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덤프버전 :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알바니아의 역사
Historia e Shqipërisë
[ 펼치기 · 접기 ]

고대슬라브 유입vs 불가리아로마 제국의 중흥
S일리리아인

그리스 식민도시
일리리아 왕국일리리아 왕국일리리아 전쟁로마 공화국로마 제국동로마 제국동로마 제국동로마 제국노르만의 침입동로마 제국
D
V안티파트로스 왕조
K마케도니아남 슬라브디오클레아불가리아 제1제국
O드라고비트불가리아
12C13 ~ 14C15C오스만 : 16 ~ 19C
K동로마 제국제타이피로스 전제군주국제타세르비아 왕국세르비아 제국제타레체 동맹오스만 제국
SV
D아르바논 공국불가리아 제2제국니케아 제국 - 에피로스알바니아 왕국 - 앙주 왕조공국토피아 왕조베네
치아
V동로마 제국공국들오스만 제국
O불가리아 제2제국
19C발칸 전쟁 / 20C 초20C 중현대
K알바니아 봉기오스만 제국알바니아 봉기세르비아 왕국중앙알바니아 공화국알바니아 공국알바니아 공국세르비아 왕국오스트리아 - 헝가리이탈리아 왕국알바니아 공국알바니아 제1공화국알바니아 왕국이탈리아령
알바니아 왕국
나치 독일
알바니아 왕국
알바니아 민주정부알바니아 제2공화국알바니아 제3공화국알바니아 제4공화국
S몬테네그로 왕국몬테네그로 왕국
T세르비아 왕국알바니아 공국
V그리스 왕국임시 알바니아 정부이탈리아 왕국
O북이피로스 자치공화국그리스 왕국프랑스 공화국그리스 왕국
※ K는 동북부 쿠커스, S는 슈코더르, D는 두러스, T는 중부 티라나, V는 블로러, O는 동남부 오흐리드 호수



-
파일:바르샤바 조약기구 로고.svg
바르샤바 조약 기구
[ 회원국 ]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
파일:폴란드 국기(1928–1980).svg
폴란드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슬로바키아
파일:불가리아 인민 공화국 국기(1971–1990).svg
불가리아
파일:루마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루마니아
파일:헝가리 인민 공화국 국기(1957–1990).svg
헝가리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
알바니아
*
* 프라하의 봄 유혈 진압에 대한 항의로 1968년 9월 19일 탈퇴

[ 참관국 ]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파일:몽골 인민공화국 국기.svg
몽골
* 중소결렬 이후 탈퇴



-


--

파일:낫과 망치.svg
공산주의
[ 펼치기 · 접기 ]

이론과 분파
기본 이론
마르크스주의 · 카우츠키주의(정통 마르크스주의)
분파
레닌주의(마르크스-레닌주의 (스탈린주의 · 현실사회주의 · 카스트로주의 · 호자주의 · 호찌민 사상 · 주체사상 · 마오주의 (마르크스-레닌-마오주의 · 중국특색 사회주의 · 신시대 중국특색 사회주의)) · 볼셰비키-레닌주의 (파블로주의 · 신트로츠키주의(클리프주의) · 제3의 진영 · 포사다스주의)) · 자유지상주의적 공산주의(룩셈부르크주의 · 좌파공산주의 · 무정부 공산주의 · 자율주의) · 서구 마르크스주의 · 포스트 마르크스주의 · 국민공산주의 · 유럽공산주의
인물
카를 마르크스 · 프리드리히 엥겔스 · 카를 카우츠키 · 블라디미르 레닌 · 레프 트로츠키 · 미하일 칼리닌 · 알렉산드라 콜론타이 · 나데즈다 크룹스카야 · 이오시프 스탈린 · 니키타 흐루쇼프 · 겐나디 주가노프 · 요시프 브로즈 티토 · 천두슈 · 리다자오 · 마오쩌둥 · 저우언라이 · 체 게바라 · 피델 카스트로 · 라울 카스트로 · 로자 룩셈부르크·프랑수아 노엘 바뵈프·루이 오귀스트 블랑키·카를 리프크네히트 · 안토니오 그람시 · 호찌민 · 응우옌반린 · 보응우옌잡 · 폴 포트 · 담딘 수흐바타르 · 허를러깅 처이발상 · 고토쿠 슈스이 · 시이 가즈오 · 고이케 아키라 · 키라 요시코 · 야마조에 타쿠 · 아카미네 세이켄 · 박헌영 · 김일성 · 빌헬름 피크 · 발터 울브리히트 · 에리히 호네커 · 게오르게 게오르기우데지 · 엔베르 호자 · 헹크 스네이블릿·호세 카를로스 마리아테기 · 밥 아바키안 · 게오르기 디미트로프
이론
공산주의 · 사회주의 · 노동가치론 · 변증법적 유물론 · 마르크스 경제학 · 여성해방론 · 프롤레타리아 독재 · 민주집중제 · 계획경제 · 반자본주의 · 무신론 · 사회주의법 · 인민민주주의 · 사회주의 문화
정당
(공산당)
현존 정당
아시아
중국공산당 파일:중국 국기.svg · 일본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자공산당 파일:일본 국기.svg · 노동의 해방을 목표로 노동자당 파일:일본 국기.svg · 조선로동당 파일:북한 국기.svg · 대만 공산당 파일:대만 국기.svg · 베트남 공산당 파일:베트남 국기.svg · 라오 인민혁명당 파일:라오스 국기.svg · 버마 공산당 파일:미얀마 국기.svg· 네팔 공산당(통합 마르크스-레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마오주의 센터) 파일:네팔 국기.svg · 네팔 공산당(통합 사회주의) 파일:네팔 국기.svg · 인도 공산당 파일:인도 국기.svg · 인도 공산당(마르크스주의) 파일:인도 국기.svg · 방글라데시 노동자당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인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해방민주전선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팔레스타인 인민당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 이스라엘 공산당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 예멘 사회당 파일:예멘 국기.svg · 몽골 인민당 파일:몽골 국기.svg · 카자흐스탄 인민당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 캄보디아 인민당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유럽
프랑스 공산당 파일:프랑스 국기.svg · 스페인 공산당 파일:스페인 국기.svg · 포르투갈 공산당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 그리스 공산당 파일:그리스 국기.svg · 튀르키예 노동자당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 노동인민진보당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 독일 공산당 파일:독일 국기.svg · 오스트리아 공산당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 벨기에 노동당 파일:벨기에 국기.svg · 스위스 노동당 파일:스위스 국기.svg · 적색당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보헤미아 모라바 공산당 파일:체코 국기.svg · 몰도바 공화국 공산당 파일:몰도바 국기.svg · 벨라루스 공산당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 러시아 연방 공산당 파일:러시아 국기.svg · 러시아의 공산주의자들 파일:러시아 국기.svg · 사회당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 헝가리 사회당 파일:헝가리 국기.svg
아프리카
경제자유투사당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 기니카보베르데 아프리카독립당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 모잠비크 해방전선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 상투메 프린시페 해방운동-사회민주당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 앙골라 완전독립 민족동맹 파일:앙골라 국기.svg · 앙골라 해방인민운동 파일:앙골라 국기.svg · 짐바브웨 아프리카 국민연합 - 애국전선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 콩고 노동당 파일:콩고 공화국 국기.svg · 티그라이 인민해방전선 파일:에티오피아 국기.svg
아메리카
미국 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미국 혁명공산당 파일:미국 국기.svg · 캐나다 공산당 파일:캐나다 국기.svg · 쿠바 공산당 파일:쿠바 국기.svg · 베네수엘라 공산당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 인민진보당 파일:가이아나 국기.svg · 자유 페루 파일:페루 국기.svg · 브라질 공산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사회주의자유당 파일:브라질 국기.svg · 칠레 공산당 파일:칠레 국기.svg · 에콰도르 공산당 - 붉은 태양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 공산당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 우루과이 공산당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 파라분도 마르티 민족해방전선 파일:엘살바도르 국기.svg
볼드체: 여당 또는 연립여당
취소선: 역사적으로 공산주의를 표방했던 정당
해체된 정당
소련 공산당 · 이탈리아 공산당· 조선공산당 · 남조선로동당 · 세르비아 공산당 · 헝가리 사회노동당 · 폴란드 통일노동당 · 알바니아 노동당 · 유고슬라비아 공산주의자 동맹 · 인도네시아 공산당 · 불가리아 공산당 · 체코슬로바키아 공산당 · 아프가니스탄 인민민주당 · 말라야 공산당 · 캄푸치아 공산당 · 루마니아 공산당 · 중화민국 공산당 · 영국 공산당 · 독일 사회주의통일당 · 헝가리 노동자당
국제 조직
코민테른 · 코민포름 · 코메콘 · 바르샤바 조약기구 · 인터내셔널 · 공산당-노동자당 국제회의 · 각종 공산주의 정당 연합
국가
인민공화국 또는 사회주의 공화국을 표방하는 국가
· · ·
공산주의 정당이 여당으로 집권 중인 국가
· · · · · · · · · · ·
★: 연립정부의 구성원으로 집권한 국가
붕괴된 국가
· · · · · · · · · · · · · · · · · · · ·
상징·표어
낫과 망치 ·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 붉은 별 · 적기
관련 문서
분파 · 역사 · 서기장 · 탈공산주의 · 글라스노스트 · 페레스트로이카· 파일:레닌_투명.svg 레닌주의
파일:스탈린_투명.png
마르크스-레닌주의
·
파일:마오쩌둥 투명.svg
마오쩌둥 사상



--
||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 [1]
Republika Popullore e Shqipërisë
알바니아 인민 사회주의 공화국 [2]
Republika Popullore Socialiste e Shqipërisë
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기.svg파일:알바니아 사회주의 인민 공화국 국장.svg
국기국장
Proletarë të të gjitha vendeve, bashkohuni!
만국의 노동자여, 단결하라!
1946년 1월 10일 ~ 1991년 4월 29일
성립 이전멸망 이후
알바니아 민주정부알바니아 공화국
수도티라나
국가원수서기장
주요 서기장엔베르 호자
언어알바니아어
종교국가 무신론
민족알바니아인

1. 개요
2. 역사



1. 개요[편집]


1946년부터 1992년까지 남유럽 발칸 반도알바니아 지역에 존재하던 공산주의 국가이다.

원래 국명은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이었으나 1976년에 새로운 헌법을 통과시키며 국명을 바꿨다.

2.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알바니아/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945년 12월, 알바니아 인민 의회 선거가 열렸는데, 후보는 각각 한 사람밖에 없었으며 모두 엔베르 호자가 이끄는 공산주의 민주 전선 출신이었다.

1946년 알바니아 인민 공화국을 선포하였다. 티토는 알바니아에 유고슬라비아의 7번째 공화국으로 가입할 것을 제안했고 스탈린도 유고슬라비아를 확장해서 발칸 연방으로 만드는 계획에 초기에 동조했기 때문에 하마터면 유고의 일부로 합병될 뻔 했으나 스탈린과 티토의 관계가 급격히 악화되면서 스탈린은 유고의 알바니아 합병을 불허하고 독립된 알바니아를 지원하게 되었다.[3] 티토는 알바니아가 따로 노는 것을 불쾌하게 여겨 알바니아 정치에 간섭하려 했으나 이에 분노한 스탈린이 역으로 알바니아의 친 유고 정치인들을 숙청하고 자신을 충실히 추종하는 엔베르 호자를 지원하여 그를 최고 권력자로 만들어주었다.

1953년에 스탈린이 사망한 후 니키타 흐루쇼프는 호자의 1인 독재를 해체하기 위해 간섭했으나 호자는 반기를 들어 스탈린주의 노선을 계속 지속하였다.

알바니아는 바르샤바 조약 기구의 회원국이자 소련의 위성국이었으나 1968년 프라하의 봄을 진압한 데 대해 항의를 표시하는 뜻으로 바르샤바 조약 기구를 탈퇴하였다.

엔베르 호자1985년 사망하였고, 동유럽 공산 국가들이 차례로 민주화되자 1990년 알바니아 각지에서 시위가 일어났으며, 1991년 민주화된다.



[1] 1946–1976[2] 1976–1991[3] 티토의 편을 들어 발칸 연방 계획을 추진했던 불가리아 인민 공화국의 초대 서기장 게오르기 디미트로프는 소련에서 의문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