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올킬(스타크래프트)

덤프버전 :

1. 개요
2. 팀리그(7전제) - 2003~2004.08.28
2.1.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8-09[1]
2.2.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9-10[2]
2.3.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10-11[3]
3. 특수한 기록들
3.1. Straight
3.2. Reverse
3.3. 그 외
4.1. 역대 전체 올킬 기록
4.1.5. 2012 GSTL Season 1[4]
4.1.8. 2013 BenQ GSTL Season 1[5]
4.2. 특수한 기록들
4.2.1. Straight
4.2.2. Reverse
4.2.3. 그 외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 이 문서는 스타크래프트 시리즈 팀리그 방식 정규리그에서의 올킬러나 셧아웃 사례를 정리한 문서다.
  • 스타크래프트 승부조작 사건 때문에 여기에 나온 사람 중 몇몇은 취소선이 쳐진 경우도 있지만, 위 사건으로 영구 제명돼도 그동안 쌓았던 커리어까지 기록상으로는 말소까지 되지 않기 때문에 이름만 취소선을 치는 걸로 대신한다.
  • 개인리그에서의 셧아웃을 찾는다면 셧아웃(스타크래프트)를 참고.


2. 팀리그(7전제) - 2003~2004.08.28[편집]


MBC MOVIES 팀리그는 5전 3선승제 방식이라 올킬의 가치가 떨어지는 관계로 제외한다.



2.1.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8-09[6][편집]


순서소속팀이름상대팀비고
11KTF 매직엔스박찬수삼성전자 칸위너스 리그 최초 올킬
위너스 리그 저그 최초 올킬
12온게임넷 스파키즈박명수MBC GAME HERO-
13화승 오즈구성훈STX SouL위너스 리그 최초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테란 최초 올킬
위너스 리그 테란 최초 선봉 올킬
14온게임넷 스파키즈김창희위메이드 폭스위너스 리그 2번째 선봉 올킬
15STX SouL김경효공군 ACE같은 날 올킬을 기록
16KTF 매직엔스이영호화승 오즈
17화승 오즈이제동공군 ACE-
18[3]STX SouL김구현CJ 엔투스위너스 리그 3번째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프로트스 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프로토스 선봉 올킬
19[3]화승 오즈이제동온게임넷 스파키즈위너스 리그 최초 역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한 선수가 단일 시즌 2회 올킬
위너스 리그 유일무이 저그 역올킬
20SK텔레콤 T1김택용온게임넷 스파키즈-
21웅진 스타즈임진묵KTF 매직엔스
22MBC GAME HERO염보성공군 ACE
23STX SouL김윤환Z삼성전자 칸위너스 리그 4번째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저그 선봉 올킬
24SK텔레콤 T1김택용위메이드 폭스위너스 리그 5번째 선봉 올킬
25하이트 스파키즈박명수공군 ACE-
26화승 오즈이제동KTF 매직엔스위너스 리그 6번째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한 선수가 단일 시즌 3회 올킬
위너스 리그 포스트 시즌 최초 올킬
위너스 리그 포스트 시즌 유일무이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플레이오프 유일무이 올킬
27CJ 엔투스조병세화승 오즈위너스 리그 2번째 역올킬
위너스 리그 포스트 시즌 테란 유일무이 올킬
위너스 리그 포스트 시즌 유일무이 역올킬
위너스 리그 결승전 유일무이 올킬


2.2.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09-10[7][편집]


순서소속팀이름상대팀비고
28웅진 스타즈김승현CJ 엔투스09-10 시즌 프로토스 최초 올킬
29SK텔레콤 T1정명훈eSTRO09-10 시즌 테란 최초 올킬
09-10 시즌 최초 선봉 올킬
09-10 시즌 최초 테란 선봉 올킬
30하이트 스파키즈신상문위메이드 폭스[8]09-10 시즌 2번째 선봉 올킬
31MBC GAME HERO이재호공군 ACE09-10 시즌 3번째 선봉 올킬
32STX SouL김윤중삼성전자 칸09-10 시즌 4번째 선봉 올킬
09-10 시즌 프로토스 유일무이 선봉 올킬
33하이트 스파키즈이호준공군 ACE-
34kt 롤스터이영호SK텔레콤 T109-10 시즌 유일무이 역올킬
위너스 리그 3번째 역올킬
팀이 3:0으로 지고 있는데 웃고 있어요!
35위메이드 폭스전태양공군 ACE09-10 시즌 5번째 선봉 올킬
36MBC GAME HERO이재호SK텔레콤 T109-10 시즌 6번째 선봉 올킬
09-10 시즌 개인 2번째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최초 한 선수가 2번 연속 올킬
위너스 리그 유일무이 한 선수가 2번 연속 선봉 올킬
37eSTRO위너스 리그 2번째 한 선수가 단일 시즌 3회 올킬
38삼성전자 칸유준희공군 ACE09-10 시즌 7번째 선봉 올킬
09-10 시즌 저그 최초 올킬
09-10 시즌 저그 최초 선봉 올킬
39하이트 스파키즈신상문kt 롤스터-
40eSTRO김성대웅진 스타즈09-10 시즌 8번째 선봉 올킬
41화승 오즈이제동하이트 스파키즈09-10 시즌 9번째 선봉 올킬
42웅진 스타즈김민철STX SouL위너스 리그 준플레이오프 유일무이 올킬


2.3. 신한은행 위너스 리그 10-11[9][편집]


순서소속팀이름상대팀비고
43kt 롤스터김대엽공군 ACE10-11 시즌 프로토스 최초 올킬
44SK텔레콤 T1김택용STX SouL-
45위메이드 폭스위너스 리그 2번째 한 선수가 2번 연속 올킬
46삼성전자 칸송병구MBC GAME HERO위너스 리그 4번째 역올킬
위너스 리그 유일무이 프로토스 역올킬
47위메이드 폭스전태양공군 ACE10-11 시즌 최초 선봉 올킬
10-11 시즌 테란 최초 올킬
10-11 시즌 테란 최초 선봉 올킬
48SK텔레콤 T1김택용위너스 리그 3번째 한 선수가 단일 시즌 3회 올킬
위너스 리그 3번째 한 선수가 2번 연속 올킬
위너스 리그 유일무이 한 선수가 3번 연속 올킬
49MBC GAME HERO이재호위메이드 폭스10-11 시즌 2번째 선봉 올킬
50박수범공군 ACE10-11 시즌 3번째 선봉 올킬
10-11 시즌 프로토스 최초 선봉 올킬
51화승 오즈구성훈-
52kt 롤스터이영호위메이드 폭스위너스 리그 마지막 역올킬
위너스 리그 유일무이 개인 2회 역올킬
53SK텔레콤 T1정명훈10-11 시즌 4번째 선봉 올킬
54CJ 엔투스진영화MBC GAME HERO-
55화승 오즈이제동삼성전자 칸10-11시즌 저그 최초 올킬
10-11 시즌 5번째 선봉 올킬
10-11 시즌 저그 유일무이 선봉 올킬
56kt 롤스터김대엽SK텔레콤 T1-
57웅진 스타즈10-11 시즌 6번째 선봉 올킬
위너스 리그 4번째 한 선수가 단일 시즌 3회 올킬
위너스 리그 4번째 한 선수가 2번 연속 올킬
58웅진 스타즈임정현MBC GAME HERO스타크래프트: 브루드 워 마지막 올킬


2.4. SK플래닛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12-13 시즌[편집]


  • 59th - 이영호 (vs EG-TL)[10]
  • 60th - 주성욱 (vs STX SouL)
  • 61st - 신동원 (vs STX SouL)
  • 62nd - 윤용태 (vs kt 롤스터)[11]
  • 63rd - 이신형 (vs 제8게임단)
  • 64th - 이신형 (vs EG-TL)[12]
  • 65th - 이신형 (vs CJ 엔투스)
  • 66th - 이영호 (vs CJ 엔투스)[13]


2.5.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4 시즌[편집]




2.6.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5 시즌[편집]


  • 70th - 김대엽 (vs SKT T1/2R Semi PO)
  • 71st - 김유진 (vs CJ 엔투스/3R Semi PO)
  • 72nd - 조성주 (vs kt 롤스터/3R PO)[14]
  • 73rd - 전태양 (vs CJ 엔투스/4R PO)
  • 74th - 김유진 (vs kt 롤스터/통합포스트시즌 준PO 2차전)[15]


2.7. SK텔레콤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2016 시즌[편집]


  • 75th - 김도우 (vs CJ 엔투스/2R Semi PO)[16]
  • 76th - 김대엽 (vs SKT T1/2R PO)


3. 특수한 기록들[편집]



3.1. Straight[편집]




3.2. Reverse [편집]


  • 1st - 이제동 (vs 하이트 스파키즈/08-09)
  • 2nd - 조병세 (vs 화승 OZ/08-09 Final)
  • 3rd - 이영호 (vs SKT T1/09-10)
  • 4th - 송병구 (vs MBC GAME HERO/10-11)
  • 5th - 이영호 (vs 위메이드 폭스/10-11)
  • 6th - 김유진 (vs kt 롤스터/2015 준PO 2차전)[17]


3.3. 그 외[편집]






  • 결승전 초대 스트레이트 올킬러




  • 최다 올킬러
    • 7전 4선승제
      • 김택용, 이제동[18](5회)


  • 단일 시즌 최다 올킬러
    • 이재호, 김택용[19], 이제동[20], 김대엽[21], 이신형



  • 프로리그GSTL 양쪽에서 올킬을 기록한 선수[23]
    • 1st - 이신형(프로리그 올킬 후 GSTL 올킬 기록)
    • 2nd - 원이삭(GSTL 올킬 후 프로리그 올킬 기록)


4. GSTL[편집]



4.1. 역대 전체 올킬 기록[편집]



4.1.1. GSTL Feb.[편집]




4.1.2. GSTL Mar.[편집]




4.1.3. GSTL May.[편집]




4.1.4. 2011 GSTL 시즌 1[편집]




4.1.5. 2012 GSTL Season 1[25][편집]




4.1.6. 2012 HOT6 GSTL Season 2[편집]




4.1.7. 2012 HOT6 GSTL Season 3[편집]




4.1.8. 2013 BenQ GSTL Season 1[26][편집]




4.1.9. 2013 HOT6 GSTL Season 2[편집]


  • 37th - 이신형 (vs FXO.KR, 4:0)[28]


4.2. 특수한 기록들[편집]



4.2.1. Straight[편집]




4.2.2. Reverse [편집]




4.2.3. 그 외[편집]


  • 7전제 초대/스트레이트 올킬러


  • 기타 7전제 올킬 기록 없음



  • 9전제 종족별 초대 스트레이트 올킬러
    • Terran, Protoss - 위와 동일
    • Zerg - 없음

  • 9전제 결승전 초대 올킬러

  • 9전제 종족별 초대 결승전 올킬러
    • Terran - 고병재 (vs SlayerS/2012 HOT6 GSTL Season 2)
    • Zerg - 없음
    • Protoss - 없음

  • 9전제 초대 역올킬러

  • 9전제 종족별 초대 역올킬러
    • Terran - 없음
    • Zerg - 강동현 (vs LG-IM/2012 HOT6 GSTL Season 2)
    • Protoss - 없음

  • 9전제 결승전 초대 역올킬러
    • 없음

  • 9전제 종족별 초대 결승전 역올킬러
    • Terran - 없음
    • Zerg - 없음
    • Protoss - 없음


  • 9전제 최다 역올킬러

  • 단일 시즌 최다 올킬러
    • 최용화(2회)[29]

  • 최다 피올킬 팀
  • 최소 피올킬 팀



5. 관련 문서[편집]



[1]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의 3라운드가 승자 연전 방식인 위너스 리그로 진행됐다.[2]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의 3라운드가 위너스 리그로 진행됐다.[3] A B C 같은 날에 올킬을 기록했다.[4] 이 시즌부터 모든 경기가 9전제로 바뀌었다.[5] 2013년부터 GSTL도 7전 4선승제로 변경되었다. 단, 포스트 시즌은 9전제[6] 신한은행 프로리그 08-09의 3라운드가 승자 연전 방식인 위너스 리그로 진행됐다.[7] 신한은행 프로리그 09-10의 3라운드가 위너스 리그로 진행됐다.[8] 위메이드 폭스는 스파키즈 테란 김창희, 신상문에게 통틀어 2번의 선봉올킬을 당한 팀이 되었다.[9] 신한은행 프로리그 10-11의 3~4라운드가 위너스 리그로 진행됐다.[10] 스타크래프트 2 프로리그 최초 (스트레이트) 올킬.[11] 통산 최고령 올킬(만 24세 5개월)[12] 군단의 심장으로 진행되는 5라운드 시작[13] 시즌 중 8연속 스트레이트 올킬[14] 중견 올킬. 프로리그 방식 변경 이후 첫 테란 올킬[15] 스타2 프로리그 최초 역올킬 1승만 하라고 스막 시발들아[16] 공허의 유산 전환 이후 첫 올킬[17] 프로리그가 스타2로 종목변환 한 이후 첫 역올킬이다.[18] 화승 오즈의 청년가장 이제동은 최다 올킬을 기록했음에도 불구하고 위너스 리그 우승을 경험하지 못했다(...) 1승만 하라고 스막 시발들아[19] 김택용은 3경기 연속 올킬이다!![20] 이제동은 유일하게 이들 중에서 포스트시즌 올킬을 기록했다!!![21] 단, 김대엽은 1번은 3라운드, 2번은 4라운드에 했다.[22] 최초 3회 연속 올킬이기도 하다.[23] GSTL이 e스포츠 연맹의 해체와 함께 폐지되면서 이 대기록을 가진 선수가 나올 가능성이 희박해졌다. 그런 의미에서 원이삭의 기록 추가는 의미있는 사례. 특히 이신형의 기록 달성 방향은 GSTL이 부활하지 않는 한 전무후무한 기록으로 남을 가능성이 매우 커졌다.[24] FXO.KR이 아니다. 유럽인들로 구성된 해외 팀이다.[25] 이 시즌부터 모든 경기가 9전제로 바뀌었다.[26] 2013년부터 GSTL도 7전 4선승제로 변경되었다. 단, 포스트 시즌은 9전제[27] GSTL 통산 최고령 올킬(만 30세 6개월)[28] 팀리그 사상 최초로 협회, 연맹의 승자연전 팀리그 선봉 올킬 동시 달성.[29] 연속 2회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2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2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13:47:01에 나무위키 올킬(스타크래프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