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암군·무안군·신안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영암군·무안군·신안군.svg
선거인 수150,986명 (2020)
상위 행정구역전라남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영암군 전역
영암읍, 삼호읍, 덕진면, 금정면,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

무안군 전역
무안읍, 일로읍, 삼향읍, 몽탄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

신안군 전역
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암태면
신설년도2016년
이전 선거구무안군·신안군,
장흥군·강진군·영암군
국회의원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서삼석
1. 개요
2. 역사
3. 특징
4.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



1. 개요[편집]


전라남도 영암군, 무안군, 신안군 일원에 설치된 대한민국의 국회의원 선거구. 전라남도의 인구 감소에 따라 군 지역을 조정하면서 탄생하였다. 현재 국회의원은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이다.

2. 역사[편집]


제19대 국회의원 선거 이전제20대 국회의원 선거 이후
고흥군·보성군고흥군·보성군·장흥군·강진군
장흥군·강진군·영암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무안군·신안군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무안군·신안군 선거구에 영암군을 이어 새롭게 편성된 선거구이다. 기존 선거구인 무안군·신안군과 장흥군·강진군·영암군의 당시 인구 수는 각각 12만 5571명과 13만 8717명으로 2015년 10월 기준 하한 인구 수인 13만 9473명에 미달하여 제20대 국회의원 선거를 앞두고 선거구 재획정이 불가피하였다. 다양한 안건이 오간 결과 현재와 같이 장흥군·강진군과 영암군이 분리되어 인접한 다른 선거구에 통합되었다.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다시 선거구 획정이 논의되었었다. 영암군은 나주시·화순군에, 신안군은 목포시에, 무안군은 담양군·함평군·영광군·장성군에 흡수되는 방안으로 기존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선거구가 완전히 해체되는 방향이었다. 하지만 합의에 이르지는 못해 무산되었고 그대로 유지하여 선거를 진행했다.

3. 특징[편집]


본래 영암군은 제15대 국회의원 선거부터 약 20년 간 장흥군과 선거구를 함께 해온 지역이었다. 경계가 맞닿아 있기는 하지만 빽빽한 호남 정맥에 막혀 있기에 생활권은 서로 전혀 달라 교류가 적은 편이다. 그래도 인구 수와 정치 성향은 비슷하였기에 김옥두 전 의원이 득표율 80%를 상회하는 대기록으로 연임하던 곳이었다.

영암군은 삼호읍 대불국가산업단지를 기점으로 꾸준히 성장하는 반면, 장흥군은 서서히 인구 감소세를 보이다 제17대 국회의원 선거를 기점으로 선거인수 4만 명선이 붕괴되며 두 지역 간의 격차가 크게 나타나기 시작했다. 이로 인해 영암군 출신의 유선호 전 의원은 처음 출마한 선거구였지만 영암군의 압도적인 지지를 얻고 당선된 반면, 장흥군에서 우세했던 김옥두 전 의원은 3선에 실패하고 낙마한다. 이후 유선호 전 의원은 제1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당선되어 재선에 성공하면서 영암군의 영향이 상당히 미치게 되었다.

신안군 출신인 주영순 후보가 새누리당 후보로 출마했기 때문에 소지역주의가 작용해서 새누리당 득표율이 두 자릿수를 기록한 경이로운 지역구다.

4.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선거당선인당적임기선거구
13대류인학
ta-hash-start=w-b1e2036afffdf8ccf026919359241934[[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영암군
박석무무안군
박형오
ta-hash-start=w-715f390c232030c410b5ff0aa1034a1c[[파일:한겨레민주당 글자.svg
신안군
14대류인학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영암군
박석무무안군
한화갑신안군
15대
ta-hash-start=w-d52a77a7e1cfe7d483b6539171b03e64[[파일:새정치국민회의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목포시·신안군
김옥두장흥군·영암군
배종무무안군
16대한화갑
ta-hash-start=w-91de8158aaf327cb017d81e32b9831cf[[파일:새천년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무안군·신안군
김옥두장흥군·영암군
17대한화갑2004년 5월 30일 ~ 2006년 12월 22일[1]무안군·신안군
김홍업
ta-hash-start=w-073b00ab99487b74b63c9a6d2b962ddc[[파일:민주당(2005년) 흰색 로고타입.svg
2007년 4월 26일 - 2008년 5월 29일
유선호
ta-hash-start=w-79c4e9cd6512c13de8907e6d1c1189cc[[파일:열린우리당 로고타입.svg
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장흥군·영암군
18대이윤석
무소속

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무안군·신안군
유선호
ta-hash-start=w-0ce3c706b8e866cbae77f745e39bad87[[파일:통합민주당(2008년) 흰색 로고타입.svg
장흥군·강진군·영암군
19대이윤석
ta-hash-start=w-08419be897405321542838d77f855226[[파일:민주통합당 연두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무안군·신안군
황주홍장흥군·강진군·영암군
20대박준영
ta-hash-start=w-c1b1576372654fa8aae001e7a236a840[[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2016년 5월 30일 ~ 2018년 2월 8일[2]영암군·무안군·신안군
서삼석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8년 6월 14일 ~ 2020년 5월 29일
21대2020년 5월 30일 ~ 현재
22대

4.1.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영암군 일원[영암], 무안군 일원[무안], 신안군 일원[신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주영순(朱永順)14,4073위

ta-hash-start=w-a1fde6b743bdfa3c9798536192b9143d[[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14.66%낙선
2서삼석(徐參錫)37,8162위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8.49%낙선
3박준영(朴晙瑩)40,9981위

ta-hash-start=w-c06ad18e4842f5f6f5738e58034a9fd9[[파일:국민의당(2016년) 흰색 로고타입.svg
41.72%당선
4장문규(張文奎)3,2414위

ta-hash-start=w-8f51d048845867380207217d2b5c3156[[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3.29%낙선
5박광순(朴洸淳)1,7865위

ta-hash-start=w-b899fec95f71a6da093036867826e51b[[파일:민중연합당 글자.svg
1.81%낙선
선거인 수151,969투표율
65.75%
투표 수99,925
무효표 수1,677

이 지역구는 소지역주의가 강하게 작용해서 출구조사가 경합이었는데, 세 후보가 각각 고향이 달랐기 때문이다. 새누리당 주영순 후보는 신안군,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후보는 무안군, 국민의당 박준영 후보는 영암군 출신이다. 주영순 후보와 박준영 후보는 단수 추천되었고, 서삼석은 이 지역 현역 의원(선거구 개편 전)인 이윤석 후보와 경쟁에 공천되었다.

군별 득표를 보면 세 지역 중 인구가 가장 많은 무안군에선 3선 무안군수 출신 서삼석 후보가 약 5,600표 차이로 이겼으나, 신안군에서 박준영 후보가 약 1,200표 차, 영암군에서 약 7,700표 차로 이겨서 박준영 후보가 당선되었다. 영암군에서 인구가 많은 삼호읍에서 특히 많이 나왔는데, 박준영의 고향이기 때문이다. 당선되고 고향에 플래카드 걸렸을 정도.

재미있게도 주영순 후보는 새누리당 출신인데도 15% 가까이 득표해 선거비 반액 보전을 받기도 했는데, 신안군에서 전체 표의 4분의 1 가량인 6,700표를[실제득표] 득표했던 점이 원인이다. 또한 신안군 대부분 읍면에서 서삼석 후보를 눌렀고, 장산면서는 3분의 2를 넘는 득표를 하기도 했다.[장산면]

그러나 2년도 안 되어 박준영 후보는 선거법 위반으로 의원직을 박탈당했고, 민주평화당은 이 의석을 후술할 2018년 재보궐선거에서 서삼석 후보에게 자리를 내주고 만다.

4.2. 2018년 재보궐선거[편집]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영암군 일원[영암], 무안군 일원[무안], 신안군 일원[신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삼석(徐參錫)67,7671위
67.97%당선
4이윤석(李潤錫)31,9412위
32.03%낙선
선거인 수150,916투표율
71.39%
투표 수107,739
무효표 수8,031

결국, 박준영 전 의원의 의원직이 박탈 당하고 치러진 재보궐선거에서 다시 출마한 서삼석 후보가 압도적인 표차이로 당선되었다. 참고로 이윤석 후보와는 민주통합당 시절부터 당내 라이벌 관계였다.

4.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영암군 일원[영암], 무안군 일원[무안], 신안군 일원[신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서삼석(徐參錫)74,6611위
76.97%당선
2이인호(李仁鎬)3,5093위
3.62%낙선
3이윤석(李潤錫)18,8352위
19.42%낙선
7임흥빈(任興彬)사퇴
선거인 수150,986투표율
65.74%
투표 수99,257
무효표 수2,252

[전라남도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읍면별 개표 결과 보기]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서삼석이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23,127
(78.81%)
4,947
(16.85%)
+ 18,180
(△61.96)
30,009
(63.86%)
영암읍72.71%23.63%△49.0864.67%
삼호읍79.23%16.09%△63.1452.67%
덕진면80.92%15.53%△65.3965.87%
금정면83.46%11.77%△71.7065.74%
신북면83.95%13.19%△70.7665.42%
시종면80.70%16.17%△64.5360.45%
도포면80.97%15.75%△65.2263.98%
군서면76.12%19.45%△56.6767.84%
서호면75.98%19.06%△56.9266.58%
학산면76.31%20.08%△56.2372.04%
미암면79.56%16.14%△63.4163.01%
후보서삼석이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69.06%16.10%△52.97
관외사전투표82.39%11.74%△70.64
재외투표100%0%△100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무안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서삼석이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32,786
(75.03%)
9,469
(21.67%)
+ 23,317
(△53.36)
44,668
(66.39%)
무안읍76.58%19.97%△56.6264.74%
일로읍62.13%35.53%△26.6066.64%
삼향읍75.64%21.12%△54.5259.73%
몽탄면75.08%23.09%△51.9968.50%
청계면72.34%23.95%△48.3964.20%
현경면83.35%13.79%△69.5763.53%
망운면75.50%22.28%△53.2363.97%
해제면76.34%21.12%△55.2263.27%
운남면71.72%25.00%△46.7262.10%
후보서삼석이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66.41%22.45%△43.95
관외사전투표79.00%16.81%△62.19
재외투표85.71%14.28%△71.43

제21대 국회의원 선거 신안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민생당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서삼석이윤석(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8,748
(78.22%)
4,419
(18.43%)
+ 14,329
(△59.79)
24,580
(66.94%)
지도읍77.22%19.47%△57.7461.38%
압해읍80.06%16.45%△63.6261.55%
증도면72.50%25.93%△46.5663.45%
임자면79.42%17.75%△61.6757.54%
자은면80.53%16.02%△64.5163.32%
비금면78.57%19.03%△59.5563.69%
도초면78.94%18.26%△60.6765.37%
흑산면81.71%15.04%△66.6756.80%
하의면82.47%14.82%△67.6563.89%
신의면83.42%13.56%△69.8662.60%
장산면72.68%22.99%△49.6966.01%
안좌면70.81%25.64%△45.1761.14%
팔금면71.79%26.12%△45.6769.16%
암태면75.84%21.70%△54.1367.37%
후보서삼석이윤석격차
거소·선상투표66.96%23.66%△43.30
관외사전투표78.58%15.55%△63.03
재외투표90.00%0%[1]△80.00
[1] 재외투표 2위는 미래통합당 이인호 후보(1표, 10.00%)이다.


여당 더불어민주당에서는 지역구 현역 서삼석 의원이 단수 공천을 받으면서 재선에 도전한다.

호남 지역구 탈환에 나선 민생당에서는 지난 재보궐선거에서 출마했던 이윤석 전 의원이 예비 후보로 등록했고, 단수 공천을 받아 서삼석 의원과 리벤치 매치에 나서게 됐다.

한편 제1야당 미래통합당에서는 (주)호산피앤티 대표,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객원교수를 역임한 바 있는 이인호 전 대표를 공천했다.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와 달리 호남에 더불어민주당의 푸른 태풍이 거세게 몰아쳤고, 그 영향을 받은 서삼석 후보가 압승, 무난히 재선에 성공하였다. 득표율도 지난 국회의원 선거를 넘어서 지난 재보궐선거 대비 많이 올라간것은 덤. 그에 비해 민생당 이윤석 후보는 지난 때보다 득표율이 크게 하락하면서 선거비를 보전 받는 수준(15% 이상)에 만족해야 했다. 그나마도 미래통합당 이인호 후보는 3.62% 득표에 그치며 선거비 보전에도 실패했다.

참고로 2018년 재보궐선거로 당선된 더불어민주당 의원 11명 중 9명이 다시 출마하여[3] 재선에 성공한 의원은 총 6명인데, 그 중 재보궐선거 당시보다 더 높은 득표율로 당선된 사람은 서삼석 의원 한 명뿐이다.

지역별 개표 결과를 보면 민생당 이윤석 후보가 고향인 무안군에서만 다른 지역보다 좀 더 높은 20% 득표율을 올리며 상대적으로 선전했을 뿐, 다른 지역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서삼석 의원에게 10% 중반대 득표율을 올리는 참패를 면하지 못했다.

여담으로, 국가혁명배당금당 후보가 출마하지 않은 지역구 중 하나이다.

4.4. 제22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암군·무안군·신안군
영암군 일원[영암], 무안군 일원[무안], 신안군 일원[신안]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0
00.00%
20
00.00%
30
00.00%
선거인 수투표율
00.00%
투표 수
무효표 수


[1] 2006년 12월 22일 불법 정치자금 수수 혐의로 형을 받아 의원직 상실.[2] 2018년 2월 8일 당선 무효로 의원직 상실.[영암] A B C D 영암읍, 삼호읍, 덕진면, 금정면, 신북면, 시종면, 도포면, 군서면, 서호면, 학산면, 미암면.[무안] A B C D 무안읍, 일로읍, 삼향읍, 몽탄면, 청계면, 현경면, 망운면, 해제면, 운남면.[신안] A B C D 지도읍, 압해읍, 증도면, 임자면, 자은면, 비금면, 도초면, 흑산면, 하의면, 신의면, 장산면, 안좌면, 팔금면, 암태면.[실제득표] 6,700표 (26.63%).[장산면] 619표 (66.70%).[3] 천안시 갑 이규희 전 의원은 공직선거법 재판에 걸려서, 천안시 병 윤일규 전 의원은 고령으로 인해 불출마 선언을 하였다. 해당 선거구에는 각각 더불어민주당 문진석, 이정문 후보가 출마해 당선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