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릭 베다르(쇼트트랙)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야구 선수에 대한 내용은 에릭 베다르 문서
에릭 베다르번 문단을
에릭 베다르#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에릭 베다르
Éric Bédard
파일:external/www.collectionscanada.gc.ca/0919bedard19-v6.jpg
출생1976년 12월 17일 (47세)
퀘벡주 알마
국적
파일:캐나다 국기.svg

신체173cm
종목파일: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픽토그램.svg쇼트트랙 스피드 스케이팅
주종목: 500m, 1000m
1. 개요
2. 선수 경력
3. 지도자 경력
4. 수상 기록
4.1. 월드컵 성적
5. 기타



1. 개요[편집]


캐나다의 前 남자 쇼트트랙 선수이며 2008년부터 코치 활동을 하고 있다.


2. 선수 경력[편집]



2.1. 1998 나가노 동계올림픽[편집]


500m에서는 준준결승까지 갔으며 1000m에서 동메달, 계주에서 금메달을 따면서 본인의 첫올림픽을 순조롭게 마무리했다.


2.2. 2002 솔트레이크시티 동계올림픽[편집]


계주에만 참가했으며 여기에서 금메달을 다시 한 번 땄다.


2.3.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편집]


본인의 주종목인 1000m와 500m에 참여했으며 일단 1000m에서는 준결승에서 실격 판정을 받았다. 500m에서는 준준결승에서 중국 선수와 충돌한 뒤 재경기를 통해 결승에 올라갔으나 아폴로 안톤 오노안현수, 동료인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에게 밀려서 4위를 차지했다. 이 때 오노가 출발 총성이 울리기도 전에 상체가 움직이는 모습이 보였을 때 캐나다 선수진들이 비판했지만 심판진은 그냥 넘어갔다. 사실 본인과 동료도 한 번 부정 출발을 했지만 오노는 3번이나 부정 출발을 했다.[1]

김동성이 2006 토리노 동계올림픽 MBC 해설을 볼 당시 5000m 계주 결승전이 시작되기 조금 전에 그가 화면에 잡히자 경기가 잘 안되면 얼음판 탓하는 선수라고 디스한 적이 있다.

그리고 이 경기에서 3바퀴를 남기고 한국의 1번 주자였던 송석우의 얼굴을 가격했다. 이건 명백한 실격 행위였는데도 별다른 제재없이 넘어갔는데 국제빙상경기연맹(ISU)에 캐나다 출신 인물이 많아 실격이 주어지지 않았다는 이야기가 있다. 만에 하나 송석우가 넘어지기라도 했다면 실격 처리가 될 확률이 높았을 것이다. 그 뒤 다음 주자인 안현수가 맹활약을 펼친 대한민국에 이어 은메달을 땄다.[2]


3. 지도자 경력[편집]


2006 토리노 올림픽을 끝으로 은퇴한 뒤에는 2008~2010년에 독일 대표팀 코치 생활을 했으며 오래전 팀 동료였던 타이슨 흥과 재회했다. 밴쿠버 동계올림픽 이후에는 이탈리아 국가대표 코치로 부임했으며 소치 동계올림픽 시즌까지 끝나고는 1시즌 동안 프랑스 국가대표팀을 지도했다. 그후 2015년에 캐나다로 돌아가 캘거리에서 2018년까지 쇼트트랙 육성 프로그램 책임자를 맡았다. 2018년 8월부터 캐나다 남자 쇼트트랙 국가대표팀 코치로 부임해 지도자 커리어를 이어가고 있다. 이제는 명실상부 캐나다의 에이스이자 전설 중 한명인 샤를 아믈랭과 다시 만났다. 2022 베이징 동계올림픽을 앞두고는 마크 가뇽이 대표팀에 어시스턴트 코치로 합류하면서 2002년 이후 다시 한 팀에서 만났다.


4. 수상 기록[편집]


대회
올림픽211
세계선수권472
세계 팀선수권620
합계1293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월드컵 시리즈 수상성적
월드컵 랭킹0011
월드컵 메달1081028
합계1081129

파일:오륜기(여백X).svg 올림픽
금메달1998 나가노5000m 계주
금메달2002 솔트레이크시티5000m 계주
은메달2006 토리노5000m 계주
동메달1998 나가노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선수권
금메달1998 비엔나5000m 계주
금메달2000 셰필드500m
금메달2005 베이징5000m 계주
금메달2006 미니애폴리스5000m 계주
은메달1997 나가노5000m 계주
은메달1998 비엔나500m
은메달2000 셰필드종합
은메달2000 셰필드1500m
은메달2001 전주5000m 계주
은메달2002 몬트리올5000m 계주
은메달2003 바르샤바5000m 계주
동메달1999 소피아5000m 계주
동메달2002 몬트리올1000m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세계 팀선수권
금메달1998 보르미오단체전
금메달2000 헤이그단체전
금메달2001 노베야마단체전
금메달2003 소피아단체전
금메달2005 춘천단체전
은메달1999 세인트루이스단체전
은메달2002 밀워키단체전


4.1. 월드컵 성적[편집]


파일:국제빙상경기연맹 로고.svg 월드컵 수상 기록
월드컵 랭킹우승2위3위포디움
500 m 랭킹0011
월드컵 메달포디움
개인전 합계53614
계주55414
메달합계1081028
랭킹 + 메달 합계1081129

5. 기타[편집]


  • 전직 동료이자 당시 이미 은퇴를 했던 캐나다 쇼트트랙 전설 마크 가뇽에게 안현수가 어떠냐고 질문을 받았는데 "복귀할 생각 마라"라고 답해줬다고 한다. 또한 마크 가뇽과 유일한 캐나다 남자 계주 2연패 수상자다.

  • 동명의 캐나다 야구 선수와 철자가 비슷하며 이 쪽은 Érik Bédard로 표기한다.[3]

  • 경기에선 고글 착용을 하지 않는다.[4]

[1] 당시 레이스 경기는 3번 이상 부정 출발하면 실격 처리되었고 2010년부터는 한 번만 해도 실격 처리된다. 특히 3등과의 차이가 0.004초였기 때문에 만약에 오노가 실격되었다면 메달을 받을 수도 있었을 것이다.[2] 그도 그럴 것이 3000m 여자 계주에서는 왕멍과 캐나다 선수가 진선유를 푸싱했음에도 중국만 실격 판정을 받았다.[3] 정확히 말하자면 이 야구 선수의 본명은 Érik Joseph Bédard다.[4] 캐나다 선수 중에서는 프랑수아루이 트랑블레가 고글 착용을 하지 않았으며 2010 밴쿠버 동계올림픽부터는 고글을 착용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3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3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3:33:57에 나무위키 에릭 베다르(쇼트트랙)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