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진상역

덤프버전 :


진상역
목포 방면
광 양
14.3 ㎞ →

다른 문자 표기
로마자Jinsang
한자津上
간체자
가나津上(チンサン
주소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옥진로 1112
(섬거리 309-1)
관리역 등급
무배치간이역
(여수엑스포역 관리 / 한국철도공사 광주전남본부)
운영 기관
경전선한국철도공사
개업일
경전선1968년 2월 8일
무궁화호1984년 1월 1일
철도거리표
경전선
진 상

파일:external/blogfiles5.naver.net/31.jpg
진상역 시설반 사무실
파일:진상역신역사7.jpg
진상역 신 역사

1. 개요
2. 역 정보
2.1. 구 역사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시간표
5.1. 상행
5.2. 하행
6. 승강장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경전선철도역, 전라남도 광양시 진상면 옥진로 1112 (섬거리) 소재.

2016년 경전선 복선화 공사로 역사 이전

진상역은 1968년 2월 7일 옥곡역과 동시에 보통역으로 영업을 개시하였다. 전라남도 최동단 역사로, 같은 해 3월 역사를 신축 준공하였다. 당시 역사는 25㎡ 규모의 부대건물을 갖춘 122.8㎡ 규모의 부럭조 슬레이트 단층 역사로 상옥에 하치장과 야적장을 갖추고 있었다. 1984년에 이르러 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었으나 인근 화엄사와 천은사, 사성암 등 지리산 일대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에게 여전한 사랑을 받기도 하였다. 2004년부터 무인역으로 전환된 후 2016년 7월 경전선 진구-광양 간 복선화 공사로 현재의 자리에서 새롭고 현대적인 모습으로 재탄생되었다. 옛 역사는 2009년부터 민간에게 임대되어 식당으로 운영 중이다.

국가철도공단 공식 소개 문구

전라남도의 최동단 역이자, 삼랑진 방향으로 전라남도의 마지막 역. 이 다음 역인 하동역부터는 경상남도에 속하며, 이 역과 하동역 사이에 섬진강철교가 있다. 즉 열차가 섬진강을 건너는 것. 그룹역 분류도 이 역까지가 광주전남본부 여수엑스포역산하에 속해 있으며 이 역에서 섬진강을 건너면서부터 부산경남본부 구간이다. 1일 8회의 무궁화호가 정차한다.[1]

역 앞에는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가 위치해있다.

시설반 사무실 건물 안쪽에 진상역 역명판이 설치되어있다.


2. 역 정보[편집]


1968년 2월 7일 경전선 단선철도 개통과 함께 보통역으로 시작하여 2016년 7월 14일경전선 진주~광양 구간의 복선화로 인한 선로이설로 인하여 100m 옆에 신역사로 이전하였다.[2]

진상역은 무인역이기 때문에 기차를 탈려면 승무원에게 차내발권을 해야한다.

다만, 차내 발권은 코레일 회원의 이용실적 집계 대상에서 제외된다는 점은 알고 갈 것. 코레일톡 앱을 이용하여 발권하는 것도 나쁘지 않다.

2.1. 구 역사[편집]


파일:attachment/진상역/Example.jpg
현재 식당으로 영업중인 구역사

옛날 소화물 취급을 한 적이 있어 소화물 승강장의 흔적이 남아 있으며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이었다. 하지만 2004년 무배치간이역으로 격하되면서 외측 선로가 철거되어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 되었다. 2009년부터 이 역의 역사를 아예 임대 내줘서 한우식당으로 이용하고 있다. 그래서 역사에서 고기 먹으면서 선로로 무궁화호가 지나가는 진풍경을 볼 수 있다.

2011년 3월 25일에 방송된 KBS 열린채널에서 진상역의 한우식당이 소개되었다.

경전선 진주 - 광양 간 선로이설로 인하여 현재는 신역사에서 영업하고 있지만, 구역사에 위치한 한우식당은 계속 영업중이라고 한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역 바로 앞에 58번 국가지원지방도(옥진로)가 지난다. 58번 국지도변이라 진상역 역세권에도 뭐가 좀 있는 편이다. 58번 국지도를 타고 남쪽으로 쭉 가면 남해고속도로 옥곡IC가 나온다. 옥곡IC에서 진상역까지는 5.3km 떨어져 있다.

역 주변에 진상농협, 진상119지구대, 진상영농한우촌, 한국항만물류고등학교, 진상5일장이 역세권에 들어간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무궁화호
비고
2004년16명
2005년10명
2006년12명
2007년9명
2008년23명
2009년16명
2010년12명
2011년18명
2012년18명
2013년26명
2014년31명
2015년27명
2016년31명
2017년44명
2018년50명
2019년55명
2020년31명
2021년35명
출처
철도통계연보


5. 시간표[편집]



5.1. 상행[편집]


무궁화호
(상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6:40무궁화1942부전
09:35무궁화1944부전
13:12무궁화1952부전
17:57무궁화1946부전

5.2. 하행[편집]


무궁화호
(하행)
시간열차종별열차번호종착역
09:18무궁화1951목포
13:13무궁화1941순천
15:59무궁화1943순천
21:49무궁화1945순천

6. 승강장[편집]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다. 경춘선남춘천역이나 중앙선매곡역처럼 향후 경전선 수요증대를 대비하여 대피선 부지가 마련되어 있다.
하동
12
광양



7. 둘러보기[편집]







[1] 부전-순천 3왕복, 부전-목포 1왕복.[2] 2015년 4월 28일에 철도공단에서 발표한 보도자료를 참고하여 작성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