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쌍용동

덤프버전 :

||


파일:천안시 CI_White.svg 천안시의 도시구조 및 지역
[ 펼치기 · 접기 ]

도심터미널 인근 (야우리)
부도심두정먹자골목신불당천안아산역
지역중심청수지구신방동쌍용동성정동
주요
택지지구
아산신도시백석지구부성지구불당지구
성성지구신방통정지구쌍용지구청수지구
주요
산업단지
천안 제2, 4일반산업단지천안 제3일반산업단지천안제5일반산업단지
천안물류단지백석농공단지천흥산업단지풍세일반산업단지
읍면 상권성환읍직산읍입장면병천면



천안시법정동
쌍용동
雙龍洞 | Ssangyong-dong
광역자치단체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천안시
행정표준코드
[ 펼치기 · 접기 ]
4413111700[1]
4413310700[2]
[1] 동남구[2] 서북구
관할 행정동봉명동, 쌍용1~3동
면적4.37㎢
1. 개요
2. 설명
3. 관할 행정동
3.1. 봉명동
3.2. 쌍용1동
3.3. 쌍용2동
3.4. 쌍용3동
4. 역사
5. 교통
5.1. 도로
5.2. 철도
5.3. 시내버스
5.3.1. 노선
5.4. 시외버스
6. 주요 시설
6.1. 주거
7. 출신 인물
8. 기타


1. 개요[편집]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동남구에 위치한 법정동이다.

2. 설명[편집]


1980년대 이후로 쌍용택지개발지구와 아산신도시 사업때문에 개발되어 아파트 단지가 급격히 늘어난 덕분에 천안에서 가장 많은 사람이 사는 법정동이 되었다. 천안에서 주거 환경이 꽤 쾌적한 편이다. 아파트 단지는 비교적 최근에 지어졌고, 이마트 천안점을 중심으로 상권이 넓게 형성되었며, 온양/배방에서 천안시내로 들어오는 길목이라 교통도 편리하다. 한편, 학부모 교육열이 장난 아니라서 학원가가 상당히 많이 모여있다.


3. 관할 행정동[편집]



3.1. 봉명동[편집]


대부분의 사람들은 쌍용동은 서북구 소속이라고 알고있는데, 실제로는 쌍용동 일부분은 동남구에 속해있으며, 행정동 봉명동 관할이다.[1] 때문에 대우4차 아파트는 같은 단지임에도 가운데 지나는 골목길을 기준으로 동이 다른 황당한 일이 벌어진다. 이 곳에 사는 유치원생들은 미라초등학교와 봉명초등학교로 나누어서 학교에 진학한다. 미라초등학교는 왕복 6차선도로를 건너야 하는 리스크가 있기 때문에 기피되기도 하는 편.


3.2. 쌍용1동[편집]


천안시 서북구행정동
쌍용1동
雙龍一洞 | Ssangyong 1(il)-dong
광역자치단체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천안시
일반구서북구
행정표준코드5660014
관할 법정동쌍용동
하위 행정구역25통 157반
면적0.87㎢
인구13,434명[A]
인구밀도15,441.38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천안시 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정문 (초선)
충청남도의원 | 제1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양경모 (초선)
천안시의원 | 카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길자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영채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만 (초선)

행정복지센터미라10길 21 (쌍용동 1030)
쌍용1동 행정복지센터

쌍용동에서 개발이 비교적 일찍 이뤄진 지역이며, 2001년 초에 생긴 이마트 천안점을 중심으로 의료기관과 금융기관이 모여 상권이 활성화되었다. 이마트 천안점은 꽤 장사가 잘 되는데, 한때는 이마트 전국매출 3위였고, 전국 이마트에 딱 3곳 천안 포함해서 24시간 영업하는 곳 중 하나이기도 했을 정도.이마트가 지금 이마트 천안점 터의 가치를 알아보고 이곳에 천안점을 만들려 했는데, 교통 문제 때문에 허가가 안 되자 지금 있는 천안고가교를 이마트 돈으로 설치해주기로 했고, 결국이 건축이 허가가 나서, 천안고가교는 신세계 계열이 만들었다. 천안 내 2차의료기관인 천안충무병원도 있다. 학교는 천안미라초등학교와 천안봉서중학교가 있다. 일찍 개발되어서 그런지 다른 동들보다 아파트가 적고 단독주택, 원룸이 많다. 장항선 철도를 기준으로 남쪽은 이마트를 중심으로 상권이 발달해있으며 천안충무병원 등을 포함해 쌍용역~일봉산사거리까지 병원이 밀집되어있다. 북쪽은 원룸촌과 로데오거리 서편의 상가들, 그리고 두산위브, 광명아파트, 대우타워아파트, 일성1,2차아파트, 시영1차아파트 등의 아파트가 있다.


3.3. 쌍용2동[편집]


천안시 서북구행정동
쌍용2동
雙龍二洞 | Ssangyong 2(i)-dong
광역자치단체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천안시
일반구서북구
행정표준코드5660015
관할 법정동쌍용동
하위 행정구역54통 165반
면적1.88㎢
인구36,470명[A]
인구밀도19,398.94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천안시 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정문 (초선)
충청남도의원 | 제1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양경모 (초선)
천안시의원 | 카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길자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영채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만 (초선)

행정복지센터쌍용14길 70 (쌍용동 183-1)
쌍용2동 행정복지센터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이 지나고 근처에 나사렛대학교가 있다. 이곳이 공직선거법 개정에 따라 제19대 총선에서 천안갑 선거구(천안시 동남구에 해당하는 선거구)로 편입된 문제의 지역이다.이후에 20대 총선에서는 천안병 선거구로 바뀌었다. 한때 게리맨더링이라는 논란을 낳기도 했는데, 추후에 천안시 인구가 늘면 다시 원래대로 돌아올듯. 학교는 천안월봉초등학교, 천안수곡초등학교, 천안쌍정초등학교, 천안쌍용고등학교가 있다. 쌍용2동과 쌍용3동이 만나는 곳에 쌍용도서관이 있다. 1990년대 말에 천안시 아파트 단지가 생기면서 '월봉지구'라는 이름으로 개발이 진행된 곳이다.


3.4. 쌍용3동[편집]


천안시 서북구행정동
쌍용3동
雙龍三洞 | Ssangyong 3(sam)-dong
광역자치단체충청남도
기초자치단체천안시
일반구서북구
행정표준코드5660016
관할 법정동쌍용동
하위 행정구역29통 153반
면적1.54㎢
인구18,248명[A]
인구밀도11,849.35명/㎢
정치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 천안시 병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정문 (초선)
충청남도의원 | 제11선거구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양경모 (초선)
천안시의원 | 카 선거구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길자 (재선)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유영채 (재선)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이종만 (초선)

행정복지센터월봉로 138 (쌍용동 1950)
쌍용3동 행정복지센터

1994년에 주공 7단지 아파트와 라이프타운아파트가 들어서면서 이 곳에 사람이 살기 시작했다. 동의 북쪽으로 봉서산이 있으며 봉서산 아래에 아파트들이 자리잡고 있다. 학교는 천안쌍용초등학교와 천안용암초등학교, 천안쌍용중학교가 있다. 세 학교 모두 20세기에 개교한 학교들이다.


4. 역사[편집]


1914년 천안군 군서면에 속한 쌍정리, 용암리, 미리리를 통합해 쌍용리가 만들어졌다. 1963년에 천안군 환성면이 천안시로 편입되면서 쌍용리가 쌍용동으로 바뀌고, 행정동으로 쌍용동과 봉명동을 합동해 쌍봉동이 설치되었다. 1995년에 쌍용동과 봉명동이 분리되었고, 1996년 행정동인 쌍용동이 쌍용1동과 쌍용2동으로 분동되었으며, 2003년에 쌍용2동에서 쌍용3동이 분동되었다.


5. 교통[편집]



5.1. 도로[편집]


21번 국도가 쌍용2동 경계를 스치고 간다. 이 밖에도 불당대로, 충무로, 쌍용대로, 서부대로 등 넓은 대로들이 쌍용동을 관통한다.


5.2. 철도[편집]


수도권 전철 1호선 쌍용역이 지난다. 쌍용역의 정식명칭은 '쌍용(나사렛대)역'인데, 신창역과 달리 걸어서 5분도 안 되는 거리에 나사렛대학교가 있다. 쌍용1동 일부지역에서는 봉명역 또한 가까워 이용하기 편하다.


5.3. 시내버스[편집]


일단 쌍용1~3동의 상주인구도 많을뿐더러 온양, 배방으로 나가는 길목이라 이 지역을 경유하는 시내버스 노선들이 많고 대부분 자주 다닌다. 특히 쌍용2동 월봉지구에서 출발하는 12번 노선은 천안시내버스 노선 중 가장 짧은 간격으로 운행되고 있다.


5.3.1. 노선[편집]




5.4. 시외버스[편집]



6. 주요 시설[편집]



6.1. 주거[편집]




7. 출신 인물[편집]




8. 기타[편집]


동 이름에 문제가 있다는 지적이 있다. 이는 쌍용동의 '용'자가 '용 룡(龍)'자이고, 두음법칙은 앞글자에만 적용되기 때문에 쌍용동이 아닌 '쌍룡동'이 올바른 표기라는 것. 실제로 천안시 내에 용자가 들어간 지명은 모두 '룡'자로 표기된다. (구룡동, 오룡동, 삼룡동) 반면 천안시에서는 쌍용동의 유래인 쌍용리는 쌍정리(雙井里)와 용암리(龍岩里)의 앞글자를 따다 붙인 이름이기 때문에 별 문제 없다는 듯. 이는 기업 이름인 쌍용그룹도 마찬가지. 참고로 이렇게 두음법칙이 적용되지 않음에도 관습적으로 불린 음을 따라 공식 지명이 된 경우로, 의정부시 가능동(가릉), 남양주시 진건읍 사능리(사릉) 등이 있다.

쌍용그룹과 한자까지 똑같지만 서로 관련은 없는 듯 하다. 실제 쌍용그룹은 쌍룡역이 있는 데서 따왔다. 다만 쌍용그룹 관련 시설이 쌍용동에 꽤 많다. 쌍용건설이 지은 아파트라던지 쌍용자동차 영업점이라던지 이런 게 쌍용역 주변에 꽤 있는 편.

2023년 한글날에 폭주족이 쌍용동 일봉산사거리에서 난동을 피운 것이 논란이 됐다. 한글날도 설친 폭주족…천안 교차로서 수십명 '빙글빙글' 환호성[영상]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6 09:00:33에 나무위키 쌍용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애초 봉명동 자체도 툭 튀어나와 있다. Daum 지도 참조[A] A B C 2023년 1월 주민등록인구[2]SK건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