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크리스티 야마구치

덤프버전 :

크리스티 야마구치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역대
'''[[틀:역대 동계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금메달리스트
]]'''
>

[ 펼치기 · 접기 ]
하계 올림픽
1908
1908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920
1920 안트베르펀
파일:스웨덴 국기.svg 마그다 율린
동계 올림픽
1회
1924 샤모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회
1928 생모리츠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회
1932 레이크플래시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회
193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5회
1948 생모리츠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6회
1952 오슬로
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7회
1956 코르티나담페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8회
1960 스쿼밸리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
9회
1964 인스브루크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10회
1968 그르노블
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11회
1972 삿포로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12회
1976 인스브루크
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
13회
1980 레이크플래시드
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14회
1984 사라예보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15회
1988 캘거리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16회
1992 알베르빌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17회
1994 릴레함메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18회
1998 나가노
파일:미국 국기.svg 타라 리핀스키
19회
2002 솔트레이크시티
파일:미국 국기.svg 사라 휴즈
20회
2006 토리노
파일:일본 국기.svg 아라카와 시즈카
21회
2010 밴쿠버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22회
2014 소치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23회
2018 평창
파일:오륜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24회
2022 베이징
파일:러시아 올림픽 위원회 기.svg 안나 셰르바코바
25회
2026 밀라노·
코르티나담페초

파일:국기.svg ?
26회
?
파일:국기.svg ?
* 1912년 올림픽에는 종목으로 추가되어있지 않았고, 1916년 올림픽은 제1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
1940년과 1944년 올림픽은 제2차 세계 대전으로 인해 취소됨.
* 1994년 릴레함메르 올림픽부터 동하계 올림픽 개최 주기가 2년마다 번갈아 열림.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35deg, #0078D0 20%, #FFB114 20%, #FFB114 40%, #000 40%, #000 60%, #00A651 60%, #00A651 80%, #F0282D 80%); font-size: 1em;"
역대 올림픽 메달리스트
{{{-3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fd700; font-size: 1em;"
금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0c0c0; font-size: 1em;"
은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cd7f32; font-size: 1em;"
동메달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1회(1906년) ~ 50회(1945년)

[ 펼치기 · 접기 ]
11회
1906 다보스
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2회
1907 빈
파일:영국 국기.svg 마지 시어스
13회
1908 트로파우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4회
1909 부다페스트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5회
1910 베를린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6회
1911 빈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릴리 크론베르거
17회
1912 다보스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18회
1913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19회
1914 생모리츠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피가 본 메러이 호르바트
20회
1915
취소WWI
21회
1916
취소WWI
22회
1917
취소WWI
23회
1918
취소WWI
24회
1919
취소WWI
25회
1920
취소WWI
26회
1921
취소WWI
27회
1922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8회
1923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29회
1924 맨체스터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0회
1925 빈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1회
1926 스톡홀름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헤르마 스자보
32회
1927 오슬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3회
1928 런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4회
1929 부다페스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5회
1930 뉴욕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6회
1931 베를린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7회
1932 몬트리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8회
1933 스톡홀름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39회
1934 오슬로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0회
1935 빈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1회
1936 파리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소냐 헤니
42회
1937 런던
파일:영국 국기.svg 세실리아 콜레지
43회
1938 스톡홀름
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
44회
1939 프라하
파일:영국 국기.svg 메건 테일러
45회
1940
취소WWII
46회
1941
취소WWII
47회
1942
취소WWII
48회
1943
취소WWII
49회
1944
취소WWII
50회
1945
취소WWII

51회(1946년) ~ 100회(1995년)

[ 펼치기 · 접기 ]
51회
1946
취소WWII
52회
1947 스톡홀름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3회
1948 다보스
파일:캐나다 자치령 국기(1921-1957).svg 바버라 앤 스콧
54회
1949 파리
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55회
1950 웸블리
파일:체코 국기.svg 알레나 브르자뇨바
56회
1951 밀라노
파일:영국 국기.svg 지네트 알트웨그
57회
1952 파리
파일:프랑스 국기(1794-1815, 1830-1958).svg 자케린 두 비에프
58회
1953 다보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59회
1954 오슬로
파일:독일 국기.svg 건디 부쉬
60회
1955 빈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텐리 올브라이트
61회
1956 가르미슈파르텐키르헨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2회
1957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3회
1958 파리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4회
195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1912-1959).svg 캐럴 하이스
65회
1960 밴쿠버
파일:미국 국기(1959-1960).svg 캐럴 하이스
66회
1961 프라하
취소사베나 548 비행기 추락사건
67회
1962 프라하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68회
1963 코르티나담페초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69회
1964 도르트문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샤우켜 데이크스트라
70회
196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캐나다 국기.svg 페트라 버카
71회
1966 다보스
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2회
1967 빈
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3회
1968 제네바
파일:미국 국기.svg 페기 플레밍
74회
1969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75회
1970 류블랴나
파일:동독 국기.svg 가브리엘 세이페르트
76회
1971 리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77회
1972 캘거리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비아트릭스 슈바
78회
1973 브라티슬라바
파일:캐나다 국기.svg 카렌 마그누센
79회
1974 뮌헨
파일:동독 국기.svg 크리스틴 에라스
80회
197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다이앤 더레이우
81회
1976 예테보리
파일:미국 국기.svg 도로시 해밀
82회
1977 도쿄
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3회
1978 오타와
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84회
1979 빈
파일:미국 국기.svg 린다 프래티아니
85회
1980 도르트문트
파일:동독 국기.svg 아네트 푀치
86회
1981 하트퍼드
파일:스위스 국기.svg 데니스 비엘만
87회
1982 코펜하겐
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
88회
1983 헬싱키
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89회
1984 오타와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0회
1985 도쿄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1회
1986 제네바
파일:미국 국기.svg 데비 토머스
92회
1987 신시내티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3회
1988 부다페스트
파일:동독 국기.svg 카타리나 비트
94회
1989 파리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이토 미도리
95회
1990 핼리팩스
파일:미국 국기.svg 질 트레나리
96회
1991 뮌헨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97회
1992 오클랜드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98회
1993 프라하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옥사나 바이울
99회
1994 치바
파일:일본 제국 국기.svg 사토 유카
100회
1995 버밍엄
파일:중국 국기.svg 천루

101회(1996년) ~

[ 펼치기 · 접기 ]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단체전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회(1976년) ~ 50회(2025년)

[ 펼치기 · 접기 ]
1회
1976 므제브
파일:미국 국기.svg 수지 브래셔
2회
1977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롤린 스코젠
3회
1978 므제브
파일:미국 국기.svg 질 쇼어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파일:미국 국기.svg 일레인 자약
5회
1980 므제브
파일:미국 국기.svg 로잘린 섬너스
6회
1981 런던
파일:미국 국기.svg 티파니 친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동독 국기.svg 자니아 버스
8회
1983 사라예보
파일:동독 국기.svg 시몬 코흐
9회
1984 삿포로
파일:동독 국기.svg 카린 헨드슈케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타티아나 안드리바
11회
1986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고르벤코
12회
1987 키치너
파일:미국 국기.svg 신디 보츠
13회
1988 브리즈번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14회
1989 사라예보
파일:미국 국기.svg 제시카 밀스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일본 국기.svg 사토 유카
16회
1991 부다페스트
파일:프랑스 국기.svg 수리야 보날리
17회
1992 헐
파일:프랑스 국기.svg 라에티티아 허벌트
18회
1993 서울
파일:일본 국기.svg 코이와이 쿠미코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미국 국기.svg 미셸 콴
20회
1995 부다페스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이리나 슬루츠카야
21회
1996 브리즈번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이바노바
22회
1997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시드니 보겔
23회
1998 세인트 존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솔다토바
24회
1999 자그레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리아 티모셴코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제니퍼 커크
26회
2001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리스티나 오블라소바
27회
2002 하마르
파일:미국 국기.svg 앤 패트리스 맥도너
28회
2003 오스트라바
파일:일본 국기.svg 오타 유키나
29회
2004 헤이그
파일:일본 국기.svg 안도 미키
30회
2005 키치너
파일:일본 국기.svg 아사다 마오
31회
2006 류블랴나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김연아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캐럴라인 장
33회
2008 소피아
파일:미국 국기.svg 레이첼 플랫
34회
2009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료나 레오노바
35회
2010 헤이그
파일:일본 국기.svg 무라카미 카나코
36회
2011 강릉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델리나 소트니코바
37회
2012 민스크
파일:러시아 국기.svg 율리아 리프니츠카야
38회
2013 밀라노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라디오노바
39회
2014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라디오노바
40회
2015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예브게니야 메드베데바
41회
2016 데브레첸
파일:일본 국기.svg 혼다 마린
42회
2017 타이베이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리나 자기토바
43회
201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44회
2019 자그레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알렉산드라 트루소바
45회
2020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카밀라 발리예바
46회
2021 하얼빈
취소COVID-19
47회
2022 탈린
파일:미국 국기.svg 이사보 레비토
48회
2023 캘거리
파일:일본 국기.svg 시마다 마오
49회
2024 타이베이
파일:국기.svg ?
50회
2025 데브레첸
파일:국기.svg ?

51회(2026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
2026 탈린
파일:국기.svg ?
52회
?
파일:국기.svg ?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주니어 세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주니어 세계선수권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회(1976년) ~ 50회(2025년)

[ 펼치기 · 접기 ]
1회
1976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셰리 배이어 / 로빈 코원
2회
1977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조세 프랑스 / 폴 밀스
3회
1978 므제브
파일:캐나다 국기.svg 바바라 언더힐 / 폴 말티니
4회
1979 아우크스부르크
파일:소련 국기.svg 베로니카 페르시나 / 매럿 마크바로프
5회
1980 므제브
파일:소련 국기.svg 라리사 셀레즈네바 / 올렉 마카로프
6회
1981 런던
파일:소련 국기.svg 라리사 셀레즈네바 / 올렉 마카로프
7회
1982 오버스트도르프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브스트리스카야 / 유리 크바슈닌
8회
1983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마리나 아브스트리스카야 / 유리 크바슈닌
9회
1984 삿포로
파일:동독 국기.svg 마누엘라 랜그라프 / 잉고 슈토이어
10회
1985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예카테리나 고르데예바 / 세르게이 그린코프
11회
1986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레오노바 / 겐나디 크라스니츠키
12회
1987 키치너
파일:소련 국기.svg 옐레나 레오노바 / 겐나디 크라스니츠키
13회
1988 브리즈번
파일:미국 국기.svg 크리스티 야마구치 / 러디 갈린도
14회
1989 사라예보
파일:소련 국기.svg 예브게니야 체르니쇼바 / 드미트리 수카노바
15회
1990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크레스티아니코바 / 알렉세이 토친스키
16회
1991 부다페스트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크레스티아니코바 / 알렉세이 토친스키
17회
1992 헐
파일:소련 국기.svg 나탈리아 크레스티아니코바 / 알렉세이 토친스키
18회
1993 서울
파일:러시아 국기.svg 인가 코르슈노바 / 드미트리 사벨리예프
19회
1994 콜로라도 스프링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페트로바 / 안톤 시하룰리제
20회
1995 부다페스트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페트로바 / 안톤 시하룰리제
21회
1996 브리즈번
파일:러시아 국기.svg 빅토리아 막시우타 / 블라디슬라브 죠브니르스키
22회
1997 서울
파일:미국 국기.svg 다니엘 하트셀 / 스티브 하트셀
23회
1998 세인트 존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율리아 오버타스 / 드미트로 팔라마르츅
24회
1999 자그레브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율리아 오버타스 / 드미트로 팔라마르츅
25회
2000 오버스트도르프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알리오나 사브첸코 / 스타니슬라브 모로조프
26회
2001 소피아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27회
2002 하마르
파일:러시아 국기.svg 옐레나 리아브츅 / 스타니슬라브 자카로프
28회
2003 오스트라바
파일:중국 국기.svg 장단 / 장하오
29회
2004 헤이그
파일:러시아 국기.svg 나탈리아 셰스타코바 / 파벨 레베데프
30회
2005 키치너
파일:러시아 국기.svg 마리아 무호르토바 / 막심 트란코프
31회
2006 류블랴나
파일:미국 국기.svg 율리아 블라소프 / 드류 미킨스
32회
2007 오버스트도르프
파일:미국 국기.svg 키우나 맥러플린 / 로크니 브루베이커
33회
200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크세니아 크라실니코바 / 콘스탄틴 베즈마테르니크
34회
2009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류보브 일유셰츠키나 / 노다리 마이수라제
35회
2010 헤이그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36회
2011 강릉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37회
2012 민스크
파일:중국 국기.svg 쑤이원징 / 한충
38회
2013 밀라노
파일:미국 국기.svg 헤븐 데니 / 브랜던 프레이저
39회
2014 소피아
파일:중국 국기.svg 위샤오위 / 진양
40회
2015 탈린
파일:중국 국기.svg 위샤오위 / 진양
41회
2016 데브레첸
파일:체코 국기.svg 안나 두스코바 / 마르틴 비다르
42회
2017 타이베이
파일:호주 국기.svg 예카테리나 알렉산드롭스카야 / 할리 윈저
43회
2018 소피아
파일:러시아 국기.svg 다리야 파블류첸코 / 데니스 호디킨
44회
2019 자그레브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나스타샤 미시나 / 알렉산드르 갈리아모프
45회
2020 탈린
파일:러시아 국기.svg 아폴리나리아 판필로바 / 드미트리 릴로프
46회
2021 하얼빈
취소COVID-19
47회
2022 탈린
파일:조지아 국기.svg 카리나 사피나 / 루카 베룰라바
48회
2023 캘거리
파일:미국 국기.svg 소피아 바람 / 다니엘 툐우멘체프
49회
2024 타이베이
파일:국기.svg ?
50회
2025 데브레첸
파일:국기.svg ?

51회(2026년) ~

[ 펼치기 · 접기 ]
51회
2026 탈린
파일:국기.svg ?
52회
?
파일:국기.svg ?


{{{-3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주니어 세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2780c2; font-size: 1em;"
주니어 그랑프리 파이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
1914 뉴헤이븐
테레사 웰드
2회
1915
취소WWI
3회
1916
취소WWI
4회
1917
취소WWI
5회
1918 뉴욕시
로즈메리 베리스퍼드
6회
1919
미개최
7회
1920 뉴욕시
테레사 웰드
8회
1921 필라델피아
테레사 웰드
9회
1922 보스턴
테레사 웰드
10회
1923 뉴헤이븐
테레사 웰드
11회
1924 필라델피아
테레사 웰드
12회
1925 뉴욕시
비어트릭스 로크런
13회
1926 보스턴
비어트릭스 로크런
14회
1927 뉴욕시
비어트릭스 로크런
15회
1928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16회
1929 뉴욕시
메리벨 빈슨
17회
1930 프로비던스
메리벨 빈슨
18회
1931 보스턴
메리벨 빈슨
19회
1932 뉴욕시
메리벨 빈슨
20회
1933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21회
1934 필라델피아
수잰 데이비스
22회
1935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23회
1936 뉴욕시
메리벨 빈슨
24회
1937 시카고
메리벨 빈슨
25회
1938 필라델피아
조앤 토저
26회
1939 세인트 폴
조앤 토저
27회
1940 클리블랜드
조앤 토저
28회
1941 보스턴
제인 본
29회
1942 시카고
제인 본
30회
1943 뉴욕시
그레천 메릴
31회
1944 미니애폴리스
그레천 메릴
32회
1945 뉴욕시
그레천 메릴
33회
1946 시카고
그레천 메릴
34회
1947 버클리
그레천 메릴
35회
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
그레천 메릴
36회
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
이본 C. 셔먼
37회
1950 워싱턴 D.C.
이본 C. 셔먼
38회
1951 시애틀
소냐 크로퍼
39회
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
텐리 올브라이트
40회
1953 허시
텐리 올브라이트
41회
1954 로스앤젤레스
텐리 올브라이트
42회
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
텐리 올브라이트
43회
1956 필라델피아
텐리 올브라이트
44회
1957 버클리
캐럴 하이스
45회
1958 미니애폴리스
캐럴 하이스
46회
1959 로체스터
캐럴 하이스
47회
1960 시애틀
캐럴 하이스
48회
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
로런스 오언
49회
1962 보스턴
바버라 롤스 퍼즐리
50회
1963 롱비치
로레인 핸런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
1964 클리블랜드
페기 플레밍
52회
1965 레이크플래시드
페기 플레밍
53회
1966 버클리
페기 플레밍
54회
1967 오마하
페기 플레밍
55회
1968 필라델피아
페기 플레밍
56회
1969 시애틀
재닛 린
57회
1970 털사
재닛 린
58회
1971 버팔로
재닛 린
59회
1972 롱비치
재닛 린
60회
1973 미니애폴리스
재닛 린
61회
1974 프로비던스
도로시 해밀
62회
1975 오클랜드
도로시 해밀
63회
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
도로시 해밀
64회
1977 하트퍼트
린다 프래티아니
65회
1978 포틀랜드
린다 프래티아니
66회
1979 신시내티
린다 프래티아니
67회
1980 애틀랜타
린다 프래티아니
68회
1981 샌디에이고
일레인 자약
69회
1982 인디애나폴리스
로잘린 섬너스
70회
1983 피츠버그
로잘린 섬너스
71회
1984 솔트레이크시티
로잘린 섬너스
72회
1985 캔자스시티
티파니 친
73회
1986 유니언데일
데비 토머스
74회
1987 타코마
질 트레나리
75회
1988 덴버
데비 토머스
76회
1989 볼티모어
질 트레나리
77회
1990 솔트레이크시티
질 트레나리
78회
1991 미니애폴리스
토냐 하딩
79회
1992 올랜도
크리스티 야마구치
80회
1993 피닉스
낸시 케리건
81회
1994 디트로이트
-
82회
1995 프로비던스
미셸 콴
83회
1996 산호세
타라 리핀스키
84회
1997 내슈빌
미셸 콴
85회
1998 필라델피아
미셸 콴
86회
1999 솔트레이크시티
미셸 콴
87회
2000 클리블랜드
미셸 콴
88회
2001 보스턴
미셸 콴
89회
2002 로스앤젤레스
미셸 콴
90회
2003 댈러스
미셸 콴
91회
2004 애틀랜타
미셸 콴
92회
2005 포틀랜드
미셸 콴
93회
2006 세인트루이스
사샤 코헨
94회
2007 스포캔
키미 마이즈너
95회
2008 세인트 폴
미라이 나가수
96회
2009 클리블랜드
알리사 시즈니
97회
2010 스포캔
레이첼 플랫
98회
2011 그린스보로
알리사 시즈니
99회
2012 산호세
애슐리 와그너
100회
2013 오마하
애슐리 와그너

101회(2014년) ~

* 토냐 하딩 사건으로 인해 1994 전미선수권 챔피언 토냐 하닝의 타이틀을 박탈함.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3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

전미선수권

{{{#!wiki style="margin: 0 -10px -5px"
[ 펼치기 · 접기 ]
1회(1914년) ~ 50회(1963년)

[ 펼치기 · 접기 ]
1회
1914 뉴헤이븐
잔 슈벨리에 / 노먼 M. 스콧
2회
1915
취소WWI
3회
1916
취소WWI
4회
1917
취소WWI
5회
1918 뉴욕시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6회
1919
미개최
7회
1920 뉴욕시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8회
1921 필라델피아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9회
1922 보스턴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0회
1923 뉴헤이븐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1회
1924 필라델피아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2회
1925 뉴욕시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3회
1926 보스턴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4회
1927 뉴욕시
테리사 웰드 / 너새니얼 나일스
15회
1928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 손턴 쿨리지
16회
1929 뉴욕시
메리벨 빈슨 / 손턴 쿨리지
17회
1930 프로비던스
비어트릭스 로크런 / 셔윈 배저
18회
1931 보스턴
비어트릭스 로크런 / 셔윈 배저
19회
1932 뉴욕시
비어트릭스 로크런 / 셔윈 배저
20회
1933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 조지 힐
21회
1934 필라델피아
그레이스 매든 / 제임스 레스터 매든
22회
1935 뉴헤이븐
메리벨 빈슨 / 조지 힐
23회
1936 뉴욕시
메리벨 빈슨 / 조지 힐
24회
1937 시카고
메리벨 빈슨 / 조지 힐
25회
1938 필라델피아
조앤 토저 / 버나드 폭스
26회
1939 세인트 폴
조앤 토저 / 버나드 폭스
27회
1940 클리블랜드
조앤 토저 / 버나드 폭스
28회
1941 보스턴
도나 애트우드 / 유진 터너
29회
1942 시카고
도리스 슈바크 / 월터 노프키
30회
1943 뉴욕시
도리스 슈바크 / 월터 노프키
31회
1944 미니애폴리스
도리스 슈바크 / 월터 노프키
32회
1945 뉴욕시
도나 J. 포스피실 / 장피에르 브뤼네
33회
1946 시카고
도나 J. 포스피실 / 장피에르 브뤼네
34회
1947 버클리
이본 셔먼 / 로버트 스웨닝
35회
1948 콜로라도 스프링스
캐럴 케네디 / 피터 케네디
36회
1949 콜로라도 스프링스
캐럴 케네디 / 피터 케네디
37회
1950 워싱턴 D.C.
캐럴 케네디 / 피터 케네디
38회
1951 시애틀
캐럴 케네디 / 피터 케네디
39회
1952 콜로라도 스프링스
캐럴 케네디 / 피터 케네디
40회
1953 허시
캐럴 오머카 / 로빈 그레이너
41회
1954 로스앤젤레스
캐럴 오머카 / 로빈 그레이너
42회
1955 콜로라도 스프링스
캐럴 오머카 / 로빈 그레이너
43회
1956 필라델피아
캐럴 오머카 / 로빈 그레이너
44회
1957 버클리
낸시 루딩턴 / 로널드 루딩턴
45회
1958 미니애폴리스
낸시 루딩턴 / 로널드 루딩턴
46회
1959 로체스터
낸시 루딩턴 / 로널드 루딩턴
47회
1960 시애틀
낸시 루딩턴 / 로널드 루딩턴
48회
1961 콜로라도 스프링스
메리벨 오언 / 더들리 리처즈
49회
1962 보스턴
도러시앤 넬슨 / 피터 콜런
50회
1963 롱비치
주디앤 포더링일 / 제리 포더링일

51회(1964년) ~ 100회(2013년)

[ 펼치기 · 접기 ]
51회
1964 클리블랜드
주디앤 포더링일 / 제리 포더링일
52회
1965 레이크플래시드
비비언 조지프 / 로널드 조지프
53회
1966 버클리
신시아 코프먼 / 로널드 코프먼
54회
1967 오마하
신시아 코프먼 / 로널드 코프먼
55회
1968 필라델피아
신시아 코프먼 / 로널드 코프먼
56회
1969 시애틀
신시아 코프먼 / 로널드 코프먼
57회
1970 털사
조조 스타벅 / 케네스 셸리
58회
1971 버팔로
조조 스타벅 / 케네스 셸리
59회
1972 롱비치
조조 스타벅 / 케네스 셸리
60회
1973 미니애폴리스
멜리사 밀리타노 / 마크 밀리타노
61회
1974 프로비던스
멜리사 밀리타노 / 마크 밀리타노
62회
1975 오클랜드
멜리사 밀리타노 / 마크 밀리타노
63회
1976 콜로라도 스프링스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64회
1977 하트퍼트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65회
1978 포틀랜드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66회
1979 신시내티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67회
1980 애틀랜타
타이 바빌로니아 / 랜디 가드너
68회
1981 샌디에이고
케이틀린 커러더스 / 피터 커러더스
69회
1982 인디애나폴리스
케이틀린 커러더스 / 피터 커러더스
70회
1983 피츠버그
케이틀린 커러더스 / 피터 커러더스
71회
1984 솔트레이크시티
케이틀린 커러더스 / 피터 커러더스
72회
1985 캔자스시티
질 왓슨 / 피터 오퍼가드
73회
1986 유니언데일
질리언 왁스먼 / 토드 웨거너
74회
1987 타코마
질 왓슨 / 피터 오퍼가드
75회
1988 덴버
질 왓슨 / 피터 오퍼가드
76회
1989 볼티모어
크리스티 야마구치 / 루디 갈린도
77회
1990 솔트레이크시티
크리스티 야마구치 / 루디 갈린도
78회
1991 미니애폴리스
나타샤 쿠치키 / 토드 샌드
79회
1992 올랜도
칼라 어밴스키 / 로키 마블
80회
1993 피닉스
칼라 어밴스키 / 로키 마블
81회
1994 디트로이트
제니 메노 / 토드 샌드
82회
1995 프로비던스
제니 메노 / 토드 샌드
83회
1996 산호세
제니 메노 / 토드 샌드
84회
1997 내슈빌
쿄코 이나 / 제이슨 덩젠
85회
1998 필라델피아
쿄코 이나 / 제이슨 덩젠
86회
1999 솔트레이크시티
대니엘 하트셀 / 스티브 하트셀
87회
2000 클리블랜드
대니엘 하트셀 / 스티브 하트셀
88회
2001 보스턴
쿄코 이나 / 존 지머먼
89회
2002 로스앤젤레스
쿄코 이나 / 존 지머먼
90회
2003 댈러스
티파니 스콧 / 필립 덜본
91회
2004 애틀랜타
레나 이노우에 / 존 볼드윈
92회
2005 포틀랜드
케이티 오셔 / 개럿 루카시
93회
2006 세인트루이스
레나 이노우에 / 존 볼드윈
94회
2007 스포캔
브룩 캐스틸 / 벤저민 오콜스키
95회
2008 세인트 폴
키우나 매클러플린 / 로크니 브루베이커
96회
2009 클리블랜드
키우나 매클러플린 / 로크니 브루베이커
97회
2010 스포캔
케이디 데니 / 제러미 배럿
98회
2011 그린스보로
케이틀린 얭카우스카스 / 존 커플린
99회
2012 산호세
케이디 데니 / 제레미 배럿
100회
2013 오마하
마리사 카스텔리 / 사이먼 슈내피어

101회(2014년) ~


피겨 스케이팅 내셔널 역대 챔피언

{{{-3 : 남자 | 여자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일본 국기.svg 전일본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선수권
: 남자 | 여자 | 페어 | 아이스 댄스







파일:크리스티 야마구치.jpg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 금메달 획득 당시
이름
크리스티 츠야 야마구치
Kristi Tsuya Yamaguchi
국적
파일:미국 국기.svg


출생
1971년 6월 12일 (52세)
캘리포니아 주 헤이워드
신체
151cm
종목
피겨 스케이팅
소속
St. Moritz ISC
페어 파트너
러디 갈린도
가족
배우자 브렛 헤디컨[1](53세),
(2000년 7월 8일 결혼-현재)
장녀 키이라 헤디컨(20세)
차녀 엠마 헤디컨(18세)
링크
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파일:X Corp 아이콘(블랙).svg
파일:페이스북 아이콘.svg 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1984-85 시즌
2.2. 1985-86 시즌
2.3. 1986-87 시즌
2.4. 1987-88 시즌
2.5. 1988-89 시즌
2.6. 1989-90 시즌
2.7. 1990-91 시즌
2.8. 1991-92 시즌
2.8.1. 국제대회 & 1992 전미선수권
3. 평가
4. 은퇴 이후
5. 주요 수상 이력
6. 기타



1. 개요[편집]


일본계 미국인 前 여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어린 시절 학교 클럽 활동의 일환으로 발레피겨 스케이팅을 처음 접했다.

2.1. 1984-85 시즌[편집]


루디 갈린도와 페어 팀을 결성해 1985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2.2. 1985-86 시즌[편집]


198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5위를 하고 1986 전미 주니어선수권에서 우승했다.

2.3. 1986-87 시즌[편집]


1986 스케이트 아메리카에서 5위를 하며 시니어 데뷔를 했다. 1986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하고 1987 전미선수권에서는 5위에 올랐다. 1987 전미 주니어선수권 싱글 부문에도 참가해 은메달을 획득했다.

2.4. 1987-88 시즌[편집]


1988 주니어 세계선수권에 참가해 싱글과 페어 부문에서 모두 우승했다. 1988 전미선수권에서는 페어 5위, 싱글 10위를 기록했다.

2.5. 1988-89 시즌[편집]


페어 부문으로는 1988 NHK 트로피 동메달, 1988 스케이트 일렉트릭 챌린지에서 금메달을 획득했다. 1989 전미선수권에서 우승하였으며 1989 세계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싱글 부문으로는 1988 스케이트 아메리카 동메달, 1988 NHK 트로피 은메달을 획득하고 1988 전미선수권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다. 세계선수권에서는 6위를 기록했다.

2.6. 1989-90 시즌[편집]


페어 부문으로는 1989 스케이트 아메리카 은메달, 1989 NHK 트로피 4위를 기록했다. 1990 전미선수권에서는 2연패를 달성하고 1990 세계선수권에서는 5위를 기록했다.

싱글 부문으로는 1989 스케이트 캐나다 금메달, 1989 NHK 트로피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0 전미선수권에서도 은메달을 획득했고 세계선수권에서는 4위에 올랐다. 시즌이 끝난 이후로는 싱글에만 전념하기 시작했다. 이 결정은 매우 탁월했는데, 싱글에만 집중하기 시작하자 수많은 대회에서 메달을 휩쓸었다.

2.7. 1990-91 시즌[편집]


1990 스케이트 아메리카, 1990 네이션스 컵, 친선경기에서 모두 우승했다.

1991 전미선수권에서는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1 세계선수권에서 처음으로 우승하며 세계 정상급의 스케이터로 거듭났다. 당시 미국은 그녀와 팀 동료인 토냐 하딩, 낸시 케리건 3명이 금/은/동메달을 석권하는 위업을 과시했다.

2.8. 1991-92 시즌[편집]



2.8.1. 국제대회 & 1992 전미선수권[편집]


1991 스케이트 아메리카와 1991 인터내셔널 드 파리에서 은메달을 획득했다. 1992 전미선수권에서 우승하면서 올림픽 출전권을 획득했다.

2.8.2. 1992 알베르빌 동계올림픽[편집]


올림픽에 출전하여 이토 미도리와 맞대결을 펼쳐 금메달을 땄다. 당시 여자 싱글에서는 초고난도 기술인 트리플 악셀을 자랑하는 이토 미도리와 토냐 하딩이 있었지만, 우승한 건 야마구치였다. 안정적인 착지와 기술, 탁월한 예술성으로 쇼트와 프리에서 차례로 1위를 차지한 결과였다.[2] 이는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에서 주니어 세계선수권 우승자가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첫 사례이다.

당시 인터뷰를 보면 야마구치 본인도 트리플 악셀을 구사하는 경쟁자들에게 위협을 느끼긴 했다고 언급했다. 이토가 1989년 여자 선수 최초로 트리플 악셀을 성공시키면서 피겨 스케이팅의 판도를 바꿔놓는 수준의 센세이션을 일으켰는데, 야마구치도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 트리플 악셀을 연습했다.[3] 다만 트리플 악셀이 노력만으로 성공시키기에는 워낙 힘든 기술이기에 실전에서 사용할 수 있는 수준까지는 가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영상에서도 스텝 아웃이 되는 등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 보여졌다.

그럼에도 워낙 착지가 훌륭하고, 전체적으로 약점[4]이 없는 것이 강점이라는 평가를 받는 선수였기에 자신의 대표 강점인 예술성과 함께 다른 고난도 기술들을 준비했고, 대표적인 것이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의 컴비네이션이었다.

쇼트 경기를 성공적으로 끝내면서 1위에 올랐다. 프리 경기에서는 초반의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컴비네이션을 성공시키면서 이대로 클린에 성공하나 싶던 찰나에 후반의 트리플 룹 점프에서 손을 짚고, 트리플 살코를 더블로 수행하면서 뒤에 이어지는 선수들의 경기에 메달 색깔이 결정되는 분위기였다. 하지만 가장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이토[5]도 트리플 점프를 더블로 다운 그레이드시키고, 트리플 악셀 점프에서 넘어지는 등의 실수를 보였다. 다만 후반에 다시 시도하여 성공하기는 했다. 이로써 야마구치는 쇼트와 프리를 모두 1위로 마무리하면서 올림픽 금메달리스트가 되었다. 그녀의 프리 프로그램이였던 <말라게냐>는 현재까지도 수작으로 손꼽히고 있다.

야마구치의 올림픽 우승은 김연아와 유사점이 있는데, 둘 다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우승을 하고 직후에 열린 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수상했다. 또한 쇼트와 프리 모두 1위, 프리 1위이기도 했다. 야마구치 이후로 올림픽 여자 싱글에서는 쇼트에서 1위를 하면 우승을 하지 못한다는 징크스가 생겼는데[6] 이를 깬 것이 김연아이다. 또한 두 선수 모두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을 성공시키면서 트리플 악셀을 이겼다.[7] 1992 세계선수권에서도 우승했고, 이 대회를 끝으로 은퇴했다. 당시 일본 언론에서는 자신과 일본의 관계를 강조하려고 애를 썼지만, 본인은 인터뷰에서 "나는 미국인일 뿐"이라고 답해서 이를 무색하게 만들었다.

3. 평가[편집]


동시대 수리야 보날리, 이토 미도리, 천루, 토냐 하딩 등과 더불어 여자 싱글의 기술 상향화의 선구자로 평가받고 있다. 이토나 하딩과 같이 트리플 악셀을 뛰는 선수들에 가려져서 잘 드러나지 않지만, 트리플 러츠(6점)-트리플 토룹(4점)은 2010년 채점제도에서 기초점만 10점에 달하는 고난도 기술이다. 그녀를 비롯해 1990년대 초반의 스타 선수들이 은퇴한 뒤로 여자 피겨계는 기술 측면보다는 예술성과 컨시를 중요시하던 때여서, 굳이 고난도 3-3 콤비네이션을 시도하는 선수들이 많지는 않았다.

1998년 나가노 올림픽 때는 타라 리핀스키가 트리플 룹-트리플 룹 점프(10점)와 트리플 토룹-트리플 살코를 성공시켜 3-3을 시도하지 않은 미셸 콴을 제치고 금메달을 목에 걸 수 있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또한 (트리플 악셀이 제외된) 3-3 콤비네이션 점프 중 최고 난이도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룹은 2018 평창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챔피언인 알리나 자기토바가 성공시켜 그녀를 1위에 올려놓았다. 올림픽에서의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룹 콤비네이션은 2010년 김연아까지 와서도 올림픽에서 성공시킨 선수는 사례가 드물다.1998년 나가노 올림픽 때는 아라카와 시즈카가 쇼트에서, 2006년 토리노 올림픽 때는 키미 마이즈너가 쇼트에서 성공했다. 물론 올림픽 쇼트와 프리에서 모두 성공한 선수는 김연아가 최초다.

또한 대부분의 선수들이 자신의 네메시스 점프를 잘 시도하지 않는 반면 그녀는 약점인 데에도 불구하고 트리플 살코를 프로그램에 넣는다거나, 트리플 악셀을 연마하기 위해 피나는 노력을 하는 등[8]의 도전정신을 보여 진정으로 여자 피겨 스케이팅의 선구자 중 하나로 꼽힐 만하다.[9]

4. 은퇴 이후[편집]


동계올림픽에서 금메달을 수상한 지 얼마 안 되어 프로로 전향했고, 2000년대 초에 은퇴했다. 프로 경기에서도 수많은 우승을 거두면서 성공적인 선수 생활을 했다. 만약 그녀가 아마추어 선수 생활을 계속했다면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 우승하여 올림픽 2연패를 달성할 수도 있었을 거라는 의견이 있을 정도의[10] 실력이 오랜 기간 유지되었다. 은퇴한 이후인 2002년에도 무려 30대의 나이에 아이스 쇼에서 트리플 점프를 선보이는 등 클래스는 영원하다는 것을 몸소 증명했다.

아시아계 최초[11]의 올림픽 피겨 스케이팅 여자 싱글 챔피언으로 올림픽 금메달을 수상하자 아시아계 미국인의 위상을 높였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아시아계 외의 미국인에게 존경받는 선수이며, 올림픽에서의 성공뿐만 아니라 이후의 공개 활동과 사생활에서 모두 모범적인 모습으로 좋은 평판을 받았다. 또한 백인들이 판을 치던[12] 피겨 스케이팅에서 이토 미도리와 함께 아시아계 선수의 활약을 이끌었고, 이후 미셸 콴, 천루김연아 등 세계 정상급의 스케이터 중 아시아계가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는 선구자 역할을 해낸 셈이다.

선수 생활을 끝낸 이후 댄싱 위드 더 스타 프로그램에 출연해 우승했다. 이외에도 다양한 TV 프로그램 출연 & 동계올림픽 해설 등으로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 현재는 자국 내 아시아계 미국인 피겨 스케이팅 선수들의 멘토 역할을 해주고 있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 여자 싱글 경기가 끝나고 알리사 리우카렌 첸의 인스타그램에도 격려의 말이 담긴 댓글을 달아주기도 했다.

5. 주요 수상 이력[편집]


여자 싱글
올림픽
금메달
1992 알베르빌
여자 싱글
세계선수권
금메달
1991 뮌헨
여자 싱글
금메달
1992 오클랜드
여자 싱글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1988 브리즈번
여자 싱글
페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금메달
1988 브리즈번
페어
동메달
1987 키치너
페어

여자 싱글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86–87
87–88
88–89
89–90
90–91
91–92
올림픽





1st
세계선수권


6th
4th
1st
1st
엔테르나시오노 드 프랑스





2nd
나치온스 컵




1st

스케이트 캐나다



1st


NHK 트로피


2nd
2nd


스케이트 아메리카


3rd

1st
2nd
친선경기




1st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1st




국내대회
전미선수권
2nd J
10th
2nd
2nd
2nd
1st
J=주니어

페어
국제대회:시니어
대회
84–85
85–86
86–87
87–88
88–89
89–90
세계선수권




5th
5th
NHK 트로피




3rd
4th
스케이트 아메리카


5th


2nd
스케이트 일렉트릭 챌린지




1st

국제대회:주니어
주니어 세계선수권

5th
3rd
1st


국내대회
전미선수권
5th J
1st J
5th
5th
1st
1st
J=주니어

프로대회
대회
92–93
93–94
94–95
95–96
96–97
97–98
98–99
99–00
00–01
01–02
프로 세계선수권
1st
2nd
1st
2nd
1st
1st



2nd
아이스 워즈


1st
1st



1st


더 골드 챔피언


1st
1st
1st






6. 기타[편집]


  • 1971년 캘리포니아에서 일본계 이민 2세인 치과의사 아버지 슬하에서 태어났다. 그녀의 조부모는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미국이 진주만 공습 직후에 실시한 일본인 격리 정책으로 수용소 생활을 하였다.
[1] 미국의 前 아이스하키 선수이다.[2] 이토 미도리의 트리플 악셀 때문에 둘의 구도가 기술 vs 예술이었지만 크리스티 야마구치가 프리에서 선보인 트리플 러츠-트리플 토 역시 상당히 고난도 컴비네이션 점프이며, 당시 기준으로 깔끔하게 수행했다.[3] 이를 담은 연습 영상도 남아 있다.[4] 다만 트리플 살코가 그녀의 네메시스 점프였고, 실전에서도 성공률이 비교적 낮았다. 올림픽에서도 트리플이었던 점프를 더블로 수행했다. 트리플 살코를 성공시킨 대표적인 경기가 1992 전미선수권이다.[5] 다만 미도리는 쇼트가 4위였기 때문에 크리스티가 3위로 떨어지지 않는 한 프리에서 1위해도 금메달을 차지할 수 없었다. 야마구치의 입장에서는 케리건이 변수였다.[6] 1994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 쇼트 1위 낸시 케리건, 2위 옥사나 바이울 / 프리 1위 옥사나 바이울(금), 2위 낸시 케리건(은)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 쇼트 1위 미셸 콴, 2위 타라 리핀스키 / 프리 1위 타라 리핀스키(금), 2위 미셸 콴(은)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 쇼트 1위 미셸 콴, 2위 이리나 슬루츠카야 / 프리 1위 사라 휴즈(금), 2위 이리나 슬루츠카야(은). 미셸 콴은 동메달을 획득했다.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쇼트 1위 사샤 코헨, 2위 이리나 슬루츠카야 / 프리 1위 아라카와 시즈카(금), 2위 사샤 코헨(은)
[7] 다만 야마구치의 러츠는 구채점제 선수 중에서는 엣지가 불분명한 편에 속한다. 동시대 천루, 옥사나 바이울, 토냐 하딩은 정확하다.[8] 김연아도 트리플 악셀을 열심히 연습한 바가 있다. 굳이 필요성을 없어서 3-3 등 다양한 고난도 기술을 정말 안정성과 정확성을 수행하는 데 주력했다.[9] 물론 안정적인 프로그램을 선보여 득점을 해야하는 피겨 경기의 특성 상 약점인 점프를 빼는 것은 문제점이 되지 않는다. 아사다 마오, 안도 미키등 여러 선수가 엣지 문제로 나중에는 실전에서는 잘 시도하지 않았다. 야마구치가 이 부분에서 높게 평가받는 것은 다양한 종류의 점프를 구사하려는 그녀의 노력과 도전 정신이라고 할 수 있다.[10] 그런데 이건 알베르빌 대회에서의 라이벌인 이토 미도리에 대해서도 나오는 평가다. 둘 다 또 나왔으면 역사에 남을 리턴 매치가 되었을 뻔했다.[11] 아시아 '국적'으로 피겨 스케이팅 올림픽 금메달을 수상한 남녀 첫 사례는 일본의 아라카와 시즈카하뉴 유즈루이다.[12] 출신 국가나 인종에 기대어 과분하게 높은 점수를 받는 것은 오늘날에도 피겨 스케이팅의 고질적인 문제점으로 지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