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여인형

덤프버전 :

||


파일:국군방첩사령부 부대마크.svg

||
[ 펼치기 · 접기 ]
## 범례

## 1번째 줄 - 1공
파일:Lieutenant General_white.png

초대

남영신
제2대

전제용
제3대

이상철
제4대

황유성
제5대

여인형
※ 초대~4대: 군사안보사령관, 4대~현재: 국군방첩사령관
※ 관련 직위 둘러보기




대한민국 제5대 국군방첩사령관
여인형
呂寅兄 | Yeo Inhyeong
파일:중장 여인형.jpg
학력충암고등학교 (17회 / 졸업)
국방대학교 (국제관계학 / 석사[1])
복무대한민국 육군
1992년 ~ 현재
임관육군사관학교 (48기)
현재 계급중장 (대한민국 육군)
현재 보직국군방첩사령관
주요 보직육군본부 정보작전참모부장
제53보병사단
육군본부 정책실장
육군본부 작전교훈차장
합동군사대학교 육군대학
제11공수특전여단
육군본부 교육훈련정책과장
국방부 정책관리담당관
제51보병사단 제167연대장

1. 개요
2. 주요 직위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대한민국 육군장성으로 현재 계급은 중장, 병과는 보병이며 직능은 작전이다. 1988년 충암고등학교(17회) 졸업과 동시에 육군사관학교 48기로 입교하여 1992년 학사학위 취득과 동시에 육군 소위로 임관하였다.


2. 주요 직위[편집]








3. 여담[편집]



4.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12:18:05에 나무위키 여인형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석사 학위 논문: 지역안보복합체 분석, ARF 사례연구 : 안보복합체 이론을 중심으로 (2000. 02.)[2] 장관 수행, 업무보좌, 말씀관리, 정책보좌 등 기능을 수행하는 상당한 요직이며 수행 업무, 대개 이 자리에서 더 주요한 참모 직책으로 이동하여 준장 진급한다. 강신철(육사 46 / 중장) - 양태봉(육사 47 / 소장) - 여인형(육사 48 / 소장) - 강관범(육사 49 / 소장) - 김화종(육사 50 / 소장) - 곽태신(육사 51 / 준장)- 양진혁(육사 52 / 준장) 등 역대 역임자는 대개 육사 출신이며 정책통 혹은 작전통이었고 모두 장군 진급에 성공했다. 대신 이 자리는 준장 진급 대상이 되기 이전에 거치는 자리였고 준장 진급 자체는 다른 직위에서 했다.[3] 전임 손식, 후임은 박재열[4] 전임 우성제, 후임 최장식[5] 전임 정진팔, 후임 엄용진[6] 전임 김봉수, 후임 강관범[7] 전임 김동호, 후임 김흥준[8] 전임 황유성[9] 방첩사에서 내부 승진으로 사령관에 오른 케이스는 공군 출신인 전제용 전 사령관이 유일하다. 나머지는 전부 육군 야전통 출신들.

관련 문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