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전정규

덤프버전 :

전정규의 영예 / 역임 직책
[ 펼치기 · 접기 ]
KBL 챔피언결정전 우승 반지
2016

[ 펼치기 · 접기 ]

1983-84 시즌1984-85 시즌1985-86 시즌1986-87 시즌1987-88 시즌
이충희
현대전자 / 가드, 포워드
임정명
삼성전자 / 센터
이충희
현대전자 / 가드, 포워드
박수교
현대전자 / 가드
김현준
삼성전자 / 가드
1988-89 시즌1989-90 시즌1990-91 시즌1991-92 시즌1992-93 시즌
유재학
기아산업 / 가드
한기범
기아산업 / 센터
정덕화
기아자동차 / 포워드
허재
기아자동차 / 가드
강동희
기아자동차 / 가드
1993-94 시즌1994-95 시즌1995-96 시즌1996-97 시즌1997-98 시즌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허재
기아자동차 / 가드
김유택
기아자동차 / 센터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1998 시즌1999-2000 시즌2000 시즌2001-02 시즌2002-03 시즌
조우현
중앙대학교 / 포워드
김주성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김주성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현주엽
상무 / 포워드
김동우
연세대학교 / 포워드
2003 시즌2004 시즌2005 시즌2006 시즌2007 시즌
방성윤
연세대학교 / 포워드
전정규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박지현
상무 / 가드
허효진
중앙대학교 / 포워드
강병현
중앙대학교 / 가드
2008 시즌2009 시즌2010 시즌2011 시즌2012 시즌
양동근
상무 / 가드
유병재
상무 / 포워드
양희종
상무 / 포워드
함지훈
상무 / 포워드, 센터
박재현
고려대학교 / 가드
2013 시즌2014 시즌2015 시즌2016 시즌2017 시즌
윤호영
상무 / 포워드
이정현
상무 / 가드
김시래
상무 / 가드
최부경
상무 / 포워드, 센터
이승현
상무 / 포워드




[ 펼치기 · 접기 ]

1985년1986년1987년1988년1989년
김태경
중앙대학교
미상김종석
한양대학교
이완규
고려대학교
유도훈
연세대학교 / 가드
1990년1991년1992년1993년1994년
이상범
연세대학교 / 가드
정경호
중앙대학교 / 센터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문경은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박재헌
고려대학교 / 센터
1995년1996년1997년1998년1999년
전희철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양희승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서장훈
연세대학교 / 센터
강혁
경희대학교 / 가드
임재현
중앙대학교 / 가드
2000년2001년2002년2003년2004년
황진원
중앙대학교 / 가드
정훈
성균관대학교 / 포워드
김동우
연세대학교 / 포워드
이정협
연세대학교 / 포워드
방성윤
연세대학교 / 포워드
2005년2006년2007년2008년2009년
전정규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함지훈
중앙대학교 / 포워드, 센터
윤호영
중앙대학교 / 포워드
박성진
중앙대학교 / 가드
오세근
중앙대학교 / 센터
2010년2011년2012년2013년2014년
김선형
중앙대학교 / 가드
박래훈
경희대학교 / 가드
두경민
경희대학교 / 가드
이종현
고려대학교 / 센터
이승현
고려대학교 / 포워드, 센터
2015년2016년2017년2018년2019년
이동엽
고려대학교 / 가드
최준용
연세대학교 / 가드, 포워드
김낙현
고려대학교 / 가드
전현우
고려대학교 / 포워드
박정현
고려대학교 / 센터
2020년2021년2022년2023년2024년
코로나19 여파로 취소이정현
연세대학교 / 가드
박무빈
고려대학교 / 가드
박정환
고려대학교 / 가드





파일: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엠블럼.svg대구 한국가스공사 페가수스
역대 1라운더
(대우-신세기-SK빅스-전자랜드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3d4498><rowbgcolor=#3d4498> {{{#ffffff 1997-98 시즌}}} || {{{#ffffff 1998-99 시즌}}} || {{{#ffffff 1999-2000 시즌}}} || {{{#ffffff 2000-01 시즌}}} || {{{#ffffff 2001-02 시즌}}} || ||<width=20%><rowbgcolor=#f7f7f7,#191919> [[이은호]]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센터(농구)|C]] ,,[br],,(5순위),, ||<width=20%> [[조동현(농구)|조동현]]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최병훈(농구)|최병훈]]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width=20%> [[이현준(농구)|이현준]]^^[[#TemplateB|(2)]]^^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한정훈(농구)|한정훈]]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 || {{{#ffffff 2002-03 시즌}}} || {{{#ffffff 2003-04 시즌}}} || {{{#ffffff 2004-05 시즌}}} || {{{#ffffff 2005-06 시즌}}} || {{{#ffffff 2007-08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석명준]]^^[[#TemplateB|(2)]]^^[br],, [[중앙대학교|중앙대]] / [[포워드(농구)|F]] ,,[br],,(5순위),, ||<width=20%> [[김도수]]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정재호(농구)|정재호]]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가드(농구)|G]] ,,[br],,(5순위),, ||<width=20%> [[전정규]]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1순위)''',, ||<width=20%> {{{#000000
(2명)
}}} || || {{{#ffffff 2008-09 시즌}}} || {{{#ffffff 2009-10 시즌}}} || {{{#ffffff 2010-11 시즌}}} || {{{#ffffff 2011-12 시즌}}} || {{{#ffffff 2012-13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강병현(1985)|강병현]]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가드(농구)|G]] ,,[br],,'''(4순위)''',, ||<width=20%> {{{#000000
(2명)
박성진
중앙대 / G
(1순위)
송수인(4)
연세대 / F
(9순위)
}}} ||<width=20%> 지명권 없음^^[[#TemplateC|(3)]]^^ ||<width=20%> [[함준후|함누리]] [br],, [[중앙대학교|중앙대]] / [[포워드(농구)|F]] ,,[br],,'''(4순위)''',, ||<width=20%> [[차바위]] [br],, [[한양대학교|한양대]] / [[포워드(농구)|F]] ,,[br],,(7순위),, || || {{{#ffffff 2013 시즌}}} || {{{#ffffff 2013-14 시즌}}} || {{{#ffffff 2014-15 시즌}}} || {{{#ffffff 2015-16 시즌}}} || {{{#ffffff 2016-17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000000
(2명)
김지완
연세대 / G
(6순위)
김상규(4)
단국대 / F
(9순위)
}}} ||<width=20%> [[임준수(농구선수)|임준수]]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정효근]] [br],, [[한양대학교|한양대]] / [[포워드(농구)|F]] ,,[br],,'''(3순위)''',, ||<width=20%> [[한희원(농구선수)|한희원]] [br],, [[경희대학교|경희대]] / [[포워드(농구)|F]] ,,[br],,'''(2순위)''',, ||<width=20%> [[강상재]]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3순위)''',, || || {{{#ffffff 2017-18 시즌}}} || {{{#ffffff 2018-19 시즌}}} || {{{#ffffff 2019-20 시즌}}} || {{{#ffffff 2020-21 시즌}}} || {{{#ffffff 2021-22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김낙현]]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가드(농구)|G]] ,,[br],,(6순위),, ||<width=20%> [[전현우]]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포워드(농구)|F]] ,,[br],,(6순위),, ||<width=20%> [[양재혁]]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9순위),, ||<width=20%> [[양준우(농구선수)|양준우]] [br],, [[성균관대학교|성균관대]] / [[가드(농구)|G]] ,,[br],,'''(4순위)''',, ||<width=20%> [[신승민]] [br],, [[연세대학교|연세대]] / [[포워드(농구)|F]] ,,[br],,(8순위),, || || {{{#ffffff 2022-23 시즌}}} || {{{#ffffff 2023-24 시즌}}} || {{{#ffffff 2024-25 시즌}}} || {{{#ffffff 2025-26 시즌}}} || {{{#ffffff 2026-27 시즌}}} || ||<rowbgcolor=#f7f7f7,#191919><width=20%> [[염유성]] [br],, [[단국대학교|단국대]] / [[가드(농구)|G]] ,,[br],,(8순위),, ||<width=20%> [[신주영(농구선수)|신주영]] [br],, [[고려대학교|고려대]] / [[센터(농구)|C]] ,,[br],,(5순위),, ||<width=20%> ||<width=20%> ||<width=20%> || ||<bgcolor=#e3e3e3><-5> [anchor(TemplateA)]^^ {{{#3d4498 '''(1) 사전 지명권 트레이드'''}}}^^[br][anchor(TemplateB)]^^ {{{#3d4498 '''(2) 지명 직후 보상선수/트레이드 이적으로 타팀 데뷔'''}}}^^[br][anchor(TemplateC)]^^ {{{#3d4498 '''(3) 혼혈 선수 드래프트 지명권 행사로 1라운드 지명권 소멸'''}}}^^[br][anchor(TemplateD)]^^ {{{#3d4498 '''(4) 타팀 혼혈 선수 드래프트 지명권 행사로 인한 추가 지명'''}}}^^ ||




파일:고양 데이원 점퍼스 엠블럼.svg고양 데이원 점퍼스
역대 주장
(동양-오리온 시절 포함)
||
[ 펼치기 · 접기 ]

#20272C,#D3DADE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E60012><bgcolor=#FF0000> {{{#FFFF00 1997~2001}}} ||<bgcolor=#FF0000> {{{#FFFF00 2001~2002}}} ||<bgcolor=#FF0000> {{{#FFFF00 2002}}} ||<bgcolor=#FF0000> {{{#FFFF00 2002~2011}}} ||<bgcolor=#FF0000> {{{#FFFF00 2012~2013}}} || ||<width=20%><rowbgcolor=#ffffff> {{{#000000 미상}}} ||<width=20%> [[김도명]] ||<width=20%> [[박훈근]] ||<width=20%> [[김병철(농구)|김병철]] ||<width=20%> [[전정규]] || ||<bgcolor=#34007F> {{{#ffffff 2013~2014}}} ||<bgcolor=#ffffff> {{{#E60012 2014~2018}}} ||<bgcolor=#ffffff> {{{#E60012 2018~2021}}} ||<-2><bgcolor=#ffffff> {{{#E60012 2021~}}}{{{#ff4600 2023}}} || ||<width=20%> [[김동욱(농구선수)|김동욱]] ||<width=20%> [[김도수]] ||<width=20%><rowbgcolor=#ffffff> [[허일영]] ||<-2><width=20%> [[김강선(농구)|김강선]] ||






명지중학교 농구부 코치
파일:20220807 전정규.jpg
전정규
田正圭
출생 1983년 10월 14일 (40세)
전라북도 진안군[1]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본관 담양 전씨[2]
신체 187cm|체중 86kg
직업 농구선수(슈팅 가드, 스몰 포워드/ 은퇴)
종교 원불교#
학력 광주고등학교 (졸업)
연세대학교 (졸업)
프로입단 2006년 드래프트 (1라운드 1순위, 인천 전자랜드)
현역시절 등번호 8, 7
병역 상무 농구단 (2009~2011)
소속 선수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2006~2008.1)
대구 오리온스-고양 오리온 오리온스 (2008~2018)
코치 낙생고등학교
명지중학교 (2022~)

1. 개요
2. 선수 생활
3. 은퇴 후
4. 기타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의 前 프로농구 선수이며 가드와 포워드를 맡았다. KBL이 출범한 이래 김동우, 박성진등과 함께 1픽임에도 아마추어에서의 기대에 비해 프로에서 특별히 두각을 드러내지 못한 선수였다.


2. 선수 생활[편집]



2.1. 아마추어 시절[편집]


파일:전정규 연세대 시절.jpg
광주고등학교 시절에는 그렇게까지 기대를 받는 선수는 아니었다. 이후 연세대학교에 진학하면서 슛 기복이 덜한 안정감있는 정교한 슈터로 각광받기 시작했다. 2004년 무렵에는 농구대잔치에서 MVP를 수상하기도 했고, 게다가 연세대의 캡틴으로서 양희종이나 김태술등의 선수들을 이끌면서 연세대가 연전 연승을 해나가는데 공헌을 했고, 그 덕에 리더십까지 인정을 받았다.

파일:전정규 드래프트.jpg
그렇게 졸업반에 다다를 무렵 인재의 풀이 그렇게 크지는 않았던 06드래프트에서 자연히 안정감 있는 슈터였던 전정규는 단연 드래프트의 최대어로 주목받았다. 결국 당시 리빌딩을 통해 슈터를 보강하고자 했던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에서 그를 1순위로 지명했고 그의 프로생활이 시작되었다.


2.2. 인천 전자랜드 블랙슬래머 시절[편집]


파일:신인시절의 전정규.jpg

프로에서도 그의 활약을 기대한 팬들은 그가 안정감 있는 슈터로 성장하기를 바랬다. 그러나 그런 기대와 달리 전정규는 당시 2%가 부족한 활약을 보였는데, 조우현이나 정선규 포지션에 비슷한 롤을 가진 선수들이 많았고 자신도 프로의 부담 속에서 공수에서 큰 활약을 보이지 못했다. 그래도 초년병 시절에는 신인왕 후보로 경합을 했으나, 결국 당시 2위를 했던 창원 LG 세이커스의 신인 가드 이현민이 신인왕을 수상하였다. 그러나 다음 시즌에도 성장세에서 더딘모습을 보이고, 약점으로 지적되던 수비 마저 성장하지 않은데다, 신인으로 정영삼을 지명했고, 조우현김성철마저 FA로 팀에 합류하면서, 전정규의 팀내에서의 입지는 자연히 줄어들 수 밖에 없었다. 결국 전정규는 2008년 1월백주익, 카멜로 리와 묶여서 3:3 트레이드로 대구 오리온스로 팀을 옮겼다. 이 때 트레이드를 통해 전자랜드로 옮긴 선수는 주태수리온 트리밍햄, 정재호였는데 이 때 인천 전자랜드 엘리펀츠에서 수문장 역할을 해주는 주태수를 영입했기 때문에 전정규를 크게 아쉬워 하지는 않았다.


2.3. 대구/고양 오리온스 시절[편집]


당시 높이가 낮았던 오리온스였지만, 공격에 속도를 높이고 김병철을 보조해줄 슈터를 필요로 하는 오리온스였기에 전정규가 활약할 수 있었고, 트레이드 후에는 좋은 활약을 보였다. 이런 나쁘지 않은 활약으로 방성윤이규섭의 부재를 틈타서, 베이징 올림픽에 슈터로 합류했다. 회의적인 시선을 보였지만 캐나다 전에서 나쁘지 않은 활약을 보이면서 가능성을 선보였다. 그러나 2008-2009 시즌에도 그렇게 인상적인 활약을 보이지 못하고 발전에서 더딘 모습을 보였고, 결국 그 시즌이 끝난 후 상무에 입대했다.

상무에서 전역한 2010-2011시즌에는 연세대학교 시절 스승 김남기 감독이 지휘하고 있는 대구 오리온스로 복귀하면서 김병철의 백업멤버로 활약하였다. 이후 연고지와 팀의 이름이 바뀐 고양 오리온 오리온스에서 새로운 주장으로 선임되었다. 좋은 활약을 기대한 오리온스 팬들이었지만, 결국 수비에서도 구멍이 되어버리고, 공격에서도 느린 스피드로 인해 팀의 공격전개에 큰 도움이 되지 못했고, 오픈찬스에서도 기복있는 슈팅을 보인데다, 이타적인 플레이가 부족하고 파이팅이 부족한 전정규였기 때문에 부진한 오리온스의 성적과 맞물려서 욕을 바가지로 먹었다. 2012-2013 시즌에도 이렇게 기복있는 슈팅을 보여주었던 전정규이지만, 플레이오프 싸움이 치열한 2~3월달에 좋은 슈팅능력을 선보이면서 오리온스가 6시즌만에 플레이오프에 진출하는데 나름대로 공헌했다. 이로 인해서 얻은 별명은 전대만. 그리고 2013-2014시즌 현재에도 추일승감독의 신임 아래에서 많은 시간 동안 출장중이지만 여전히 기복있는 슈팅 능력과 수비에서 OME수준의 구멍을 선보이며 오리온스 팬들에게 바가지로 욕을 먹고있고, 덤으로 KBL 팬들의 삐뚤어진 애정(?)을 여전히 받고 있다.. 그러다 허일영의 가세로 출장 기회가 줄어들다 못해 비중이 별로 없어졌다. 결국 2018년 5월 15일에 협상이 결렬되어 FA 시장에 나오게 되었다. 그리고 5월 28일, 11년간의 현역 생활을 마무리지었다.


3. 은퇴 후[편집]


파일:전정규 3대3코트.jpg
2018년 6월 15일, 선수생활을 마감한 지 1개월 만에 3X3선수로 현역 복귀해 PEC팀에서 활약했다.

3X3 이후 낙생고등학교 농구부 어시스턴트 코치를 시작으로 2022년 3월 1일, 명지중학교 농구부의 코치로 부임했다.


4. 기타[편집]


  • 전체년도 1픽에 지명된 선수임에도 불구 미흡한 활약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김동우박성진등과 최악의 1픽을 고르자면 언급되는 선수다. 주요 별명은 전대만인데, 잘할때는 3점슛에서 뛰어난 모습을 보이기 때문이고, 못할 때는 3점 슛밖에 없다고 까인다(...). 또한 다른 별명은 정규이다. 추일승 감독이 양아들처럼 기용한다며 불리는 별명이다.

  • 또 하나의 별명으로는 플레이스타일에서 유래된 시즈모드가 있는데, 캐치 앤 샷의 비중이 매우 높고 그 슛이 매우 정확하기 때문이다. 확률이 반타작인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언덕을 노리고 쏴서 그런 거라 카더라

  • 잘 알려지지 않은 사실이 있는데 원불교 신자다.


5. 관련 문서[편집]



[1] 참조.[2] 27세손 규(圭) 항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