겨 스케이팅은 대중들이 보고 즐기기에는 무리가 있었고 당연히 경기와 아이스 쇼는 별개였다. 소냐 헤니는 본인이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린 피겨를 아이스 쇼와 접목해 얼음 위의 서커스였던 아이스 쇼의 위상을 한껏 끌어올렸으며 오늘날의 아이스 쇼의 원형을 만든 것도 소냐 헤니다.

1938년에는 노르웨이 왕궁으로부터 26세의 나이로 최연소 기사작위를 수여받았고 2차 세계 대전 전 이미 연 수입이 200만 달러에 달했다.[3]따지면 위에서 말한 대로 아이스 쇼의 변혁를 비롯한 피겨의 대중화에 힘썼으며 1956년 할리우드에서 은퇴한 뒤에는 세번째 남편 온스타와 고향인 오슬로에 돌아와 오슬로 근교에 대규모 현대 미술품을 전시하기 위한 공간으로 훌륭한 미술관인 '헤니 온스타 미술관' 을 건립했고 말년에는 백혈병으로 투병 생활을 하면서도 현대 미술 후원 활동을 하다가 1969년 파리에서 오슬로로 가는 비행 도중 57세의 일기로 생을 마감했다. 그녀의 남편과 함께 건립한 헤니 온스타 미술관을 내려보는 언덕에 남편과 같이 안장되었으며 사후 할리우드 명예의 전당과 세계 피겨 스케이팅 명예의 전당, 국제 여성 스포츠 명예의 전당에 모두 이름이 실렸다.

4. 평가[편집]


소냐 헤니를 빼놓고는 피겨 스케이팅 역사가 설명이 불가능하며 여자 피겨 스케이팅으로 좁히면 아예 얘기가 안 된다. 그녀가 대단한 건 단지 올림픽 3연패나 월드 10연패 같은 결과표를 놓고만 말하는 게 아니다. 소냐 헤니는 피겨 초기의 '남성 위주의 엄격하고 예의바른 스포츠'였던 모습을 아름다움이 중심이 되는 스포츠로 바꿨다.[4]

단순히 빙판 위에서 곡예를 부리는 정도였던 피겨 스케이팅발레의 유연하고 부드러운 표현을 접목시키고 극적인 손짓, 몸짓, 표정을 더해 피겨 스케이팅을 예술의 경지로 끌어올렸으며 스키의 스피디한 움직임을 더해 피겨 선수들의 활동반경을 은반 전체로 넓혀 피겨 기술 전반의 혁신을 가져왔다.

채점에서야 기술적인 부분이 더 높다고 한들 당장 관중들의 눈에 실감나게 와닿는 건 아름다움(예술성)이 더 클 수밖에 없고 유연하고 부드러운 예술성 높은 표현은 여성 선수들이 더 표현하기 더 유리하고 더 수려하니 남성 중심적이었던 피겨 스케이팅이 점차 여성 중심으로 변해가게 한 중심에 바로 그녀가 있었다.

소냐 헤니는 뭔가를 표현하려 한다는 걸 느껴진다. 물론 영상 간 시대 차이도 있고 지금 현재 피겨 스케이팅과는 많이 차이가 있어 이게 뭔가 싶기도 하겠지만 많은 올드 피겨인들이 지금도 소냐 헤니를 말할 때 가슴 벅차하며 그녀의 연기하는 모습을 직접 혹은 TV로 본 것을 잊을 수 없다고 말하는 것에는 분명 이유가 있다.
파일:attachment/Sonja_Henie2.jpg
그리고 여자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미니스커트 경기복도 그녀가 처음으로 도입한 것이다. 그 이전에 다 저런 크고 펄럭이는 긴 치마였다. 현대 경영에서 White Skate라고 하면 기존의 개념을 뒤엎는 혁신을 의미하는데, 이 단어가 바로 소냐 헤니에게서 왔다. 현대 피겨의 큰 원형은 소냐 헤니가 다 닦아놓은 거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5. 나치 논란[편집]


선수로는 도무지 결점이라고는 찾을 수 없는 그녀에게도 지금까지 논란이 되는 것이 있다. 바로 나치와 관련한 이야기들로 1936년 독일에서 열린 동계 올림픽의 참가로 아돌프 히틀러와 나치 지도층 인사들과 쌓은 친분 관계는 그녀가 종종 독일 베를린에서 공연을 하며 히틀러와 많은 독일 관객에게 강한 인상을 심으며 상당한 흥행 수입을 독일 나치 시기에 벌어들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 그녀는 공연에 참석한 히틀러를 나치식 경례로 맞이한 사실과 동계올림픽이 끝난 후 베르히테스가튼에 위치한 히틀러의 별장에서 점심 식사를 함께 하기도 했다.

또한 미국의 참전에 아낌없는 후원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를 점령한 나치에 대항하는 노르웨이 레지스탕스의 지원을 거절[5]하는 등 이중적인 태도가 논쟁의 중심이었으며 노르웨이를 점령한 나치가 그녀의 노르웨이 재산에 대해서는 압수나 몰수 등의 조치를 하지 않는 등 나치는 그녀에게 상당히 호의적이었다. 그래서 많은 노르웨이인들과 노르웨이계 미국인 사회에서 소외되었다.

하지만 1953년과 1955년 공연을 위해 노르웨이를 방문했을 때 많은 노르웨이인들이 그녀를 환영해주었다. 나치는 그녀를 단지 세계적인 대스타로서 존중해주고 소냐도 그에 맞는 예로 대한 것 뿐이라는 이들도 있으나 노르웨이 레지스탕스의 지원 거절은 어떻게든 변명할 방법이 없다.

6. 커리어[편집]


올림픽
금메달1928 생모리츠여자 싱글
금메달1932 레이크플래시드여자 싱글
금메달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1927 오슬로여자 싱글
금메달1928 런던여자 싱글
금메달1929 부다페스트여자 싱글
금메달1930 뉴욕여자 싱글
금메달1931 베를린여자 싱글
금메달1932 몬트리올여자 싱글
금메달1933 스톡홀름여자 싱글
금메달1934 오슬로여자 싱글
금메달1935 빈여자 싱글
금메달1936 파리여자 싱글
은메달1926 스톡홀름여자 싱글
유럽선수권
금메달1931 생모리츠여자 싱글
금메달1932 파리여자 싱글
금메달1933 런던여자 싱글
금메달1934 프라하여자 싱글
금메달1935 생모리츠여자 싱글
금메달1936 베를린여자 싱글

싱글 경력
대회19231924192519261927192819291930193119321933193419351936
올림픽8th1st1st1st
세계선수권5th2nd1st1st1st1st1st1st1st1st1st1st
유럽선수권1st1st1st1st1st1st
노르웨이선수권1st1st1st1st1st1st1st
페어 경력[6]
세계선수권5th
노르웨이선수권1st1st1st

7. 여담[편집]


  • 아무리 뛰어난 피겨 스케이팅 선수도 소냐 헤니와 비교하지는 않는다. 아니 못한다. 거의 신성불가침의 위치에 있는 단 한명의 존재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7] 그 선수가 단순히 소냐 헤니보다 뛰어나냐 떨어지냐를 떠나서 피겨 역사에서 둘도 없을 전설이기에 그 예를 갖추는 것이라 생각하면 된다. 소냐 헤니와 함께 언급된다는 거 자체가 이미 그 선수가 세계 최정상급이지 않고서야 나올 수 없는 얘기다. 심지어 비교한다고 쳐도 다 하나같이 "○○○와 소냐 헤니를 비교할 수는 없지만 그녀는 지금 누구와도 견줄 수 없는 위치에 있다"라는 뉘앙스이다.
  • 자신의 본업인 스포츠는 물론 영화, 음악, 미술까지 거의 예체능 전 분야에서 다양하게 활동하고 활동한 모든 분야에서 그 공로를 인정받은 전무후무한 인물이라서 나치에 관련된 오점이 너무나도 아쉬울 수밖에 없는 부분이다. 살아오며 오점 하나 안 남긴 사람이 어디 있겠냐만은 나치에 관련된 부분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신음한 유럽인들, 특히 그녀의 모국인 노르웨이인들 관점에서는 오점 하나 수준으로 치부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
  • 여성 최초 러츠 및 악셀 점프 성공자로 피겨 관련 역사책들에 기록돼있는데 그녀의 아이스 쇼에 3년 간 참가했던 미국에 거주하는 노장 스케이터에 의하면 소냐의 악셀 점프는 프리 로테이션[8]이 심한 살코에 가깝다고 한다. 하지만 프리 로테이션은 구 채점제 시절 여자 피겨에선 관행적인 것이었고[9] 소냐 헤니가 활동한 당시는 적어도 여성 피겨 스케이팅에 있어선 프리 로테이션이라는 개념조차 희소했을 때라 노장 스케이터의 말은 시대착오적이라는 비판과 함께 묻혔다. 더군다나 그녀가 아이스 쇼의 개념과 위상을 홀로 뒤바꾸던 때는 은퇴 후라는 걸 감안하면 정말 대단한 거다.
  • 그녀가 당시 관행이던 검정 스케이트와 긴 치마 대신 흰 스케이트와 짧은 치마를 입고 경기한 데서 '화이트 스케이트'(White Skate)라는 말이 유래했으며 혁신적인 아이디어를 의미한다고 한다.
  • 예쁘고 귀여운 얼굴[10]에 어렸을 적부터 160cm라는 크지 않은 키지만 길고 가는 팔다리를 위시로 한 완벽한 신체비율에 운동으로 다져진 몸매며 미니스커트를 최초로 경기복에 도입한 것만 봐도 짐작할 수 있겠지만 패션 센스 또한 상당히 세련되어 노르웨이는 물론이고 전세계의 대스타였다.
  • 결혼 생활은 순탄하지 못했다. 2번의 결혼 실패 후 노르웨이의 선박업자이며 예술 후원자로 유명한 닐스 온스타(Niels Onstad)와 3번째 결혼이 그나마 안정된 결혼 생활이었다.
  • 2020년 3월 26일 그녀의 일대기를 다룬 퀸 오브 아이스라는 영화가 개봉했다.
[1] 여자 싱글에서 3연패는 고사하고 2연패를 달성한 선수도 카타리나 비트 뿐이다. 다만 남자 싱글은 사정이 좀 다른데 3연패 달성 선수로 일리스 그라프스트룀, 2연패 달성 선수로 카를 섀퍼, 딕 버튼, 하뉴 유즈루가 있다.[2] 세계선수권 5연패를 달성한 헤르마 스자보를 꺾었는데 당시 노르웨이 심판 3명, 독일 심판 1명, 오스트리아 심판 1명이 있었다. 이중 노르웨이인 3명은 헤니, 독일인과 오스트리아인은 스자보의 손을 들어주어 논란이 있었다. 어쩌면 피겨판은 초창기부터 썩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헤니는 다음 시즌에 다시 대결을 하자고 제안했지만 이미 올림픽 금메달, 세계선수권 금메달 5개와 페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2개를 갖고 있던 자보는 그 대회를 끝으로 은퇴해버렸다.[3] 인플레이션을 고려하지 않고 한화로 따지면 약 24억 원이었다. 인플레이션을 따지면 연 수입이 수백억에 달했다는 뜻이다.[4] 당시 빙상계가 얼마나 남성 중심적이었냐면 올림픽과 세계선수권보다 더 오래 된 유럽선수권이 1931년이 되어서야 여자 싱글을 창설했다.[5] 이게 가장 치명적이다. 그동안 나치에게 받아온 환대가 신경쓰였다 할지라도 차라리 노 코멘트로 일관하거나 침묵했었으면 좋았을 지도 모른다.[6] 아르네 나이와의 경력[7] 개인사를 제외하고 순수하게 피겨 스케이터로서는 그렇다는 말이다. 나치와 관련해서는 얄쨜없이 까인다.[8] 점프가 시작되기 전에 미리 몸이나 발을 틀어서 반 바퀴 이상 회전을 넣고 점프하는 것이다.[9] 사실 이토 미도리 이전의 여자 선수들한테 프리 로테이션을 가지고 딴지를 걸면 대부분의 선수들이 해당된다.[10] 심지어 엄청난 동안으로 프로필 사진은 30대 중반의 모습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3 23:22:40에 나무위키 소냐 헤니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