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오세창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前 경기도 동두천시장 오세창에 대한 내용은 오세창(정치인) 문서
오세창(정치인)번 문단을
오세창(정치인)# 부분을
, 드라마 어셈블리의 등장인물 오세창에 대한 내용은 오세창(어셈블리(드라마))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오세창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대통령장 약장.png
건국훈장 대통령장 수훈자
[ 펼치기 · 접기 ]
파일:B005-C002-0632-01_L1.jpg


||<tablewidth=100%><table bgcolor=#fff,#1F2023><width=20%> 강기동 ||<width=20%> 구춘선 ||<width=20%> 권동진 ||<width=20%> 권병덕 || 김경천 ||
|| 김동삼 || 김병조 || 김붕준 || 김상옥 || 김성수[A] ||
|| 김완규 || 김익상 || 김지섭 || 김하락 || 나석주 ||
|| 나용환 || 나인협 || 남상덕 || 남자현 || 노백린 ||
|| 린썬 || 문창범 || 문태수 || 민긍호 || 민종식 ||
|| 박열 || 박승환 || 박용만 || 박은식 || 박준승 ||
|| 백용성 || 신규식 || 신돌석 || 신석구 || 신채호 ||
|| 신홍식 || 쑨커 || 쑹자오런 || 안재홍 || 양기탁 ||
|| 양전백 || 양한묵 || E. T. 베델 || 언더우드 || 여운형 ||
|| 여지이 || 연기우 || 오세창 || 오화영 || 유동열 ||
|| 유여대 || 유인석 || 윤기섭 || 우빈 || 이갑성 ||
|| 이동녕 || 이동휘 || 이명룡 || 이범석 || 이범윤 ||
|| 이봉창 || 이상설 || 이상재 || 이승희 || 이위종 ||
|| 이은찬 || 이인영 || 이재명 || 이종일 || 이종훈 ||
|| 이필주 || 임예환 || 장건상 || 장인환 || 전명운 ||
|| 전해산 || 정환직 || 조성환 || 조완구 || 주시경 ||
|| 주자화 || 지청천 || 채상덕 || 천청 || 최석순 ||
|| 최성모 || 탕지야오 || 편강렬 || 홍기조 || 홍범도 ||
|| 홍병기 || 황싱 || 후한민 ||
||<-5> [A] 친일 행적으로 인한 서훈 취소 ||



3.1 운동의 민족대표 33인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9%><table bgcolor=#fff,#191919><tablecolor=#fff><bgcolor=#d60026> 권동진 ||<width=9%><bgcolor=#d60026> 권병덕 ||<width=9%><bgcolor=#ba4160> 길선주 ||<width=9%><bgcolor=#ba4160> 김병조 ||<width=9%><bgcolor=#d60026> 김완규 ||<width=9%><bgcolor=#ba4160> 김창준 ||<width=9%><bgcolor=#d60026> 나용환 ||<width=9%><bgcolor=#d60026> 나인협 ||<width=9%><bgcolor=#ba4160> 박동완 ||<width=9%><bgcolor=#ba4160> 박희도(日) ||<width=9%><bgcolor=#ff8c00> 백용성 ||
||<bgcolor=#d60026> 박준승 ||<bgcolor=#d60026> 손병희 ||<bgcolor=#ba4160> 신석구 ||<bgcolor=#ba4160> 신홍식 ||<bgcolor=#ba4160> 양전백 ||<bgcolor=#d60026> 양한묵 ||<bgcolor=#d60026> 오세창 ||<bgcolor=#ba4160> 오화영 ||<bgcolor=#ba4160> 유여대 ||<bgcolor=#ba4160> 이갑성 ||<bgcolor=#ba4160> 이명룡 ||
||<bgcolor=#ba4160> 이승훈 ||<bgcolor=#d60026> 이종일 ||<bgcolor=#d60026> 이종훈 ||<bgcolor=#ba4160> 이필주 ||<bgcolor=#d60026> 임예환 ||<bgcolor=#ba4160> 정춘수(日) ||<bgcolor=#d60026> 최린(日) ||<bgcolor=#ba4160> 최성모 ||<bgcolor=#ff8c00> 한용운 ||<bgcolor=#d60026> 홍기조 ||<bgcolor=#d60026> 홍병기 ||
||<-11> ※ 친일반민족행위자 관련 인물은 (日)로 표기.
||



파일:독립협회 검은색 글자.svg
지도부
[ 펼치기 ・ 접기 ]

회장
초대
안경수
제2대
이완용
제3대
서재필
제4대
윤치호
간부
위원장이완용고문서재필
위원
김가진남궁억박정양송헌빈
안창호오세창유길준윤치호
이상재이승만
[1] 취소선 쳐진 인물은 독립협회에서 제명된 인물을 의미한다.




파일:오세창.jpg
출생1864년 8월 6일
한성부 중부 정선방
(現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사망1953년 4월 16일 (향년 88세)
경상북도 대구시 대봉동
(現 대구광역시 중구 대봉동)
묘소망우역사문화공원
본관해주 오씨
중명(重明)
위창(葦滄)
부모아버지 오경석
서훈건국훈장 대통령장 추서
종교천도교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서예가, 언론인. 1962년 건국훈장 대통령장을 추서받았다.


2. 생애[편집]


1864년 지금의 서울특별시 종로구 돈의동 45번지에서 태어났다.#

1879년, 16세의 나이로 식년시 역과에 급제하여 한학 역관이 되었다가#, 1886년 박문국 주사로서 한성순보 기자를 겸임하였다. 1902년 천도교에 귀의한 그는 천도교의 기관지인 만세보를 창간했다. 3.1 운동 당시 민족대표 33인의 한 사람이었다. 제자로 간송 전형필이 있으며, 전형필에게 한국의 전통 문화 유산을 보는 안목을 키워주었다. 전형필과 함께 문화재들을 구입, 보존하는 작업에도 참여했다.

예술에도 조예가 깊어서 특히 서예가에서는 전서, 예서, 초서에 능하고 조각도 하였으며, 둥그스름한 형태의 독특한 서체(위창체, 오세창체)를 창안하는 등 한국 현대 서예에서 빠질 수 없는 인물이다.


3. 여담[편집]


  • 89세의 나이까지 장수했기 때문에 이승만 못지 않게 한국 근현대사의 주요 사건을 몸소 체험한 인물임에도[1] 근현대사 교과서의 매 단원에서 심심치 않게 언급되는 이승만에 비해 오경석의 차남, 만세보 사장 경력, 3.1 운동 참여 등으로만 언급되는지라 존재감이 덜한 편.



4. 관련 문서[편집]




[1] 고종 1년에 출생했으며 아버지가 개화 사상가 1세대에 해당되는 인물인지라 김옥균 등의 개화파 2세대와도 가깝게 지냈으며, 만년에는 6.25 전쟁까지 경험한 인물이다! 이 때문에 휴전 직전에 고향인 서울(당시 한성부)이 아닌, 피난지 대구에서 생을 마쳐야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