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당역

덤프버전 :

예당역
목포 방면
득 량
4.3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Yedang
한자禮堂
간체자礼堂
가나礼堂(イェダン
주소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예당역전길 19
(예당리 2-2)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순천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전선1942년 2월 1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예 당

禮堂驛 / Yedang Station

1. 개요
2. 역사
3. 승강장
4. 시간표
5. 일평균 이용객
6. 둘러보기

파일:attachment/yedang.jpg



1. 개요[편집]


경전선철도역.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 예당역전길 19 (舊 예당리 2-2번지)에 위치해 있다.

삼각지붕 옛 역사를 담아낸 현대식 건축

예당역은 전라남도 보성군 득량면에 위치한 경전선의 철도역으로 1932년 11월 무배치간이역으로 개업했다. 최초의 역은 상천입구 근처에 있었으나 득량면 예당리 서관기 일부와 조성면 동곡 일부를 수용하여 현재의 역사 부지가 조성되었다. 1941년 2월 배치간이역으로, 1966년 12월 보통역으로 승격됐다. 옛 역사는 10.1㎡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05.4㎡ 규모의 역사로 소박한 삼각 박공지붕에 화물 홈을 갖추고 있었다. 그리고 2001년 옛 예당역의 모습을 닮은 동시에 유리와 철제 소재를 이용하여 탄생한 색다른 모습의 현대식 역사가 건설되어 오늘에 이르고 있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2. 역사[편집]


파일:구 예당역.png
구 역사
승강장 형태는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 득량면 내에서는 득량역보다 이 역 주변이 더 크다.

2001년 12월 30일에 현재 쓰고 있는 유리궁전스러운 역사를 완공했다. 예당이 고향인 손학래 전 철도청장이 취임할 적에 지은 것. 손학래 시절에 잠시 #1441의 새마을호 버전이 생겼었다.

현재는 무궁화호가 하루 8회 정차중. 단, 화물취급은 2005년 9월 30일에 중단됐다.

인근의 조성역과 마찬가지로 코레일네트웍스에서 승차권 발권업무를 대행하고 있었으나, 2017년 1월 1일 부터 차내취급역으로 변경되었다.

2025년경전선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이다.
  • 1932. 11. 7. 무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41. 2. 1. 역원배치간이역으로 영업개시
  • 1966. 12. 1. 보통역으로 승격
  • 1992. 6. 10. 소화물 취급 중지
  • 2001. 12. 30. 현 역사 신축 준공
  • 2005. 9. 30. 화물 취급 중지
  • 2011. 6. 1.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승차권 발매는 KN소속 직원이 발매)
  • 2017. 1. 1. 차내취급역으로 지정
  • 2025. 말. 순천~광주송정 구간 개량이 완료되면 폐역될 예정


3. 승강장[편집]


조성
12
득량


4. 시간표[편집]


예당역 열차 시간표 (2023.03.01. 기준)
상행(순천·부전 방면)
열치종별
열차 번호
출발역
출발 시각
도착 시각
출발 시각
종착역
도착 시각
무궁화호

#1972
광주송정
05:50
07:24
07:25
순 천
08:06
무궁화호

#1952
목 포
09:23
12:08
12:09
부 전
16:03
무궁화호

#1974
광주송정
15:41
17:16
17:17
순 천
17:58
무궁화호

#1976
광주송정
20:00
21:33
21:34
순 천
22:13

예당역 열차 시간표 (2023.03.01. 기준)
하행(광주송정·목포 방면)
열치종별
열차 번호
출발역
출발 시각
도착 시각
출발 시각
종착역
도착 시각
무궁화호

#1971
순 천
06:07
06:48
06:49
광주송정
08:27
무궁화호

#1951
부 전
06:17
10:20
10:21
목 포
12:59
무궁화호

#1973
순 천
13:38
14:19
14:20
광주송정
15:58
무궁화호

#1975
순천
18:44
19:25
19:26
광주송정
21:04

5.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비고
2004년59명
2005년62명
2006년63명
2007년70명
2008년83명
2009년81명
2010년79명
2011년79명
2012년73명
2013년65명
2014년61명
2015년54명
2016년52명
2017년44명
2018년34명
2019년33명
2020년19명
2021년18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6. 둘러보기[편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