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양희승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의 각본가에 대한 내용은 양희승(각본가) 문서
양희승(각본가)번 문단을
양희승(각본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양희승의 수상 및 영예
[ 펼치기 · 접기 ]

[ 펼치기 · 접기 ]

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김태경
중앙대학교
미상김종석
한양대학교
이완규
고려대학교
유도훈
연세대학교 / 가드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
이상범
연세대학교 / 가드
정경호
중앙대학교 / 센터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박재헌
고려대학교 / 센터
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
전희철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양희승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강혁
경희대학교 / 가드
임재현
중앙대학교 / 가드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
황진원
중앙대학교 / 가드
정훈
성균관대학교 / 포워드
김동우
연세대학교 / 포워드
이정협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방성윤
연세대학교 / 포워드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전정규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함지훈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윤호영
중앙대학교 / 포워드
박성진
중앙대학교 / 가드
오세근
중앙대학교 / 센터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김선형
중앙대학교 / 가드
박래훈
경희대학교 / 가드
두경민
경희대학교 / 가드
이종현
고려대학교 / 센터
이승현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이동엽
고려대학교 / 가드
최준용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김낙현
고려대학교 / 가드
전현우
고려대학교 / 포워드
박정현
고려대학교 / 센터
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코로나19 여파로 취소이정현
연세대학교 / 가드
박무빈
고려대학교 / 가드
박정환
고려대학교 / 가드








[ 펼치기 · 접기 ]

1997-98 시즌1998-99 시즌1999-00 시즌2000-01 시즌2001-02 시즌
문경은
삼성 / 포워드
문경은
삼성 / 포워드
문경은
삼성 / 포워드
문경은
삼성 / 포워드
문경은
빅스 / 포워드
2002-03 시즌2003-04 시즌2004-05 시즌2005-06 시즌2006-07 시즌
데이비드 잭슨
TG / 가드
문경은
전자랜드 / 포워드
양희승
SBS / 포워드
조우현
LG / 가드
단테 존스
KT&G / 포워드
2007-08 시즌2008-09 시즌2009-10 시즌2010-11 시즌2011-12 시즌
문경은
SK / 포워드
김효범
모비스 / 가드
방성윤
SK / 포워드
박지현
동부 / 가드
전태풍
KCC / 가드
2012-13 시즌2013-14 시즌2014-15 시즌2015-16 시즌2016-17 시즌
양동근
모비스 / 가드
변기훈
SK / 가드
문태종
LG / 포워드
조성민
kt / 가드
전준범
모비스 / 포워드
2017-18 시즌2018-19 시즌2019-20 시즌2020-21 시즌*2021-22 시즌
전준범
모비스 / 포워드
조성민
LG / 가드
최준용
SK / 포워드
양홍석
kt / 포워드
이관희
LG / 가드
2022-23 시즌2023-24 시즌2024-25 시즌2025-26 시즌2026-27 시즌
허웅
KCC / 가드
* 온라인 콘테스트 팬투표로 진행.




양희승
梁熙勝|Yang hee-seung
파일:/image/143/2010/01/19/100118s2.jpg
출생1974년 3월 1일 (50세)
광주광역시
본관남원 양씨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신체195cm,[1] 83kg
학력광주서석초등학교 (졸업)
광주충장중학교 (졸업)
광주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 / 학사)
병역전시근로역[2]
포지션스몰 포워드
프로입단1997년 창원 LG 세이커스 입단
소속팀창원 LG 세이커스 (1997~2000)
대전 현대 걸리버스/전주 KCC 이지스 (2000~2002)
안양 SBS 스타즈/KT&G 카이츠 (2002~2007)
부산 KTF 매직윙스 (2007~2009)
국가대표 경력올림픽 1회(1996[3])
FIBA 아시아선수권 3회(1997,2003,2005)
수상경력FIBA 아시아선수권 우승 1회(1997) / 준우승 1회(2003)
등번호11[4], 12[5], 71[6]
SNS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시절
3. 은퇴 후
4. 역대 성적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의 前 농구 선수. 2017년 현재 펄하우스스토리 이사.


2. 선수 시절[편집]


파일:LG 양희승 선수.jpg

광주고를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체육교육학과에 진학하면서 농구대잔치의 최전성기에 고려대의 주축 포워드로 활약하면서 이름을 알렸다. 당시 고려대의 막강 라인업의 주전으로 외곽 슈팅력을 바탕으로 한 플레이가 인상적인 선수였다. 하지만 고려대는 끝내 마지막 고비를 넘지 못하고 농구대잔치 PO에서 4강까지 밖에 오르지 못했다. 어쨌든 이런 대학 시절의 활약 때문에 1997년에 창단한 LG 농구단에 계약금 4억 5천만 원을 받고 LG 세이커스의 창단멤버로 입단하면서 대학 시절의 명성을 보상 받았다.

그런데 그의 발목을 잡은 것은 부상이었다. 일단 프로 첫 번째 시즌에 연봉 협상 문제[7]로 팀과 갈등을 빚으면서 훈련량이 줄었는데, 우여곡절 끝에 연봉 협상을 끝내고 팀에 복귀해서 얼마 뛰지 못하고 아킬레스 건이 끊어지는 중상을 입으며 시즌아웃된 것. 이 때 부상은 심각해서 거진 두 시즌을 다 날리고 말았고 신검에서 5급판정이 나오면서 전시근로역에 편입됐다. 우여곡절 끝에 1998-99 시즌 후반에 복귀하면서 재기에 성공했고, 1999-2000 시즌에 45경기 전 경기 출전하며 평균 13점을 넣으면서 비로소 완벽하게 부상을 이겨내는데 성공했다.

마침 토털 바스켓볼을 표방하며 전 포지션의 장신화를 추구하던 현대의 신선우 감독과 새롭게 감독에 부임해 팀을 갈아엎던 LG의 김태환 감독의 이해관계가 맞아 떨어지면서 양희승은 조성원과 맞트레이드되면서 현대로 이적하게 되었다. 현대-KCC에서 양희승은 준수한 활약을 보이면서 특급은 아니어도 정상급 포워드로서 자신의 가치를 증명했고, 두 시즌을 뛴 후, 2억 6천만 원의 연봉을 받고 FA 계약을 맺으며 SBS로 이적했다.

SBS에서는 김성철과 함께 팀의 쌍포로 활약해 나쁘지 않은 활약을 이어갔다. 평균 15점 가량은 꾸준하게 기록해 FA의 모범 사례로 평가받을 수 있는 활약을 보여줬다. 팀도 꾸준히 전력이 강해지고 2004-05 시즌에는 단테 존스의 합류와 함께 15연승을 기록해 주는 등 정말 잘 나갔다. 그렇지만 4강에서 전주 KCC의 조성원을 막지못해 결국 챔프전 진출에는 실패했고 준수한 활약에도 불구하고 우승 반지와는 연을 맺지 못했다.

2006-07 시즌 종료 시점에 평균 15.8점을 넣으면서 팀의 주포로서 활약하고 다시 FA를 맞았지만, 그 사이 바뀐 새 모기업인 KT&G는 양희승의 나이를 들어 재계약을 주저했다. 마침 이를 노린 팀이 외곽 슈터의 부재로 2006-07 시즌 챔프전에서 졌다고 판단한 추일승 감독의 부산 KTF였고, 결국 양희승은 황진원,옥범준과 1:2 사인 & 트레이드의 형식으로 KTF로 가게 되었다. 이는 결과적으로 KTF의 실패였다.

양희승이 정말 노쇠해진 것이었다. 어깨 부상과 발목 부상이 겹치면서 슈터로서의 능력은 곤두박질쳤고, 팀의 전력을 일으키기에는 양희승의 능력은 그리 뛰어나지 않았다. 말 그대로 노장으로서 한계에 조금씩 봉착하기 시작한 것. 반대로 KTF가 내준 황진원은 준수한 활약을 보이면서 KT&G에 보탬이 되었다. 여기에 다시 무릎까지 다치면서 양희승의 가치는 급락했고, 이적해온 다음 시즌에는 팀은 최하위로 떨어졌다.

새롭게 부임한 전창진 감독은 양희승을 단칼에 웨이버로 방출하는 결정을 내렸고, 양희승은 방출된 후, 아무도 자기를 찾지 않게 되자 그렇게 은퇴하게 되었다. 한 시대를 주름잡던 선수치고는 다소 허망한 은퇴였다. 그리고 그가 은퇴한 후, kt의 성적이 부진했다면 잘못된 결정이라고 할 수도 있었을 텐데, 하필이면 은퇴 후에 다른 포워드들의 포텐이 다 터지면서 우승을 다투는 팀이 되면서 더 좋지 않은 상황이 되고 말았다.


3. 은퇴 후[편집]


다른 선수들과 달리 지도자가 아니라 사업가의 길을 걷고 있다.[8] 2023년 현재 펄하우스스토리 이사. 이 때문에 농구 팬들은 은근히 떨떠름해 하고 있다. 왜 그런 지는 이진주 문서 참고. 참고로 이 때문인지는 몰라도 예전에 골드미스가 간다에 나와 현영과 커플로 엮이기도 했다. 이 때 윤동식에게 팔씨름에서 완패했다(...). 그나마 윤동식은 같은 프로에 격투기 선수니까 완력에서 밀리는 건 그러려니 하는데... 옆에 있던 노홍철에게도 졌다. 지못미.[9]

2017년 2월 3일부터 tvN에서 방영 중인 연예인 농구를 소재로 한 프로그램 '버저비터'에서 자신의 이름을 딴 '팀Y'의 감독을 맡아 본격적으로 방송인의 길을 걷게 되었다.

2021년 뭉쳐야 쏜다에 고려대 팀의 선수로 출전했다.


4. 역대 성적[편집]



역대 기록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1997-98LG1449/92
(53.26%)
18/43
(41.86%)
26/32
(81.25%)
178419102
1998-99512/33
(36.36%)
7/26
(26.92%)
13/13
(100%)
5819361
1999-00LG / 현대45155/295
(52.54%)
57/178
(32.02%)
131/162
(80.86%)
61215161397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0-01현대43113/211
(53.55%)
70/167
(41.92%)
72/89
(80.90%)
5088061397
2001-0254217/353
(61.47%)
110/284
(38.73%)
89/115
(77.39%)
853133986113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2-03SBS51163/319
(51.10%)
106/262
(40.46%)
163/186
(87.63%)
807249986010
2003-0449158/331
(47.73%)
88/268
(32.84%)
138/164
(84.15%)
7181081295614
2004-0554126/242
(52.07%)
157/364
(43.13%)
131/156
(83.97%)
8541341415815
2005-0647117/225
(52.00%)
86/222
(38.74%)
89/110
(80.91%)
581105101476
2006-0753174/310
(56.13%)
107/316
(33.86%)
167/191
(87.43%)
83691145449
시즌소속팀경기수2점슛3점슛자유투득점리바운드어시스트스틸블록슛
2007-08KTF3670/138
(50.72%)
45/134
(33.58%)
115/272
(42.28%)
3395251336
2008-093537/78
(47.44%)
49/144
(34.03%)
52/63
(82.54%)
2733723252
KBL 통산
(12시즌)
4861391/2627
(52.95%)
900/2408
(37.38%)
1135/1361
(83.39%)
6,6171,10090646994



5. 관련 문서[편집]



[1] 착화신장으로 실제로는 192cm다.[2] 아킬레스건 파열[3] 부상당한 김영만의 대체인원으로 고려대 4학년때 처음 발탁되었다.[4] 경남/창원 LG 시절[5] 전주 KCC, 안양 SBS/KT&G, 부산 KTF 시절[6] 대전 현대 시절[7] 실업농구 시절 LG로부터 계약금 5억을 받았는데, NBA식 운영을 표방하며 계약금 폐지, 샐러리캡 제도를 도입한 KBL은 당시 현역 선수들을 대상으로 연봉에서 매년 일부를 공제하는 방식으로 실업팀 시절 받은 계약금을 토해내게 했다. 양희승은 CF 출연과 옵션으로 손실을 최소화하길 원했으나, 구단은 상큼하게 묵살했다고 한다.[8] 왕년의 스타가 성적 부진으로 쫓겨나듯 은퇴를 하다보니 농구에 대한 미련을 완전히 접었다는 얘기가 있었다.[9] 물론 노홍철도 완력 좋은 걸로 유명하긴 했다. 그래서 그게 위안이 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