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덤프버전 :

||
파일:국회선거구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svg
선거인 수142,416명 (2016)
상위 행정구역경상북도
관할 구역
[ 펼치기 · 접기 ]
영양군 전역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

봉화군 전역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

울진군 전역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

영덕군 전역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
신설 연도2004년
이전 선거구봉화군·울진군,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이후 선거구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국회의원
ta-hash-start=w-056ebd7645d9425650079c2dcd13b751[[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강석호



1. 개요[편집]


2004년 총선부터 현재의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선거구로 구획이 확정되었다가 제2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개편되며, 폐지되었다.


2. 역대 국회의원 목록과 역대 선거 결과[편집]


총선당선자당적임기선거구
13대오한구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영양군·봉화군
황병우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청송군·영덕군
김중권1988년 5월 30일 ~ 1992년 5월 29일울진군 일원
14대강신조
ta-hash-start=w-e774866277b69ee92ca3e44bc92db9cc[[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영양군·봉화군
김찬우
ta-hash-start=w-c00c7389d0ca5b1ebe06f7857e9cc844[[파일:통일국민당 글자.svg
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청송군·영덕군
이학원1992년 5월 30일 ~ 1996년 5월 29일울진군 일원
15대김광원
ta-hash-start=w-08bb98a772fbdd26468290510c52386f[[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영양군·봉화군·울진군
김찬우1996년 5월 30일 ~ 2000년 5월 29일청송군·영덕군
16대김광원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봉화군·울진군
김찬우2000년 5월 30일 ~ 2004년 5월 29일청송군·영양군·영덕군
17대김광원2004년 5월 30일 ~ 2008년 5월 29일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18대강석호2008년 5월 30일 ~ 2012년 5월 29일
19대
ta-hash-start=w-518fca47d7abd2ff7ff736fd407d5ae9[[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2012년 5월 30일 ~ 2016년 5월 29일
20대2016년 5월 30일 ~ 2020년 5월 29일


2.1. 제13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병우(黃昞禹)30,440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44.54%당선
2김찬우(金燦于)29,9922위
[include(틀:통일민주당)]43.88%낙선
3남상걸(南相杰)6,3153위
[include(틀:신민주공화당)]9.24%낙선
4박종욱(朴鍾郁)1,5884위

파일:제3세대당.png

2.32%낙선
선거인 수80,852투표율
85.59%
투표 수69,205
무효표 수870

영양군·봉화군
영양군, 봉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오한구(吳漢九)35,536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9.33%당선
2김경기(金慶起)20,5692위

ta-hash-start=w-f73850aa36d8564629a0d62c51009acf[[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34.34%낙선
3류상기(柳相基)3,7863위

ta-hash-start=w-b29c5090440079d0121f4973000eeba5[[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6.32%낙선
선거인 수70,350투표율
86.70%
투표 수60,990
무효표 수1,099

울진군
울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중권(金重權)23,4841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54.78%당선
2황지성(黃志聲)8,3362위

ta-hash-start=w-06420e719c581601afc2f0c829f14f9e[[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18.35%낙선
3장소택(張蘇宅)3,3705위

ta-hash-start=w-081c09225f5f0932d5dff03f505f3089[[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7.86%낙선
4최순열(崔淳烈)3,7554위

ta-hash-start=w-c73f96696c166b9295ec7407f6c79c1b[[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8.75%낙선
5이동일(李東一)3,9243위

무소속

9.15%낙선
선거인 수52,604투표율
82.59%
투표 수43,444
무효표 수575


2.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황병우(黃昞禹)25,6452위

ta-hash-start=w-94ee4384482b574f35c5f25696097364[[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43.03%낙선
2박종욱(朴鍾郁)2,1803위
3.65%낙선
3김찬우(金燦于)29,7721위
[include(틀:통일국민당)]49.95%당선
4김호연(金浩淵)4895위
[include(틀:신정치개혁당)]0.82%낙선
5이무호(李武鎬)1,5114위
2.53%낙선
선거인 수73,882투표율
81.76%
투표 수60,408
무효표 수811

영양군·봉화군
영양군, 봉화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신조(姜信祚)24,5381위
50.68%당선
2류상기(柳相基)2,0115위
4.15%낙선
3이철희(李哲熙)3,5763위
7.38%낙선
4김경기(金慶起)8557위
1.76%낙선
5권영일(權寧一)1,1356위
2.34%낙선
6김충립(金忠立)[1]2,1464위
4.43%낙선
7오한구(吳漢九)14,1472위
29.22%낙선
선거인 수59,935투표율
82.88%
투표 수49,677
무효표 수1,269

울진군
울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중권(金重權)14,2852위
38.50%낙선
2장소택(張蘇宅)1,5103위
4.06%낙선
3이학원(李學源)19,4441위
[include(틀:통일국민당)]42.50%당선
4박만순(朴萬淳)7975위
[include(틀:무소속)]2.14%낙선
5이동일(李東一)1,0674위
2.87%낙선
선거인 수48,038투표율
78.25%
투표 수37,589
무효표 수486


2.3. 제15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양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봉화군·울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광원(金光元)21,6151위
27.72%당선
2조영환(趙榮煥)1,3959위
1.78%낙선
3김종복(金鐘福)1,32310위
1.69%낙선
4이학원(李學源)4,0537위
5.19%낙선
5김중권(金重權)15,7242위
20.16%낙선
6강동호(康東鎬)8,2614위
10.59%낙선
7강신조(姜信祚)7,9585위
10.50%낙선
8오한구(吳漢九)7,0966위
9.10%낙선
9윤영호(尹英鎬)8,4323위
10.81%낙선
10이동일(李東一)37111위
0.47%낙선
11장소택(張蘇宅)1,7468위
2.23%낙선
선거인 수105,681투표율
77.40%
투표 수80,368
무효표 수2,394

청송군·영덕군
청송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우(金燦于)16,2021위
30.97%당선
2박명규(朴明圭)2,4146위
4.61%낙선
3김성태(金成泰)14,9412위
28.56%낙선
4박남수(朴南洙)1,1137위
2.12%낙선
5김동협(金東夾)3,6265위
6.93%낙선
6김현동(金顯東)4,0314위
7.70%낙선
7남병집(南炳執)2,4185위
4.62%낙선
8조영길(趙英吉)7,5553위
14.44%낙선
선거인 수70,589투표율
79.05%
투표 수54,547
무효표 수2,247

2.4. 제16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청송군, 영양군, 영덕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찬우(金燦于)27,4281위
44.93%당선
2윤영호(尹英鎬)22,6122위
37.04%낙선
3김원욱(金源昱)2,9965위
4.90%낙선
4이상도(李相道)4,0673위
6.66%낙선
5조원봉(趙元鳳)3,9354위
6.44%낙선
선거인 수85,904투표율
72.44%
투표 수62,233
무효표 수1,195

봉화군·울진군
봉화군, 울진군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광원(金光元)28,7211위
50.01%당선
2김중권(金重權)28,7022위
49.98%낙선
4박영무(朴榮茂)--
-등록무효
선거인 수83,537투표율
74.46%
투표 수62,203
무효표 수4,780

16대 총선 봉화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봉화군·울진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광원김중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1,076
(51.56%)
10,404
(48.43%)
672
(△3.13)
24,478
(72.18%)
봉화읍57.40%42.59%△14.8166.67
물야면51.22%48.77%△2.4570.65
봉성면47.31%52.68%▼5.3773.35
법전면59.89%41.10%△18.7973.62
춘양면56.55%43.44%△13.1173.94
소천면43.81%56.18%▼12.3774.99
석포면30.96%69.03%▼38.0774.52
재산면45.27%54.72%▼9.4574.59
명호면50.88%49.11%△1.7769.13
상운면50.29%49.70%△0.5975.58
후보김광원김중권격차
부재자투표49.03%50.96%▼1.93

16대 총선 울진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봉화군·울진군)
정당격차투표율
후보김광원김중권(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7,645
(49.09%)
18,298
(50.90%)
- 653
(▼1.81)
37,725
(76.02%)
울진읍53.65%46.34%△7.3175.46
평해읍39.14%60.85%▼20.7179.56
북면44.78%55.21%▼10.4370.54
서면18.94%81.05%▼62.1183.63
근남면44.70%55.29%▼10.5980.26
원남면50.91%49.08%△1.8282.65
기성면67.89%32.10%▼35.7980.45
온정면45.75%54.24%▼8.4979.42
죽변면53.79%46.20%▼7.5968.28
후포면52.10%47.89%▼4.2173.76
후보김광원김중권격차
부재자투표41.82%58.17%▼16.35

파일:external/blogfiles.naver.net/%B0%E6%BA%CF_%BA%C0%C8%AD%3F%BF%EF%C1%F8.png

19표차(0.03%차) 당선 (한나라당 김광원 vs 민주당 김중권[2])

여기는 표차도 주목을 받았지만, 당시 한나라당의 텃밭 중 텃밭이던 TK 지역이라 더욱 주목을 많이 받았다. 만약 김중권이 20표만 더 받았다면, 지난 총선에서 민주당 타이틀로 당선된 안동시 갑 권오을에 이어 민주당계 정당이 TK에서 의석을 배출할 수 있었다. 또한 영남권에서 승리한 유일한 민주당 후보가 될 수도 있었다. 김중권의 낙선 이후 TK에서 민주당계 정당의 당선자는 아래 등장하는 김부겸의 2016년 당선까지 없었다.[3]

김중권 후보는 고향울진군을 중심으로 강한 표몰이를 했지만, 김광원 후보도 동향이었을 뿐더러, 삼척시 산불로 인해 많은 울진군민들이 투표에 참여하지 못해 낙선했다는 말이 지역 정가에 오르내렸다. 울진 원자력 발전소를 반대했다가 낙선한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의 전적도 한 몫 했을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청송군·영양군·영덕군 선거구에서도 봉화군·울진군 만큼의 이목은 끌지 못했지만, 예비역 육군소장 윤영호 후보를 공천한 새천년민주당이 현역의원이었던 김찬우 의원을 상대로 37% 득표율을 올리는등 보수정당의 텃밭인 경북 북부 지역에서 의외의 성과를 기록하였다.

2.5. 제17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광원(金光元)39,4051위
46.21%당선
2조영환(趙榮煥)8925위
1.05%낙선
3박영무(朴榮茂)20,4903위
24.03%낙선
4김원욱(金源昱)1,5524위
1.82%낙선
5김중권(金重權)22,9322위
26.89%낙선
선거인 수132,749투표율
65.52%
투표 수86,975
무효표 수1,704


2.6. 제18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2강석호(姜碩鎬)39,3441위
50.40%당선
6이귀영(李貴永)5,6313위
7.21%낙선
7김영화(金榮華)1,2275위
1.57%낙선
8김교찬(金敎瓚)1,4882위
1.91%낙선
9김중권(金重權)30,3652위
38.9%낙선
선거인 수125,789투표율
63.21%
투표 수79,507
무효표 수1,452


2.7. 제19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호(姜碩鎬)43,0601위
55.00%당선
2정일순(鄭一淳)3,5083위
4.48%낙선
3장갑호(張甲鎬)5866위
0.74%낙선
6남선모(南善模)6555위
0.83%낙선
7박혜령(朴蕙鈴)2,3004위
2.93%낙선
8김중권(金重權)28,1712위
35.98%낙선
선거인 수123,425투표율
64.46%
투표 수79,565
무효표 수1,285


2.8. 제20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영양군·영덕군·봉화군·울진군
영양군 일원[영양], 영덕군 일원[영덕]
봉화군 일원[봉화], 울진군 일원[울진]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강석호(姜碩鎬)49,5451위
67.58%당선
5이귀영(李貴永)7,8773위
10.74%낙선
6홍성태(洪性泰)15,8842위
21.66%낙선
선거인 수123,843투표율
61.11%
투표 수75,675
무효표 수2,369


2.9. 제21대 국회의원 선거[편집]


여야 안에 따르면 이 선거구가 하한선을 밑돌아 1개군을 편입해야 하는데 울릉군을 편입하는 것이 제안되어 울릉군에서는 이에 반발하고 청송군의 편입을 요구했다. 청송군보다 울릉군 편입이 유력한 것으로 전해지자 울릉군은 이에 대해 반발하고 있다. 그러나 공직선거법을 원칙적으로 적용하면 울릉도와 후포 사이에 뱃길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 원칙적으로 울릉군을 포항시의 일부와 합구하면 공직선거법에 위배되는 특례가 된다. 물론 울릉군의 생활권 사정상 포항과 대단히 밀접한 것도 사실이다. 자유한국당 내에서도 싸움이 났는데, 박명재 의원은 현 선거구 존치, 김재원 의원은 울릉군 분리는 당연하다는 입장을 보였다고 한다.

결국 영양군, 봉화군, 울진군은 영주시·영양군·봉화군·울진군으로, 영덕군은 군위군·의성군·청송군·영덕군 선거구로 개편되었고, 포항시 남구·울릉군 선거구는 존치되었다.


[1] 김충환새누리당 의원의 셋째 형.[2] 원래는 5공 유력인사였으나, 김대중의 사면으로 국민의정부 초대 비서실장을 지내고 당시 새천년민주당으로 출마했다.[3] 중간에 민주당으로 당적을 변경한 신국환이 있기는 하다.[영양] A B C D 영양읍, 입암면, 청기면, 일월면, 수비면, 석보면[영덕] A B C D 영덕읍, 강구면, 남정면, 달산면, 지품면, 축산면, 영해면, 병곡면, 창수면[봉화] A B C D 봉화읍, 물야면, 봉성면, 법전면, 춘양면, 소천면, 석포면, 재산면, 명호면, 상운면[울진] A B C D 울진읍, 평해읍, 북면, 죽변면, 후포면, 근남면, 매화면, 기성면, 온정면, 금강송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